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fe/주영숙·난정뜨락

이백과 두보의 시문학 비교

지식창고지기 2010. 12. 13. 22:19

모두 5만여 수에 달하는 唐詩(당시)는

기원전의 周(주)대부터 남북조시대까지의 1천6백여 년 동안 생산된 시가 보다 양적으로 두세 배가 된다.

질적인 면에서도 다양성과 창조성이 그 어느 시대보다 풍부했다.

이렇듯 화려한 唐代(당대)에 활약했던 이백과 두보는  각기 개성과 업적을 남긴 중국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꼽힌다.

 

이백의 자는 太白(태백)으로, 701년 중앙아시아에서 한족 출신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 아버지를 따라 西川(서천)으로 옮겼으나,

25세에 집을 떠나 세상을 홀로 떠다니던 그는 40여세에 즈음하여 잠시 관직에 발을 들여놓았다가

다시 방랑길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당의 역사는 물론 중국사의 향방을 바꾸어 놓은 安綠山(안록산)의 난(755-763).

이백은 그에 관여하여 형벌을 받게 되는 처지에 이르렀다.

이때 그는 다시 유랑의 길에 올라, 마침내 762년 병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詩仙(시선)」이라 불리는 이백은 생애를 거의 방랑길에서 보냈으며, 주로 낭만적인 성향의 시를 1천 수 이상 남겼다.

그의 시는 대개 시풍이 호방하고 상상력이 풍부하고 언어 사용이 명쾌했으며, 그 사상적인 기반은 도교였다.

비록 낭만적인 색채가 강했지만, 당시의 귀족정치에 대한 신랄한 비판도 짙게 담겨져 있다.

 

두보는 712년 河南(한남)에서 당대의 시인이었던 杜審言(두심언)의 손자로 태어났다.

그는 거의 관직에 기웃거리지 않고 일생을 가난과 방랑 속에서 보냈다.

약 1천4백수에 달하는 그의 시는 강한 사회성을 띠고 있었다.

즉 부패한 사회와 비참한 현실, 불합리한 윤리 등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국가와 민중에 대한 열렬한 애정을 그대로 노출시켰던 것이다.

특히 그는 시를 통해 안록산의 난 동안 전화 속에서 고통받는 민중의 고통을 대변했다.

이백이 시선이라는 별명을 가진 반면 두보가 「詩史(시사)」라고 불리게 된 것도 바로 그러한 사회성 때문이다.

또한 이백이 현실보다는 일상을 벗어난 환상의 세계를 묘사하는데 주력했다면,

두보는 보다 현실적인 소재를 보다 현실적인 기법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대조적인 성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시인은 서로 끈끈한 교분을 지니면서 지냈다.
이처럼 당시(唐詩)라고 하면 으레 이백과 두보를 첫손으로 꼽는 것이 상식이다.

물론 왕유와 백거이와 두목과 이상은 같은 대가들이 있지만, 이백과 두보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 두 사람은 같은 시대에 같은 길을 걸었으면서도 우열을 가릴 수 없을 만큼 시의 최고봉을 더불어 누렸다.

앞서 밝힌바와 같이 이백을 시의 신선(시선; 詩仙)으로 받드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두보를 시의 성인(시성; 詩聖)으로 받들기도 한다.

사실 이백은 선천적인 재질이 뛰어나서 주변의 온갖 것을 시화(詩化)해서, 보고 듣고 생각하는 일체가 시 아닌 것이 없다.

그러니까 이백에게는 모든 것이 시의 소재가 되었던 것이다.

반면에 두보는 온갖 것을 시로 엮어 내는 고심과 재치가 남달랐다.

이태백과 두보에게는 우열이 있을 수 없다.

굳이 비교한다면 각자의 특색이 있을 따름이다.

 

이태백이 연꽃처럼 청순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환상적으로 그려내 우리를 높고 우아한 정신세계로 이끌었다면,

두보는 뼈를 깍는 학습과정과 노력으로 인생과 사회를 반영하면서 우리를 넓고도 광활한 현실사회로 인도하였다.

그러므로 이태백이 낭만적이라면 두보는 사실적이요,

이태백이 유미주의적이라면 두보는 현실주의적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1. 들어가며

2. 당대(唐代)의 시대의 배경

3. 당시의 시기별 특징
(1) 초당
(2) 성당
(3) 중당
(4) 만당

4. 시선(詩仙) 이백의 생애와 사상

5. 이백시가의 예술적 특징

6. 시가발전사에서의 이백의 위치와 영향

7. 이백 악부의 내용

8. 이백의 작품에 드러나는 제세의지

9. 시성 두보의 생애와 사상

10. 두보의 시기별 분류
(1) 전기 - 안녹산의 난 이전
(2) 후기 - 안녹산의 난 이후

11. 두보의 시 분석

12. 이백과 두보의 만남과 이별

13. 이백과 두보의 시 비교

14. 중국문학의 범주를 벗어난 시작의 본보기, 이백과 두보

15. 참고자료

'Blog·Cafe > 주영숙·난정뜨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가와 궁녀 15~20  (0) 2010.12.14
화가와 궁녀 1~14  (0) 2010.12.14
문인화의 현대적 의미와 '왕유'  (0) 2010.12.13
竹里館(죽리관) - 왕유  (0) 2010.12.13
"桃 花 源 記"(무릉도원) - 도연명   (0) 201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