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PF 줄도산 '공포'…10곳 더 무너지나
한국경제
시장 침체 지속·대출 만기 연장 못해 '한계 상황'
정부가 건설사·금융권 중재…사업장 공동관리해야
거래소시장 상장사인 중견 건설업체 A사는 최근 신용정보업체들의 신용등급 강등에 이어 부동산 매각까지 부진해 3개월 사이 주가가 반토막 났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을 시작한 것이 화근이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과 PF 사업장 매각을 추진 중이지만 관심을 보이는 기업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에 들어가 있는 B사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설이 꼬리를 물고 있다. 대규모 미분양 물량 처리에 애를 먹고 있는 데다 수주 부진도 겹쳐 향후 일감이 부족해서다.
PF발(發) 건설사 줄도산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2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PF 대출 부실을 해결하지 못하면 내년 상반기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10여개 건설사가 꼽히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유럽발 재정위기에 김정일 사망으로 주택·건설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눈덩이처럼 불어난 금융부담을 감당하기 힘든데 금융사들이 PF 대출 상환을 압박하고 있어 한계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건설경기가 호전될 기미가 없다는 점이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09년 58조5000억원이던 공공발주 공사는 지난해 38조2000억원, 올해 29조6000억원으로 줄어든 데 이어 내년에는 28조6000억원으로 위축될 전망이다. 한 건설사 주택 담당 임원은 "주택업 비중이 높은 건설사들은 하나같이 한숨만 쉬고 있다"며 "PF에 물려 있는 사업장이 두 곳 이상이면 언제든지 대주단에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시한부 목숨"이라고 지적했다.
올 하반기 임광토건 범양건영 신일건업 고려개발 등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행을 선택한 것도 모두 PF 대출로 인한 유동성 부족 탓이었다. 현재 시공능력평가 100위 내 건설사 중 24개사가 '병원 신세'다.
◆PF 대출 회수 옥죄는 금융권
부동산 PF 사업장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건설사들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부동산 개발업체 관계자는 "고려개발은 대림산업이라는 버팀목이 있었지만 결국 워크아웃에 들어갔다"며 "대부분의 주택건설 전문업체들은 금융권의 PF 대출금 압박에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금융권은 주택·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PF 대출 만기 연장에 빗장을 걸었다. 국민은행은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에버랜드 삼성엔지니어링 등 삼성 계열, 현대건설 현대엠코 등 현대차 계열, GS건설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태영건설 KCC건설 등 13개사의 PF 사업장만 대출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중견 건설사 재무담당 임원은 "13개사 외에는 아예 PF 대출 얘기를 꺼내지도 못한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부실 PF의 불똥은 모회사나 우량 사업장으로 튀기 일쑤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국내 PF는 사업성을 제대로 평가 않고 시공사의 지급 보증에 의존하는 담보대출에 다름 아니다"고 꼬집었다.
◆'프로젝트 부분 워크아웃' 도입돼야
건설업계는 부동산 경기를 회복하고 건설사 줄도산을 막으려면 PF 사업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 대안으로 '프로젝트 부분 워크아웃' 활성화가 제시되고 있다. 건설사와 금융권(대주단)이 정부 중재 아래 PF 대출 연장 및 금리 인하 등을 논의하는 제도다. 개별 PF 사업장을 공동 관리하기 때문에 건설사의 일반 수주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 제도가 성공하려면 눈덩이처럼 불어난 이자를 덜어주고 이자율도 연 2~3%대로 낮추며 원금은 몇 년간 분할상환하는 등 금융권의 지원이 필요하다. 프로젝트를 살려서 분양하는 것이 캠코(자산관리공사) 등에 헐값으로 매각하는 것보다 낫다는 전제가 달린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정부가 건설사·금융권 중재…사업장 공동관리해야
거래소시장 상장사인 중견 건설업체 A사는 최근 신용정보업체들의 신용등급 강등에 이어 부동산 매각까지 부진해 3개월 사이 주가가 반토막 났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을 시작한 것이 화근이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과 PF 사업장 매각을 추진 중이지만 관심을 보이는 기업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에 들어가 있는 B사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설이 꼬리를 물고 있다. 대규모 미분양 물량 처리에 애를 먹고 있는 데다 수주 부진도 겹쳐 향후 일감이 부족해서다.
◆내년 상반기 10여곳 부실화하나
PF발(發) 건설사 줄도산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2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PF 대출 부실을 해결하지 못하면 내년 상반기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10여개 건설사가 꼽히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유럽발 재정위기에 김정일 사망으로 주택·건설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눈덩이처럼 불어난 금융부담을 감당하기 힘든데 금융사들이 PF 대출 상환을 압박하고 있어 한계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건설경기가 호전될 기미가 없다는 점이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09년 58조5000억원이던 공공발주 공사는 지난해 38조2000억원, 올해 29조6000억원으로 줄어든 데 이어 내년에는 28조6000억원으로 위축될 전망이다. 한 건설사 주택 담당 임원은 "주택업 비중이 높은 건설사들은 하나같이 한숨만 쉬고 있다"며 "PF에 물려 있는 사업장이 두 곳 이상이면 언제든지 대주단에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시한부 목숨"이라고 지적했다.
올 하반기 임광토건 범양건영 신일건업 고려개발 등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행을 선택한 것도 모두 PF 대출로 인한 유동성 부족 탓이었다. 현재 시공능력평가 100위 내 건설사 중 24개사가 '병원 신세'다.
◆PF 대출 회수 옥죄는 금융권
부동산 PF 사업장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건설사들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부동산 개발업체 관계자는 "고려개발은 대림산업이라는 버팀목이 있었지만 결국 워크아웃에 들어갔다"며 "대부분의 주택건설 전문업체들은 금융권의 PF 대출금 압박에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금융권은 주택·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PF 대출 만기 연장에 빗장을 걸었다. 국민은행은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에버랜드 삼성엔지니어링 등 삼성 계열, 현대건설 현대엠코 등 현대차 계열, GS건설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태영건설 KCC건설 등 13개사의 PF 사업장만 대출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중견 건설사 재무담당 임원은 "13개사 외에는 아예 PF 대출 얘기를 꺼내지도 못한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부실 PF의 불똥은 모회사나 우량 사업장으로 튀기 일쑤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국내 PF는 사업성을 제대로 평가 않고 시공사의 지급 보증에 의존하는 담보대출에 다름 아니다"고 꼬집었다.
◆'프로젝트 부분 워크아웃' 도입돼야
건설업계는 부동산 경기를 회복하고 건설사 줄도산을 막으려면 PF 사업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 대안으로 '프로젝트 부분 워크아웃' 활성화가 제시되고 있다. 건설사와 금융권(대주단)이 정부 중재 아래 PF 대출 연장 및 금리 인하 등을 논의하는 제도다. 개별 PF 사업장을 공동 관리하기 때문에 건설사의 일반 수주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 제도가 성공하려면 눈덩이처럼 불어난 이자를 덜어주고 이자율도 연 2~3%대로 낮추며 원금은 몇 년간 분할상환하는 등 금융권의 지원이 필요하다. 프로젝트를 살려서 분양하는 것이 캠코(자산관리공사) 등에 헐값으로 매각하는 것보다 낫다는 전제가 달린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관심 사 > 사업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리지론이란?(Bridge Loan) (0) | 2012.01.31 |
---|---|
브릿지론(Bridge loan) (0) | 2012.01.30 |
개발건설 프로젝트 금융투자 (0) | 201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