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개론
이사야 요약
Ⅰ.서론
1.구분: 선지서 / 대선지서 (공통된 메시지: 하나님께 돌아오라)
2.저자: 이사야 “여호와께서 구원 하신다”라는 뜻
※ 선지자의 이름은 선지가가 하나님께 받아 선포하는 말씀과 교훈과 소망을 반영 하여 보여준다.
1) 이사야는 누구인가?
선지자, 역사가, 웅변가인 그는 귀족 출신인 아모스의 아들로써,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하나님으로부터 예언자로 불림을 받아 예루살렘에서 예언 활동을 하였다. 그는 궁전을 자주 드나들 수 있었고 왕을 대면 할 수 있었던 예언자였으며 국가의 중대한 일에 적극 개입하였다. 이스라엘의 전통에 의하면 므낫세 통치기간 중 빈 통나무에 갇혀 톱에 켜져서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참조: 히 11:37)
2) 이사야의 아들들
이사야는 예언자와 결혼을 하여(8:3) 상징적인 이름을 가진 아들들을 낳았는데 그들의 이름은 “스알야숩”(7:1-7)과 “마헬살랄하스바스”(8:1-41)이며 스알야숩은 ;남는 자가 돌아오리라‘라는 뜻이며 마헬살랄하스바스는 ‘전리품으로 번영하다’라는 뜻이다.
3.저작연대: 약 B.C. 740-680년경.
웃시야-요담-아하스-히스기야 4명의 남유다왕 통치기간동안 선지자로 활동하였다.
4.시대적 배경: 남유다와 북이스라엘로 나뉘고 후엔 북이스라엘이 멸망당하고 남유다만 살아남는 불행한 역사가 전개된 시대였다. 남유다의 수도인 예루살렘은 아하스 왕 시대에 시리아와 에브라임의 연합군의 침공을 받았고, 히스기야 왕 시대에는 앗수르 왕 산헤립의 공격에 정면으로 맞서 싸울 수밖에 없었다. 동시대에 호세아와 미가가 사역하였다.
5.이사야서 주제: ‘여호와는 구원’이시다. 남유다는 누적된 죄악 때문에 멸망하지만, 하나님은 ‘남은 자’를 보존하여 새롭게 회복하시고, 메시아를 통한 궁극적인 구원을 이루실 것이다.
6.특징-문학형식과 언어용법: 당대 최고의 웅변가인 이사야는 은유적,비유적,알레고리적,상징적,말놀이표현을 사용하여 그림 같은 생생한 언어를 사용하였고 능력과 감동을 주는 말투로 청중을 사로잡았다.
Ⅱ. 본론
1.이사야서 개요
Ⅰ 심판에 대한 예언들(1-35장)
A. 남유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1-12장)
B. 주변 국가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13-23장)
C. 온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24-35장)
Ⅱ 이사야가 이록한 역사(36-39)
A. 과거를 돌아봄 : 히스기야와 앗수르(36-37)
B. 앞을 내다봄 : 히스기야와 바벨론(38-39장)
Ⅲ 위로의 예언들(40-66장)
A. 하나님의 구원(40-48장)
B. 하나님께서 보내신 구원자(49-57장)
C. 하나님의 구원받은 사람들(58-66장)
2. 이사야 내용 분해 - 심판의 책 , 위로의 책
이사야서는 전반부(1-39장)과 후반부(40-66장), 크게 둘로 나뉜다. 전반부는 심판의 메시지를, 후반부는 위로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사야는 1)신병기적 원리를 따른다. 그래서 죄의 문제를 다룬 후 회복과 축복을 말씀하신다.
1)심판의 책(1-39): 전반부는 죄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회복 이전에 꼭 다뤄야 할 문제이며, 이 죄의 문제에서 강조된 심판은 하반부의 용서와 회개를 강력하게 필요 하도록 만든다.
2)위로의 책(40-66): 후반부는 용서와 회개를 이루는 구원이 메시아로부터 올 것을 예언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우주의 대변혁과 창조질서의 회복, 남유다의 심판 날이 언급되며, 이스라엘과 온 세계에 하나님의 심판과 하나님의 회복시키심이 기록되어 있다.
3) 저자 논란
일부학자들은 이사야의 후반부를 제2, 제3이사야가 썼다고 주장한다.
· 첫 번째 이유 : 전반부와 후반부의 분위기가 다름
→ 이사야는 전체에 걸쳐 심판과 구원을 절묘하게 결합했다.
