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종교
1. 종교의 주제
1) 음과 양
우주적인 인간- Pan Ku, 그는 무거운 것(음)과 가벼운것(양)으로 구성됨. 음양설- 혼은 양의 성질로써 조상의 정령과 합류, 육체적인 영혼은 음, 악한 혼백은 귓신 되어 세상을 떠돌며 사람을 괴롭힌- 김기동의 베뢰아파와 유사.
음양오행설 (陰陽五行說)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양 두 원리의 소장(消長)으로 설명하는 음양설과, 이 영향을 받아 만물의 생성소멸(生成消滅)을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변전(變轉)으로 설명하는 오행설을 함께 묶어 이르는 말. 즉, 음양이란 사물(事物)의 현상을 표현하는 하나의 기호(記號)라고 할 수 있다. 음과 양이라는 두 개의 기호에다 모든 사물을 포괄․귀속시키는 것이다. 이는 하나인 본질(本質)을 양면으로 관찰하여 상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을 표현하는 이원론적(二元論的) 기호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오행은 우주만물을 형성하는 원기(元氣), 곧 목․화․토․금․수를 이르는 말인데, 이는 오행의 상생(相生)․상극(相剋)의 관계를 가지고 사물간의 상호관계 및 그 생성(生成)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방법론적 수단으로 응용한 것이다. ① 오행상생(五行相生):오행의 운행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을 낳는 관계이며, 곧 목생화(木生火)․화생토(火生土)․토생금(土生金)․금생수(金生水)․수생목(水生木)이 된다. ② 오행상극(五行相剋):상극에는 억제(抑制)․저지(沮止)의 뜻이 내포되었고, 그 상호관계는 목극토(木剋土)․토극수(土剋水)․수극화(水剋火)․화극금(火剋金)․금극목(金剋木)으로 되었다.
【한방의학과 음양오행학설】
〈한방의학의 철학적 배경〉 음양오행학설은 한방의학의 중요한 기초이론이다. 한방의학의 자연관(自然觀)과 인체의 생리(生理)․병리(病理)에 대한 원리․진단․치료․약물 등에 대한 이론은 모두가 이 음양오행으로 설명된다. 이는 한방의학의 발상지인 중국의 고대 의학자들이 음양오행학설을 응용하였기 때문이다.
〈인체와 음양〉
음양을 인체에 적용시켜 보면 외(外)는 양이고 내(內)는 음이며, 장(臟)은 음에 속하고 부(腑)는 양에 속한다. 인체의 생리기능상 혈압상승, 분비액의 증가 등은 양적(陽的) 현상이며, 혈압강하․분비액의 저하 등은 음적(陰的) 현상이다. 인체에서 이 음양의 조화가 깨어지면 병적인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한방의학은 양과 음의 과다(過多)와 부족을 조화시켜 깨어진 음양의 균형을 되찾도록 해주는 치료학이라 하겠다.
〈인체와 오행〉
한방의학에서는 오행의 생극(生剋)의 이치를 운용하여 인체에 있는 내장(內臟)의 상호자생(相互資生)․상호제약(相互制約)의 관계를 설명하며, 오행의 귀납법(歸納法)으로 인체의 각 부위간(部位間)의 상호연관을 설명한다. 인체는 오장(五臟), 즉 간(肝)․심(心)․비(脾)․폐(肺)․신(腎)과, 육부(六腑) 즉 담(膽)․위(胃)․소장․대장․방광․삼초(三焦),오체(五體) 즉 피모(皮毛)․기육(肌肉)․혈맥․근(筋)․골수(骨髓), 오관(五官) 즉 귀․눈․입․코․혀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인체 외부의 자연환경이란 계절의 변화(春․夏․秋․冬), 오기(五氣:風․暑․寒․濕․燥), 오색(五色:靑․赤․黃․白․黑), 오미(五味:酸․苦․甘․辛․鹹) 등을 가리킨다.
한방의학에서는 이러한 체내․체외의 복잡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들을 오행의 고유한 특성에 맞추어 분류하고, 그 속성(屬性)이 같은 부류에 속하는 것을 각각 오행에 배속시켰다. 오장을 예로 들면 간(肝)은 목(木)에, 비(脾)는 토(土)에, 심(心)은 화(火)에, 폐(肺)는 금(金)에, 신(腎)은 수(水)에 각각 배속시킨다. 인체를 오행과 결합시키는 데는 오장을 위주로 하고, 이를 통해서 육부․오체․오관․오색 등과 결합시키며, 여기에 일련의 관계가 형성된다. 즉, 일례를 들면 봄철과 간(肝)은 목(木)이므로 이 관계에 의해 담(膽)․목(目)․근(筋)․산(酸)․청(靑)․풍(風)․생(生)과 일련의 발전과정이 성립된다.
