悔 改
1. 구약에 나타난 표현.
1) Nacham: 애통하다. 슬퍼하다. 하나님과 인간에게 다 사용된다. "땅 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사"(창6:6,7), "티끌과 재 가운데서 회개하나이다."(욥42:6)
2) Shuth: 돌아서다. 문자적인 의미와 영적인 의미로 쓰인다. 구약에서 문자적 의미로 185, 영적 의미로 369번 쓰임. 가던 길을 단순히 멈추거나 애통해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돌아서서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2. 신약에 나타난 표현.
1) 메타멜로마이: 유감스럽게 생각하다. 후회하다. 구약의 Nacham과 비슷한 뜻. 마 21:29, 30, 32. "후희하였으나 후회하지 아니함은"(고후7:8), "주께서 맹세하시고 뉘우치지 아니하시리니"(히7:21), "유다가 스스로 뉘우쳐 목매어 죽은지라"(마27:3-5) 이것은 진정한 의미의 뉘우침이라 할 수 없고 양심의 가책이라 봐야 할 것이다.
2) 메타메노: 마음을 바꾸다. Metameno에서 왔는데 Meta는 돌아서다, 변하다의 뜻이고, Nous는 마음이라는 뜻이다. 변화는 마음에서부터 비롯된다.
세 가지 변화:
① 사고(思考) 패턴 - 마음이 변하니까 가치관이 변하고 생각이 달라진다.
② 언어의 표현 - 말이 깨끗해진다.
③ 행동 - 그 사람의 태도나 행동이 달라진다.
3) 명사형
마3:6,11.
행5:31.
고후7:9
4) 동사형
마3:2
행2:38. "회개하고 세례를 받으라"
행17:30
계 2:5.
3. 진정한 회개의 본질
1) 회개는 본질은 마음의 변화이다.
죄 자체로부터의 돌아섬이다. "살인과 회개치 아니하더라"(계9:21).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향해 돌아선다: "하나님께 대한 회개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을"(행20:21)
2) 마음의 변화는 먼저 죄에 대한 가책에서 시작한다. "변화가 일어났더라면 회개하였으리라"(마11:21)
3) 마음의 변화는 행동이 수반된다. "베옷을 입고 재에 앉아 회개하였으리라"(마21:21)
4) 마음의 변화는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는다.
'관심 사 > 종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원적 신앙에 있어서의 성령의 사역 (0) | 2012.01.24 |
---|---|
구원이란 무엇인가 (0) | 2012.01.24 |
중생후의 범죄는? (오해하기 쉬운 구원관) (0) | 2012.01.24 |
구윈이란 무엇인가? (0) | 2012.01.24 |
신약성서 이해 (0) | 201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