· 두 번째 이유 : 이사야가 보지 않은 바벨론의 멸망을 기록
→ 이사야는 본 것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예언을 한 것이다. 이 주장은 하나님의 능력을 인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온 것이다.
3. 본문
Ⅰ심판의 메시지 (1-35장)
A. 남유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1-12장)
1. 서론 및 남유다에 대한 비난(1-5장)- 남유다의 범죄에 초점.
2. 이사야의 소명(6장)
3. 임마누엘의 책 (7-12장)
- 남유다를 축복으로 인도할 한 아이가 탄생할 때 까지(임마누엘 메 시아 예언) 남유다는 심판 아래 있게 될 것이다.
- 남유다 구원의 노래(12장)는 감사의 노래
B. 주변 국가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13-23장)
13장부터 열방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예언이 기록되어있음
바벨론 멸망에 대한 예언 13:1-14:23
앗시리아에 대한 경고 14:24-27
블레셋에 대한 경고 14:28-32
모압에 대한 경고 15-16
다메섹과 북이스라엘에 대한 경고,
앗수르의 멸망과 남유다의 회복 17
구스(에디오피아)와 애굽에 대한 경고 18-20
바벨론,에돔,아라비아 멸망에 대한 예언 21
예루살렘과 궁중 관리인에 대한 경고 22
두로와 시돈에 대한 경고 23
C.온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24-35장)
1. 부활과 종말론( 24-27장)
-하나님의 날에 대한 예언이 기록되어 있다. 이스라엘의 타락에 대한 여호와의 반응과 이스라엘에게 행한 열국의 과도한 행위에 대한 그 분의 반응의 결과로 이스라엘이 여호와께 돌아오고 회복을 위해 거 룩한 땅으로 돌아옴
2. 부패한 백성위에 임할 하나님의 재앙들(28-31장)
① 에브라임에게 미칠 화(28:1-8) 이사야는 하나님께서 술취한 사람 들의 자랑인 사마리아 성에 재앙을 내리실 것을 선포했다.
② 예루살렘의 심판과 회복(28:9-29:16) 예루살렘의 지도자들은 하 나님과 그 분의 말씀과 그분의 예언자들을 무시했다. 이사야는 그들의 영적 이해를 어린아이들의 이해로 비유했고, 주님께서 그 분의 방식으로 그분의 백성을 다시 일으키실 것을 경고했다.
3. 시온을 위한 궁극적 축복(32-35장)
1)장차 올 왕의 통치(32:1-20)
2)앗시리아에게 미칠 화(33:1-24)
3)주님이 열방에 대해 친히 보복하실 것이다.(34:1-17)
4)구속받은 자는 하나님의 구원을 볼것이다.(35:1-10)
Ⅱ 이사야가 기록한 역사(36-39) - 히스기야 시대의 사건들 기록,
전반부 후반부의 다리 역할
A.과거를 돌아봄: 히스기야와 앗수르(36-37장)
1.산헤립의 위험(36:1-22)
2.하나님의 구원(37:1-38)
B.앞을 내다봄: 히스기야와 바벨론(38-39장)
3.히스기야의 병과 회복(38:1-22)
4.바벨론 사절단이 히스기야를 방문함(39:1-8)
Ⅲ 회복의 메시지 (40~66장) - 메시아를 통한 구원
-이스라엘 메시아(마12;18-21)를 가리키는 4개의 “종의 노래” 등장-
A.하나님의 구원(40-48장)
1.바벨론의 멸망, 이스라엘의 구원과 회복(40-48장)
1) 첫 번째 종의 노래(42:1-9)는 하나님의 택하신 종 이스라엘의
사명, 곧 이방에 공의를 베푸는 사명을 제시한다.
B.하나님께서 보내신 구원자(49-57장).
1.고난받는 종을 통한 궁국적 구원(49-53장)
1)두 번째 종의 노래(49:1~6)에서 종은 그의 소명과 사명을 “이방의 빛”으로 아름답게 표현한다.
2)세 번째 종의 노래(50:4~11)는 고난과 거절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의 옹호하심을 믿는 종의 확고한 신뢰를 묘사하고 있다.
3)네 번째의 종의 노래(52:13~53:12)는 속죄의 행동으로서 여호와 의 종의 고난과 죽음을 선포한다.
2. 구원에 따르는 축복들(54-55장)
3. 남유다의 범죄에 대한 비난(56:1-57)- 의와 악을 대비하고 위로의 말씀을 기록한다.
