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교의 경전 - 타나크(Tanakh, 히브리어: תנ"ך)
-------------------------------------------------------------
경전을 구성하는 세 분류명을 늘여서 쓴 형태이며 (תורה נביאים כתובים),
각 분류명의 맨 앞글자만을 따서 약칭으로 '타나크(תנ"ך)'이 된 것이다.
기독교의 경전 가운데 하나인 구약성서는
이 타나크를 세계 여러나라의 언어로 번역한
수많은 판본 및 번역본을 가리킨다.
------------------------------------------------------------
[1]
유대인의 성서는 대략 기원전 1500~400년대 사이에 오랜 세월을 거쳐
바빌로니아, 팔레스티나, 이집트 등의 지역에서 낱권들로 기록된 경전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서,
오랜 세월을 거쳐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졌다.
유대인의 전통에 의하여 총 2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경전으로 받아들인 기독교에서는 오늘날 종파에 따라 다른 분류를 쓰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을 한 판본들이 공개되어 있다..
[2]
기독교에서 공인된 구약성서와 유대교의 성경은 몇몇을 제외하고는 내용이 거의 일치하나,
경전을 나누는 분류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에서 경전의 목록을
확정할 당시 따랐던 전승의 차이에 근거한다.
애초에 성서는 다른 지역에서 쓰인 기록이었기 때문에,
지역 및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판본과 낱권들이 생겨나,
성서를 하나로 묶는 과정에서 어떤 것을 경전으로 삼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다.
결국 유대교에서는 히브리어로 쓰인 판본이 남아 있는 문서를 대상으로 경전화 작업을 행하였으며,
기원전 4세기에 오늘날의 모습으로 체계화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당시 그리스어로 된 판본만이 있던 일부 문서들은 경전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3]
한편 기독교에서는 이집트에서 만들어진 70인역에 보존된 내용을 근거로 구약성서를 정립하게 되었다.
이 70인역에는 이른바 제2경전이라 불리는 7개의 서적 및 2개의 정경 추가분이 포함되어 있으나,
히브리 말로 된 사본이 발견되지 않았기에, 유대교에서는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엄밀히 말해 타나크 .... 또한 구약성서의 판본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
성경의 원문은 소실되어 없으며 원문에 가깝다 여겨지는 여러 판본들이 존재한다.
또 그 가운데 표준으료 여겨지고 있는 것은 AD 8세기 전후 만들어진 '마소렛'이라 불리는
유대인 성서 본문 비평가들의 작업과 전승에 의해 내려온 판본이다.
------------------------------------------------------
마소렛(Masoretes)
히브리어: בעלי המסורה ba'alei hamasorah = 바알레이 하마소라
7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이스라엘 티베리아(디베랴)와 예루살렘과 바빌로니아에서 활동하던
히브리어 구약성서를 검토, 편찬한 전수자, 필사자와 학자들 (서기관)을 일컫는다.
이들은 자음으로만 되어 있던 히브리어 성경의 발음을 정착했으며,
이를 위해 모음 기호를 개발하여 붙였다.
주로 벤 아셔(Ben Ăser)가문의 사람들이 마소라 사본을 만들고 보존하는 데 공헌하였으며,
오늘날 구약성서의 편집은 특히 벤 아셔 가문에 의해 도입된
모음 구분 부호법을 전형으로 하고 있다.
이 부호 기입법을 "벤 아셔 표기법" 또는 "마소렛 표기법" 또는
마소렛이 살던 도시 티베리아스 (טבריה)의 이름을 빌어 "티베리아스 표기법"이라 부르고 있다.
약간 다르지만 벤 나프탈리 가문의 마소라 사본도 전해지고 있다.
출처 :시드니 사랑방 모임
'관심 사 > 종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나크(Tanakh, 히브리어: תנ"ך)와 613의 율법 (0) | 2011.12.25 |
---|---|
타나크(구약)비평 (1) .. 타나크는 역사적 소설 (0) | 2011.12.25 |
새벽취객 싹쓸이범 알고보니 목사님 (0) | 2011.12.24 |
야곱은 장자권을 누구에게 줬는가 (0) | 2011.12.24 |
구약과 신약의 외경, 위경 종류 (0) | 201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