한민족 문화상징 100선
1 |
대한민국의 국기 | |||
2 |
대한민국의 국화 | |||
3 |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야할 필요성이 상시적으로 대두됨 | |||
4 |
한반도의 등뼈 | |||
5 |
한민족의 성산(聖山), 한반도에서 제일 높은 산, 백두대간의 시작 | |||
6 |
가장 빼어나고 수려한 산의 상징 | |||
7 |
세계적으로 명칭 자체를 널리 알려야 할 필요성이 상시적으로 대두 | |||
8 |
한반도 강역을 가장 정확하고 포괄적이며 상세하게 그린 지도 | |||
9 |
한국적 흙의 정서를 가장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상징물 | |||
10 |
세계 5대 갯벌의 하나로 갯벌 자체가 인간과 자연이 빚어낸 바다밭의 | |||
11 |
전통적 환경사상이자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응축된 자연생태학. | |||
12 |
한반도 식생의 상징. 소나무 문화라 지칭할 만한 다양한 문화 | |||
13 |
한국 토종개의 상징으로 얼마든지 세계적인 개로 알릴 수 있고 알릴 필요가 있음 | |||
14 |
한국산 호랑이는 거의 멸종되었으나 민화(民話), 민담 등을 비롯하여 | |||
15 |
소는 가축 이전에 식구(食口)로 대접받으며 농경민족의 애환과 함께 해왔음. | |||
16 |
고구려 이래로 한국인의 천문관과 우주 이해도를 잘 드러냄 | |||
17 |
한국인이 만든 세계적인 철갑선으로 세계 유수의 조선국인 해양강국의 표징 | |||
18 |
세계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강우량 측정기구 | |||
19 |
눈금읽기 방식이 아닌 자동알림장치를 갖춘 15세기 당시 최고시계 | |||
20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정약용이 설계한 뛰어난 과학구조물 | |||
21 |
높은 인터넷 보급률, 핸드폰, 반도체 등 정보통신 강국 이미지 | |||
22 |
청동기 시대 묘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
23 |
신석기 시대에 만들어 쓴 질그릇. | |||
24 |
조선과 일제시대, 오늘의 수도 | |||
25 |
신라의 고도 | |||
26 |
고구려의 수도 | |||
27 |
민족 기원의 상징. 우리나라의 역사적, 신화적, 종교적 원형 | |||
28 |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장한 국왕. 고구려 및 북방문화의 대표인물 | |||
29 |
‘대중불교’의 원조로 한국불교문화사에서 첫손을 꼽을 만한 인물 | |||
30 |
한글창제뿐 아니라 세종의 전반적 통치술에 있어 제왕다운 능력에 대한 | |||
31 |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졌고 감화를 주고 있는 유학자 | |||
32 |
세계 해전사에 빛날 위인 | |||
33 |
한반도 실학, 즉 국학의 대부와 같은 존재 | |||
34 |
20세기초반 ‘제국과 식민의 시대’의 동양평화의 상징적 인물 | |||
35 |
대표적인 여성독립운동가 | |||
36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불교조각의 최고 조각품 | |||
37 |
분단의 상처이자 한반도 평화와 화해의 미래이며 생태환경의 마지막 보루. | |||
38 |
2002년 월드컵 이후 새로이 자리잡은 역동적인 응원문화. | |||
39 |
조선시대 사회경제사의 상징이자 오늘까지 이어지는 풍속의 문화 | |||
40 |
일본 등에도 해녀가 있지만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전통적 잠수문화이자, | |||
41 |
한국의 4대 명절 중 하나,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문화유산 걸작’ | |||
42 |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 |||
43 |
동북아 신앙상징과 한국인의 얼굴을 닮은 신앙상징 직관물. | |||
44 |
상부상조하며 공생의 삶을 구가하던 공동체문화의 상징 | |||
45 |
마을 공동체문화의 정신적 지주 | |||
46 |
제주도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석조물 | |||
47 |
우리 민족의 전통의상 | |||
48 |
한민족이 가장 사랑하고 조화롭게 발전시킨 색깔문화의 하나 | |||
49 |
한국을 상징하는 여러 소리들 중에서 토속미의 으뜸 | |||
50 |
한국인이 창조해낸 야채 발효식품의 으뜸 | |||
51 |
밀가루 문화의 빵에 비견되는 쌀 문화의 상징 | |||
52 |
복합음식의 대표 격으로 세계화가 가능한 음식 | |||
53 |
고추와 장 문화가 창조해낸 한국 특유의 장(醬) | |||
