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으로 '유성우' 기원 규명
아시아경제 | 김철현 | 입력 2009.11.25 11:36 |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국내연구진이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사분의자리(Quadrans Muralis)' 유성우의 기원을 규명했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이기원, 양홍진 박사팀이 조선왕조실록의 고천문 기록을 분석해 성종 21년인 1490년의 혜성 기록이 사분의자리 유성우의 기원임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천문학회지(MNRAS)에 게재될 예정이다.
국제천체물리센터 고천문연구그룹의 이기원, 양홍진 박사와 경북대학교 박명구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은 사분의자리 유성우 기원 규명과 함께 이 혜성이 소행성 '2003 EH1'의 모체일 가능성도 확인했다.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유성우란 하늘의 어떤 지점(복사점)으로부터 유성이 단시간에 많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이는 혜성이 태양주위를 지나가면서 뿌려놓은 먼지 입자 대역(유성 흐름)을 지구가 통과할 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복사점이 사분의자리에 있는 유성우는 매년 1월 초에 관측되며 사자자리 유성우와 더불어 시간당 떨어지는 유성의 수가 가장 많다고 천문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지난 1979년 일본에서 1490년 말에 나타난 혜성이 사분의자리 유성우의 기원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지만, 이번 연구는 혜성의 위치 등이 상세하게 기록된 조선왕조실록 자료를 분석해 유성우의 기원을 명확하게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당시 혜성의 관측자, 관측에 사용된 관측기기인 소간의(小簡儀) 등도 함께 소개하고 있어 우리나라 고천문 자료의 가치와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이기원, 양홍진 박사팀이 조선왕조실록의 고천문 기록을 분석해 성종 21년인 1490년의 혜성 기록이 사분의자리 유성우의 기원임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천문학회지(MNRAS)에 게재될 예정이다.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유성우란 하늘의 어떤 지점(복사점)으로부터 유성이 단시간에 많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이는 혜성이 태양주위를 지나가면서 뿌려놓은 먼지 입자 대역(유성 흐름)을 지구가 통과할 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복사점이 사분의자리에 있는 유성우는 매년 1월 초에 관측되며 사자자리 유성우와 더불어 시간당 떨어지는 유성의 수가 가장 많다고 천문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지난 1979년 일본에서 1490년 말에 나타난 혜성이 사분의자리 유성우의 기원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지만, 이번 연구는 혜성의 위치 등이 상세하게 기록된 조선왕조실록 자료를 분석해 유성우의 기원을 명확하게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당시 혜성의 관측자, 관측에 사용된 관측기기인 소간의(小簡儀) 등도 함께 소개하고 있어 우리나라 고천문 자료의 가치와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관심 사 > 잡다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실록이 사분의자리 유성우 기원 규명 (0) | 2010.01.08 |
---|---|
유성우 기원 500년전 기록서 찾았다 (0) | 2010.01.08 |
<과학> 지구는 어떻게 태양에 빨려들지 않았나 (0) | 2010.01.08 |
아마존 유역서 ‘잃어버린 문명’ 발견 (0) | 2010.01.06 |
공정-공사비 통합관리 시스템, 일정-비용 통합관리 시스템 (0) | 2010.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