이와 같이 오행에 연관지어진 계절의 변이를 통해서 오기의 변화와 발전과정, 그리고 오미․오색 등을 결합시켜 이들 자연현상과 속성을 인체의 오관에 비유하고 있으며, 다시 육부․오체 등을 연결시켜 자연 현상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인체 장기(臟器) 간의 생리적인 현상을 계통적으로 해석․관찰한다. 간에 관해서 좀더 설명한다면 간은 담과 표리관계(表裏關係)이며, 심장과 상호자생의 관계에 있다(木[肝]生火[心]의 관계이므로). 한방의학에서는 이렇듯 오행생극(五行生剋)의 제약(制約)과 화생(化生)의 작용을 운용함으로써 장부(臟腑) 사이의 생리적인 상호협조와 제약관계 및 그 평형현상을 설명하며 또 장부의 병리변화(病理變化)를 추정․해석한다. 따라서 오행설은 질병의 한방적 치료 및 진단에 중요한 준거이론(準據理論)이라 할 수 있다.
2) 천
- 윤리적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최고의 신, 권선징악 사상,
3) 영의 세계
- 많은 영의 실존을 인정, 설날의 불꽃놀이는 시끄러운 소리로 악귀에게 겁을 주고, 악귀들을 쫓아내는 밝은 빛을 잠시 동안 내뿜는 것.
4) 도
- 사물들이 마땅이 따라가야 할 길-하나의 신비로운 세력인 도는 사물과 조화.
5) 조상 숭배
상나라 시대부터 시작, 청동 자기는 천 숭배에 사용, 점술을 조상의 뜻을 알기위함, 후에 중국인들은 죽은 조상들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존재 인정하고 조상숭베 사상을 반들었다. 결국 죽은 자가 산 자의 화복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다는 사상이 형성, 가문은 어떤 댓가를 치러서도 이어져아한다고 생각. 사회에서 윤리적 기능을 담당. 중요한 계획을 조상들에게 아뢰고, 결혼, 땅 구입에 영향을 줌.- 오늘날 한국의 풍수지리및 궁합, 미신이 근원을 보여준다. , 공자는 조상 숭배을 인정- 죽은자 섬기는 법, 이것은 효사상에 나타난다.. 중국의 조상숭배는 한국의 장례의식과 제사의식이 거의 동일하다.
2. 논어와 공자- 유교
1) 자료- 논어, 한때 진나라에서 소각.
2) 생애- 주전 551-479, 사회 부패의 척결위한 윤리 원칙 제시
제 1 원칙-예- 기존의 규칙을 준수, 영들과 왕에게도 적용, 모든 행동의 길잡이,
제 2 원칙-인- 인간성, 다른이를 사랑하는 것, 중국의 계급사회에서 의무를 준수하며 인을 실현.
제 3 원칙-효- 윗사람에 대한 순종과 존경, 오륜-군신, 장유,부자, 부부, 형제,
제 4 원칙-신- 다른 사람들에게 성실할 것, 상호 우애의 정신.
제 5 원칙-충- 높은 계급의 사람들에게 충성심
3) 해석가 및 반대자
맹자-성선설을 주장. 공자의 가르침을 학문에 접목함
순자-공자와 맹자를 거부, 성악설, 인간은 반항적이고 무질서적이기에 행동을 지도하깅 위해서는 행동 규범을 강화해야할 것. 진 왕조의 철학.
묵자- 군신, 장유등의 계급 타파 주장, 사회를 평등화하자. 특권 계층을 무너뜨리고 했다. 겸애 교리를 주장-모든 사람이 모든 사람들을 사랑으로 대하라. 계급과 지위를 바탕으로 특별한 사랑을 베풀어서는 안된다. 모든 지역과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관심과 돌보심 주장.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 개념의 분석적 이해 (0) | 2010.02.05 |
---|---|
티베트 문화와 불교 (0) | 2010.02.05 |
중국의 종교 이해 (0) | 2010.02.05 |
중국인이 좋아하는 한식 55선 (0) | 2010.01.31 |
김성옥 교수, 중국인이 좋아하는 '한식 메뉴' 찾았다 (0) | 201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