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을 해석한 해석의 한종류입니다.
유대인들은 그것을 다 율법의 한 종목으로 보왔기 때문에 그들은 실패를 하였습니다.
그 잘못된 것을 주께서 바로 잡아주셨습니다.
산상보훈을 통해서 말입니다.
미쉬나(Misgna) :: 미쉬나는 히브리어입니다.... 뜻은 '반복하다'입니다
미쉬나에대한 역사적 참고 자료들 입니다
- 미쉬나, 탈무드의 편찬
미쉬나는 성문 율법과 함께 구전 율법도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께로 받았다는
전승은 구전 율법의 권위를 말하고 있다라 합니다.
이러한 견해는 바리새파에 의해 발전되었고 유대교의 기본 원칙이 되었습니다.
유대교의 원칙이라 함은 개신교와는 무관함임을 아시기 바랍니다
지금 논하는 미쉬나는 성경과는 무관한 다른 유대교의 규래로서의
씨앗(Zeraim), 절기(Moed), 여성(Nashim), 손해(Nezikin), 성물(Kodashim), 정결(Teharoth)의 6편으로되어 있고,
각 편마다 다시 여러 항목으로 세분화 되어 있습니다.
미쉬나는 다시 아모라(해설자)의 토론과 설명이 덧붙여져 탈무드로 편찬되었습니다.
탈무드는 미쉬나를 본문으로 하고 그마라(주석)이 추가되었습니다.
4세기 후반 팔레스타인의 아모라임은 예루살렘 탈무드(또는 팔레스타인 탈무드로 부름)를 편찬하고,
한 세기가 지나서 바벨론에서도 바벨론 탈무드가 편찬되었습니다.
탈무드는 유대인의 모든 도덕, 민속, 역사, 삶의 방식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후에 기독교 통치하에서 탈무드는 금서로 정해져,
1242년 파리, 1553년 이탈리아, 1757년 폴란드에서 불태워졌습니다.
탈무드의 첫 인쇄판은 1520-1523년 비엔나에서 출판되었습니다
'관심 사 > 종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경개관 연구 (0) | 2011.10.24 |
---|---|
유대인이 자녀들에게 가르치는 이야기 2 권 - 아가다 (0) | 2011.10.24 |
예수를 죽인 것은 결국 돈 문제 때문이었다. (0) | 2011.10.24 |
유대인의 성경해석 미드라쉬 (0) | 2011.10.24 |
게티아[GOETIA]의 72 악령 (0) | 201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