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사/종교 관련

인도의 박티신앙 / 이정식

지식창고지기 2011. 10. 31. 11:34

원래 박티란 신에 대한 헌신을 통하여 신과 인간의 신비적 합일을 추구하는 일종의 대중적 신앙운동이었다...지식(즈냐나), 행위(카르마)와 함께 해탈의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로 박티 신앙이 인정되기 시작했다. 7세기경 남인도의 타밀 지역에서는 비슈누와 시바 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강조하는 시들이 크게 유행했다. 그들은 자신들이 믿고 있는 신이 비인격적이고 절대적이며 추상적이라고 생각했다. 또 그와의 합일도 너무 딱딱한 이성적 방법에 치우쳐 있다고 느꼈다. 그러한 사실에 불만을 느낀 사람들은 자신들이 실제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격신을 원했고, 실제적인 사랑을 통하여 합일과 해탈을 추구하려고 노력했다.

  이들 박티 종교인들은 사람들에게 불교나 자이나교에서 주장하는 고행과 명상이라는 방법 대신 인격신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을 통하여 해탈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쳤다. 그들은 스스로를 사랑의 전령으로 자처하면서 모든 사람은 신 앞에서 누구나 평등하다고 주장했다... 라마누자는 개별적 자아가 절대자인 신과 합일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을 향한 무한한 헌신을 인정했다. 또한 신은 우리의 헌신적인 사랑을 받을 수 있기 위해서 반드시 인격적 존재여야만 하며, 그러한 신이 바로 비슈누라고 주장했다... 박티 종교의 사상은 이슬람 가운데서도 특히 수피의 사상이 인도에 들어오면서 대중화에 더욱 불을 당겼다. 기존의 낡고 형식적인 종교에 불만이 있던 당시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이성과 열정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종교를 원했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박티 신앙 운동에 결정적인 공헌을 한 사람은 카비르와 나낙이라고 할 수 있다. 카비르(1440~1518년)는 신과의 합일을 강조하는 대신 우상 숭배나 형식적인 예배 등을 단호하게 거부했다. 그는 성스러운 생활을 위하여 일상적인 가정 생활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가르쳤다. 그 대신 누구든 신에 대한 끝없는 사랑과 헌신만 있다면 충분히 해탈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크교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나낙(1469~1538년)은 신은 오직 한 분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사랑과 헌신의 마음을 지닌 채 신 속에서 살아가야 하며 신의 이름을 끊임없이 부르는 사람은 누구든 해탈과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쳤다. 나낙은 또한 신에게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몸과 마음이 순수해야만 하고 또한 스승의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카비르 판트는 힌두교의 한 분파로 흡수되어 버린 데 반해 시크교는 강한 공동체 의식과 적극적인 사회생활 덕분에 오늘날에도 어엿하게 독립된 종교로 활동하고 있다.

   카비르와 나낙이 박티에 근거한 탈종파적 종교운동을 벌이는 사이 북인도에서는 비슈누 신의 화신으로 라마와 크리슈나에 대한 예배를 강조하는 또 다른 형태의 종교 운동이 발전했다. 정해진 운명대로 출생하자마자 부모곁을 떠나 목동들 사이에서 성장한 크리슈나와 그의 연인 라다 사이에 얽힌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는 15~16세기경 수많은 성자와 시인들의 가장 빈번하게 노래했던 주제였다. 둘 사이의 사랑을 신과 인간 사이의 사랑에 비유하면서 박티 사상의 핵심으로 각색해서 대중들에게 널리 유포시켰다....

  차이타냐는 신비하고 초월적인 경험을 통하여 외부 세계를 잊어버린 채 언제나 자신이 하리라고 불렀던 신 속에 거주하면서 그것을 춤과 음악으로 표현했다. 차이타냐에 의하면 신에 대한 예배는 사랑, 헌신, 노래, 춤으로 구성되며 그것들을 통하여 신과 하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배 형식은 계급이나 직업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가능했다.... 이처럼 신과 인간의 하나됨을 주장하는 사상은 원래 인도의 정통 철학인 베단타 사상 속에도 들어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성자들은 이 같은 사상을 주로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형태보다 인간적인 형태로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남녀 간의 사랑을 비유로 들어 신과의 합일을 은유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다.

 

- 김형준, [이야기 인도사], 청아출판사, 2006, pp.356-364 참고.

'관심 사 > 종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힌두교와 불교의 차이는?  (0) 2011.10.31
힌두교와 불교 사상 요약!  (0) 2011.10.31
인도와 힌두교  (0) 2011.10.31
힌두교와 인도 문화  (0) 2011.10.31
"결혼 때문에 개종하는 한국인 이해안돼"  (0) 2011.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