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fe/My Love China

서유기(西遊記)

지식창고지기 2010. 6. 3. 20:56

서유기(西遊記)

 

 

<서유기>는 중국 고대역사상의 가장 성공적인 신화소설이다소설은 기원7세기 중국 저명한 불학대사 당승(唐僧)(현장,玄奬)이 인도에서 가서 경을 얻는 이야기를 원형으로 당승과 그의 세 제자가 경을 얻는 도중에 겪은 여러가지 간난신고를 허구함으로써 아무런 권위도 겁나지 않고 모든 약세력과 결사전을 벌리는 <손오공>을 성공적으로 부각함으로써 현실생활에 대한 작자의 념원을 은휘적으로 표달하였다

작자 오승은(吳承恩)은 강소 회안(江蘇 淮安)출신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타고난 자질을 가지고 있었으며 광버무이한 흥미와 다 방면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회화에 능하고 서예를 잘하며 글짓기와 작곡을 즐기며 바둑에 대해서도 정통할뿐만 아니라 명인들의 서화를 소장하기 좋아하였다 소년시절의 그는 문재가 출중하여 고향에서 이름을 날리였으며 사람들의 찬양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의 벼슬의 길은 결코 순탄하지 않았으며 번마다의 과거시험에서 등수에 들지 못하였다 때문에 그의 처지는 매우 나빠으며 생활도 극히 빈곤하였다  이런 어려운 처지는 봉건관리사회의 부패와 사회세태에 대한 그의 인식을 깊이 하였으며 그의 마음속에 불평과 반항의 씨앗을 묻어주었다. 오승은은 한 시에서 자기의 견해를 표달하였다 그는 사회현상이 추악한 원인은 통치자들이 선의적으로 사람을 등용하지 않으며 나쁜 사람들이 판을 치게 하는데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이런 암흑한 현실을 개변하려는 절절한 념원을 품고 있었으나 자기의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하여 이에 대해 감탄만 할수 밖에 없었다. 그는 자기의 불평과 분개, 아름다운 념원을 전부다 자기의 소설인 <서유기>에 쏟아부었습니다. 오승은은 만년에 와서야 <서유기>를  완수했지만 그는 이를 위해 필생동안 준비하였다 어렸을때 오승은은 늘 아버지를 따라 회안근교에 있는 절간들을 돌아보았다. 이르는 곳마다에서 그의 아버지는 현지의 많은 아름답고 신기한 신화이야기를 들려주군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기문(奇聞) 듣기를 즐겼으며 나이듦에 따라 이런 습관이 더욱더 강해지였다 30살이 된후 그는 수많은 기문을 수집하였으며 또한 창작의 타산을 가지게 되였다 50살이 된후 그는 <서유기>의 10여회를 썼는데 그후 일부 원인으로 하여 여러해동안 중단되였다가 만년에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간후에야 최후로 <서유기>의 창작을 완수하였다

<서유기>는 전부 이야기의 형식으로  되여있다 모든 이야기는 독립적인 글로도 될수 있고 앞뒤가 이어질수도 있다 이야기에는 여러가지 신선과 귀신이 있는데 각기 각기 정의와 사악을 대표하였다 작자는 전반소설에서 기의하고 다양한 신화세계를 창조하였다 이 신화세계에서 가는 곳마다에 인간의 그림자가 있고 신성한 천궁은 표면상 기세가 비범하며 치고무상한 천제는 옳고 그름을 분간하지 않고 아주 어리석으며 천정과 인간의 왕조는 아주 비슷하다. 그리고 지부(地府)가 삼엄하고 관리마다 서로 비호하며 재물을 탐내고 법을 지키지 않으며 무고한 사람들은 원한을 풀길이 없으며 지상의 조정과 별 다름이 업다 악마와 귀신들은 인간을 살해하고 재물을 탐내고 호색하며 마력과 법술에 믿고 행패를 부리며 온갖 못된짓을 다하며 그야말로 인간의 악질이며 관료의 화신이다 다른 측면으로 오승은이 부각한 영웅인 손오공은 악인을 원쓰로 여기며 굉장한 신통력을 가지고 있여 모든 흉악하고 잔인한 악마와 귀신들은 전부다 그의 신비한 무기인 여의봉밑에서 평소의 위풍을 잃거나 순간에 목숨을 거두며 또는 잡히고 만다. 이 것은 사회의 추악한 현상과 추악한 세력을 없애벌이려는 오승은의 강렬한 념원을 반영하였다

오승은의 <서유기>는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였다 수백년이래 <서유기>는 줄곧 아동문학작품과 영화텔레비죤과 희극작품의 원천으로 되여왔다.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루몽(紅樓夢)  (0) 2010.06.03
삼국연의(三國演義)  (0) 2010.06.03
생각의 3단계  (0) 2010.06.02
언어로 이해하는 중국 문화  (0) 2010.06.02
"만리장성, 쌀 풀 덕분에 지금도 건재"  (0) 201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