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황오제(三皇五帝)
출처:위키백과
삼황오제(중국어: 三皇五帝, 병음: sānhuáng wǔdì)는 중국의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제왕들이다. 사료에 따라 삼황오제의 이름은 조금씩 다르다.
삼황(三皇)
중국 역사상 "삼황오제"에 관한 설은 전국시기에 이르러서야 나타나기 시작한다. 먼저 삼황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7종의 설이 있다.
- 천황(天皇), 지황(地皇), 인황(人皇) : ≪사기(史記)≫「보삼황본기(補三皇本紀)」에 인용된 ≪하도(河圖)≫, ≪삼오력(三五曆)≫
- 천황, 지황, 태황(泰皇) : ≪사기≫「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복희(伏羲), 여와(女媧), 신농(神農) : ≪풍속통의(風俗通義)≫「황패편(皇覇篇)」
- 복희, 신농, 공공(共工) : ≪통감외기(通鑒外紀)≫
- 복희, 신농, 축융(祝融) : ≪백호통(白虎通)≫
- 수인(燧人), 복희, 신농 : ≪풍속통의≫「황패편」에 인용된 ≪예위(禮緯)≫「함문가(含文嘉)」
- 복희, 신농, 황제(黃帝) : 《십팔사략》, ≪제왕세기(帝王世紀)≫와 손씨주(孫氏注) ≪세본(世本)≫
십팔사략에 나온 삼황
아래는 십팔사략에 나온 삼황에 대한 설명이다. 여기에서의 삼황은 태호 복희, 염제 신농, 황제 헌원을 말한다. 삼황은 맨 처음 세 명의 왕도 아니고, 연속적인 세 명의 왕이 아니다. 그들은 각각 인류 문명에 필요한 획기적인 발명을 통해 후세에 큰 모범이 되었기에 '삼황'(三皇)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삼황의 첫 째인 복희는 태호(太昊:큰 하늘)라 불렸으며, 뱀 몸에 사람 머리를 하고 있으며,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사냥법과 불을 활용하는 법을 가르쳤다.
복희의 뒤를 이어 몇 번의 왕들이 자리를 잇다가, 두 번째 삼황인 신농의 시대가 왔다. 염제(炎帝:불꽃 임금)라고도 불린 신농은 사람 몸에 소의 머리를 가졌다. 그는 태양신이자 농업신으로 농경을 처음으로 가르쳤다. 또한, 태양이 높게 떠 있는 시간에는 사람들에게 상업을 가르쳤다고 한다.
염제 신농의 자리를 이은 것이 바로 황제 헌원(軒轅)이다. 헌원은 사람들에게 집짓는 법과 옷 짜는 법을 가르쳤으며, 수레를 발명했다. 글자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해 천문과 역산을 시작하고, 의료술을 시작한 것도 황제였다. 어느 정도 사람들의 삶이 안정되자 황제는 태산(泰山)에 행차하여 천지 사방의 신들을 모두 불러 모았다. 황제는 큰 코끼리가 끄는 보물로 된 수레를 탔으며, 황제의 위세를 본 신들은 그의 위력에 모두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천지 사방의 신들 중, 황제에 따르지 않는 무리들은 치우(蚩尤)를 따라 반란을 꾀했다. 치우는 눈이 넷, 손이 여섯이었으며, 구리로 된 머리와 쇠로 된 이마를 가지고 있었다. 쇠와 돌을 즐겨 먹는 신으로 자신의 72명의 형제와 함께 싸움에 매우 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황제는 치우의 모반을 알자마자 군사를 모아 판천과 탁록에서 치우를 격파하였다. 치우는 부하인 풍백, 우사와 함께 저항했으나 결국 황제에게 항복했다.
치우의 난을 평정한 황제는 이후 별 탈 없이 지내다가 백 살 되던 때, 하늘에서 용이 내려와 황제가 하늘로 돌아가기를 간청했다. 많은 사람들이 황제의 치세가 계속되기를 기원했지만 황제는 중신들과 함께 용을 타고 승천하였고, 이후 황제의 다섯 자손들('오제')이 세상을 다스렸다.
오제(五帝)
오제에 대해서는 일치하는 설이 없으며 주로 다섯가지로 요약된다.
-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黃帝), 당요(唐堯), 우순(虞舜) : ≪황왕대기(皇王大紀)≫
- 황제(黃帝), 전욱(顓頊), 제곡(帝嚳), 당요(唐堯), 우순(虞舜) : ≪세본(世本)≫, ≪대대례(大戴禮)≫, ≪사기≫「오제본기」
- 태고(太皋: 복희), 염제(炎帝), 황제(黃帝), 소고(少皋), 전욱(顓頊) : ≪예기(禮記)≫「월령(月令)」
- 황제(黃帝), 소고(少皋), 제곡(帝嚳), 제지(帝摯), 제요(帝堯) : ≪도장(道藏)≫「동신부(同紳部)·보록류(譜錄類)·곤원성기(混元聖記)」에 인용된 양무제(梁武帝)의 말
- 소호(少昊), 전욱(顓頊), 고신(高辛), 당요(唐堯), 우순(虞舜) : ≪상서서(尙書序)≫, ≪제왕세기≫, 《십팔사략》
십팔사략에 나온 오제
십팔사략에서 오제는 황제의 뒤를 이은 다섯 자손을 뜻하며, 소호 금천, 전욱 고양, 제곡 고신, 제요 도당, 제순 유우의 다섯 명이다. 뒤의 두 명을 따로 떼어 '성군'을 칭송할때 관용적으로 쓰이는 요순임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호 금천(少昊 金天)은 황제의 아들로 황제가 승천한 후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후 봉황이 날아들어 소호의 정치를 도왔다.
소호의 뒤를 이은 것은 전욱 고양(顓頊 高陽)으로, 전욱은 소호의 형의 아들이었다. 아직 반고의 천지 창조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하늘과 땅의 구별이 엄격하지 않았다. 전욱은 엄격한 법을 세워 하늘과 땅의 구별을 확실히 하고, 인간 세상에서도 주종관계, 남녀관계 등을 확실히 세웠다.
전욱의 뒤를 이은 것은 소호의 아들인 제곡 고신(帝嚳 高辛)이었다. 그는 음악의 신으로, 각종 악기와 음악을 만들어 백성들을 즐겁게 하였다.
삼황오제의 동이설
삼황오제는 중국 신화 속의 대표적인 인물들이지만, 이들을 동이(東夷)나 한민족으로 간주하는 주장이 있다. 삼황오제가 동이였다는 중국의 사료들이 일부 존재하며[1], 동이라는 존재를 모두 한민족으로 보는 역사관이 존재한다.[2] 그러나 진(秦)나라 이전의 동이와 한(漢)나라 이후의 동이는 전혀 다른 존재로서 한민족이 속해 있는 동이는 한나라 이후의 동이이기 때문에 진나라 이전의 개념인 삼황오제의 동이 여부와 한민족은 관련이 없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3]
《삼국사기》에는, 신라인과 가야인은 그 조상을 소호 금천씨라고 했고, 고구려인은 그 조상을 제곡 고신씨 또는 전욱 고양씨라고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주석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하 문명(黃河文明) (0) | 2010.03.02 |
---|---|
장강 문명(長江文明) (0) | 2010.03.02 |
중국의 역사 (0) | 2010.03.02 |
콩과 식초가 만나면 (0) | 2010.02.28 |
탈모와 시금치 (0) | 201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