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미기록종인 가칭 ‘뻐꾸기 사촌’이 제주에서 발견됐다.

아열대성 조류인 이 새는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확장되면서 제주에 날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생태사진연구회 사진가 김기삼씨(54)는 지난 6일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습지 인근에서 이 새를 발견, 3시간 동안 추적 끝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촬영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김씨는 몸이 까맣고 생김새가 까마귀와 비슷한 이 새의 한국명을 임시로 ‘뻐꾸기 사촌’으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이 새는 뻐꾸기과에 속하지만 뻐꾸기와는 달리 탁란(托卵:알을 다른 새의 둥지에 맡김)하지 않고 직접 둥지를 짓고 새끼를 키우는 습성이 있다.

이 새는 중국 남부, 대만,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 등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종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5월 충남 태안군 격렬비열도에서 이 새의 사체가 발견된 적이 있으나 현재까지 한국조류목록에는 공식적으로 등재돼있지 않았다.
<좌동철 기자>roots@je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