54 |
발효된 장 문화의 으뜸으로 건강 음식의 대표격 | |||
55 |
수많은 닭요리 중의 하나이나 세계화가 가능한 일상 보양음식의 하나 | |||
56 |
한국 그릇 문화의 상징물로 가장 보편적인 용기임 | |||
57 |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한국의 고기 문화 | |||
58 |
한국인들이 가장 즐겨 마셔온 대중적 술 | |||
59 |
평양도, 함경도 등 한반도 북방 음식의 백미 | |||
60 |
중국에서 유래하였으나 그것과 다르게 우리나라에서 토착화한 음식. | |||
61 |
우리 민족의 전통적 주거 양식 | |||
62 |
한국인이 만들어낸 뛰어난 난방 문화 | |||
63 |
삼다도 제주의 상징. 현무암 돌담 그 자체가 빚어내는 경관의 아름다움 | |||
64 |
한국인 살림집 문화의 으뜸 | |||
65 |
현재까지도 인용되는 한의학의 대표 서적 | |||
66 |
세계 최고의 성분을 자랑하는 인삼은 역사적으로 상당히 오래되었고 일찍부터 | |||
67 |
세계화에 성공하여 올림픽 종목까지 진출 | |||
68 |
일본의 스모 등에 비견할 한민족 특유의 전통 씨름 | |||
69 |
‘활의 나라’답게 국궁(國弓)을 비롯하여 양궁에 이르기까지 활쏘기의 | |||
70 |
한국인의 전통오락의 으뜸으로 전통성, 고유성, 오락성, 승부성 등을 | |||
71 |
지금은 사라졌으나 21세기에도 새롭게 살펴볼만한 배움터 | |||
72 |
중국의 ‘맹모삼천지교’에 비견되는 한국 토종의 교육관 | |||
73 |
한국불교의 대표적 수행법으로 번뇌를 잊고 정신의 몰입을 강조하는 | |||
74 |
한국불교문화사의 독특한 서민성, 대중성을 두루 간직하고 있는 상징. | |||
75 |
부모님을 잘 섬기는 정신, 근본덕행 | |||
76 |
학식이 있고 행동과 예절이 바르며 의리와 원칙을 지키고 관직과 재물을 | |||
77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전통왕실의 제사를 지내는 장소와 의식 | |||
78 |
한국 기층문화의 상징인 무속의 으뜸 상징 | |||
79 |
한국의 대표적 마을신앙이자 거리신으로 보편성을 지님. | |||
80 |
조형물, 민담 등으로 전해지는 판타스틱 한 상징물로 어린이를 위한 | |||
81 |
신성구역과 일상구역을 구분하고 ‘금지하는’ 의미를 지닌 신성스러운 | |||
82 |
한국인의 글 | |||
83 |
아름답고 질기고 실용적인 천년을 가는 종이 문화 | |||
84 |
조선조 25대를 기록한 방대한 역사서 | |||
85 |
몽고군의 침입을 불교의 힘으로 막고자 만든 불교 경전 | |||
86 |
세계최초의 금속활자로 찍은 활자문화의 상징. 세계기록문화유산 | |||
87 |
고구려 북방문화의 으뜸 상징물 | |||
88 |
국보 제78호,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불교 불상 | |||
89 |
백제의 미소 |
백제인의 예술과 미적 감각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상징물의 하나로 한국 | ||
90 |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대표적 자기 | |||
91 |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 | |||
92 |
한국인이 빚어낸 가장 독창적인 도자문화 | |||
93 |
투박성, 토속성, 실용성 등이 두루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사발. | |||
94 |
가장 힘든 논 일의 현장에서 완성된 공동노동의 애환을 달래주는 음악과 춤. | |||
95 |
한국의 얼굴로 널리 알릴 수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춤 예술 | |||
96 |
‘1인 오페라’라 지칭할만한 한국의 대표적인 서사. | |||
97 |
시간적, 공간적으로 가장 널리 불려지는 민족의 노래 | |||
98 |
한국전통 고유악기의 대명사로 선비문화의 상징이기도 함. | |||
99 |
한국전통 고유악기의 대명사로 한국인의 심금을 잘 드러내는 음색의 상징 | |||
100 |
한국인이 낳은 최고의 ‘러브스토리’로 외국에도 가장 널리 알려진 문학작품 |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요리 배우기 - 중국요리의 개요 (0) | 2009.10.15 |
---|---|
中 역사지도 한국땅 표기왜곡 심각 (0) | 2009.10.15 |
한민족과 백두대간 (0) | 2009.10.15 |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 가지 해독 (0) | 2009.10.15 |
대~한민국! 자랑스럽습니다 (0) | 200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