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치료에서 말을 이용하는 이유
- 말의 걸음걸이는 인간의 보행과 유사하여 승마 중에 말의 걸음걸이로 주입된 감각은 신경과 감각의 역학적 관계에서 인간과 일치함을 보이고 이는 걸을 수 없는 장애인의 대뇌신경에서 정상인의 보행시에 나타나는 운동신경반응을 유도해 낼 수 있습니다.
- 말의 민감한 등(Horse Back)은 인간의 미묘한 움직임에도 강하고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말을 탄 사람은 말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통해 감각습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보상적 균형(Compensatoric Balance)이란 장애인의 잘못된 균형감각을 상쇄하는 새로운 균형감각의 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장애인과 같은 대뇌의 운동신경반응을 유도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재활승마협회에서...
동물사육을 통한 장애극복사례
자연은 신이 인간에게 내려준 가장고귀한 선물이다. 이러한 고귀한 유산을 잘 가꾸고 유지하는 것은 인간의 몫일 것이다. 흙을 사랑하고 흙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사랑함으로서 우리는 벌써 신의축복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렸을 때에 가슴에 품었던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주변사람들과 형제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대학교를 고려대학교 농대 축산학과에 입학을 하였고, 졸업 후에는 일년 남짓의 직장생활을 뒤로하고 독일 유학에 길에 올랐으며 그곳에서는 수의학을 처음부터 공부하여 독일에서 아시아인으로는 최초로 독일 수의사 자격증을 받았으며, 대학의 동물병원과 개인 말 전문 동물병원을 두루 근무하면서 지난날의 꿈을 이루려는 준비를 하고 있었다. 1995년에는 “한국에서 말을 사육하면서 동물병원을 할 수 있다“는 생각하나만으로 13년의 독일생활을 정리하고 귀국의 길을 서슴치 않고 잡았다. 처음으로 경기도 안성에 농장을 임대하여 말을 직접사육하면서 정말로 꿈꾸었던 나의 이상이 이루어질 수 있겠구나 하며 기뻐하였다. 말을 사육하고 훈련시키면서 말의 행동과 습성을 배우게 되었으며, 이론적으로만 알았던 지식이 살아있는 지식과 경험으로 변하고, 특히 장애인들에게 말을 태우면서 그들의 정신적 육체적 장애를 극복하는 현장을 매일 매일 목격함으로써 보다 더 확신을 가지고 이러한 치료승마를 수행할 수 가 있었다. 장애인 재활 작업장이나 다양한 장애인 단체가 운영하는 작업장을 수시로 방문하면서 장애인들이 이러한 작업장들 역시 중요한 기능을 하겠지만, 동물을 키우면서 동물로부터 순수한 사랑을 주고 받음으로서 장애도 극복하고, 새로운 소득원으로 즉 하나의 직업으로 확립시키는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3-D 업종이라는 양축업을 장애인들과 접목시킴으로서 자연 치료법이며, 또한 극들에게는 한 차원 성장한 사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줌으로 축산업의 부가가치를 한 차원 높여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생산력향상에만 집중하는 축산업의 한계를 벗어나 인간의 복지 차원에서의 축산업으로 발돝음 할 때가 지금 인 것이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여겨졌던 축산업을 흙 살리기 사업의 가장 중요한 환경 축산업으로 인식이 전환되어야할 시기가 바로 지금인 것이다. 물론 장애인들이 축산업에 종사를 유도하기위해서는 선제된 과제들이 있다. 즉 무장애 축산설비들이 필요 할 것이고, 양축업을 하기위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처음부터 무리하게 많은 시설비를 투자하며 시작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시작할 수 있는 축산업종이 있다. 혈통이 우수한 애견분양, 토종닭의 방사사육, 토끼사육등 그리고새로운 개념인 ”농촌형 승마장“을 운영하면서, 장애인 스스로의 장애도 극복하며 주변의 장애인들에게도 꿈과 희망을 안겨 줄 수 있는 것이다. 2002 세계장애인 엑스포 (9 23-27, 부산)를 통하여 이러한 사업을 소개하고, 접근방법을 홍보함으로써 ”환경 재활축산업“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장애인들에게 도입되도록 유도하여, 보다 더 많은 장애인들이 대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정주하여 도시집중화도 예방하고, 낙후된 우리의 축산업도 진흥시키며, 무엇보다도 자연을 상대로 장애인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재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 코리아이콰인쎈타는 다양한 장애인 단체들과 협력하여 이러한 ”미래형 재활축산업“의 이이템을 개발하고, 전문가 네트웍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장애인들이 무장애 축산업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주) Korea Equine Service 대표이사, 한국치료재활승마협회 상무이사 김갑수, 수의학박사 연락처: equine1958@orgi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