C.하나님의 구원받은 사람들(58-66장)
1.하나님의 응답과 약속된 왕국(59:16-62장)
- 회복된 예루살렘의 영광을 축하하는 시, 종 된 백성의 사명, 그리고 시온에 대한 변명이 열거된다.(60-62장)
2.메시아의 신원과 이사야의 기도(63:7-64:12)
- 하나님의 원수 갚음을 서술, 애가와 긍휼에 대한 기도
3.하나님의 응답과 약속된 왕국(65-66장)
- 63-64장에서의 기도가 악인을 위한 심판과 의인을 위한 “새 하늘과 새 땅(65:17)”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으로 응답된다.
4. 구속사적 관점 - 다시 오실 메시아
<이사야서가 신약을 예언하는 증거>
1) 메시아의 모습에 관한 예언
(사53:2) 그는 주 앞에서 자라나기를 연한 순 같고 마른 땅에서 나온 줄기 같아서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은즉 우리의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
(사52:14) 이왕에는 그 얼굴이 타인보다 상하였고 그 모양이 인생보다 상하였으므로 무리가 그를 보고 놀랐거니와
◦ 본문의 내용처럼 구약성경에는 오실 메시야에 관한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2).메시아의 고난에 관한 예언
(사53:5)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 500~600년 전부터 하나님께서는 선지자 이사야를 통해 메시아의
고난을 미리 예언하고 있고, 이사야는 메시야를 '그'라고 표현하고 있다. 예수님의 제자 베드로는 성경에 예언된 내용을 모르고 고난을 받지 말 라고 말했다가 예수님에게 심한 꾸중을 듣기도 했다.(마16:21~23)
Ⅲ.결론 - 이사야서와 성경
이사야의 주요 골자는 “구원”이다. 이사야서는 그 구성에 있어서 성경을 축소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마치 성경이 구약39권과 신약27권으로 구분되듯 이사야서의 첫 부분은 39장이요 둘째부분은 27장으로 되어있다.
구약의 첫 부분이 인간의 죄사에 대한 하나님의 진술로 시작되고 있는데 이사야서의 시작도 이와 같다(사1:18). 이사야서의 이 첫 부분은 의의 왕이 오시라라는 것과 이스라엘의 구원에 대한 예언으로 끝나고 있는데(34-35장)마찬가지로 구약성경도 메시야 왕국이 앞으로 군림한다는 선지자들의 예언으로 끝나고 있다. 이사야서의 두 번째 부분(40장 이후) 는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세례요한)에 대해,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역사에 관한 내용으로 시작하고 있는데, 신약성경도 그와 똑같은 내용 즉 예수님의 선구자 세례요한에 대하여 시작하고 있다(요1:6, 23). 이사야서는 의인들이 거하는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환상으로 끝나고 있고 신약도 이와 똑같은 관점에서 계시록으로 끝나고 있다.
우리는 이사야서에서 그리스도를 볼 수 있으며, “그가 오시리라”, “그가 다시 오시리라”라고 부르짖는 선지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가 오실 때에는 34장에 나타난 것처럼 권세와 큰 영광중에 오실 것이며, 53장에 묘사된 것과 같이 우리 죄를 짊어지는 구세주로 오신다.
-참고문헌-
►변순복, 구약산책(대서)
►김지찬, 구약개론(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찰스H다이어&유진H메릴, 구약탐험(디모데)
►정중호, 이사야 1-23(PA프리칭아카데미)
►성경의 파노라마(백석대학교)
►최만수,「이사야의 하나님 우리의 하나님」, (그리심출판사, 2005).
►브라이언E.베이어지음 곽철호. 류근상 옮김「이사야서의 역사적신학적 강해」, (크리스찬, 2009).
►알렌맥그레지음, 전병두 옮김,「이사야의 복음」, (교회교육연구원, 1985).
►장관섭,「마스터성경개관」, (리폼드, 2005).
►임용재,「성경요점정리」, (목양, 2005).
►갓피플 자료&지식 성경총론 “이사야”
1) 모세의 율법대로 살지 못했기 때문에 축복의 시기 전에 형벌이 와야 한다는 주장
'관심 사 > 종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쩨다카 - 구제 (0) | 2011.10.24 |
---|---|
유태교 예배용품 - 1 (0) | 2011.10.24 |
구약개론 - 출애굽에서 레위기까지 (0) | 2011.10.24 |
오경개관 연구 (0) | 2011.10.24 |
유대인이 자녀들에게 가르치는 이야기 2 권 - 아가다 (0) | 201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