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인구 감소와 주간활동인구 증가 상주인구 : 2000년 1,037만인 → 2020년 980만인 주간활동인구 : 2000년 1,098만인 → 2020년 1,054만인 노령인구의 급격한 증가 노령인구(65세 이상) 현저한 증가 예상 |
이 슈 | 추 진 전 략 |
동북아 전략거점 |
인천국제공항과 주요 전략거점 연계 강화 (도심, 마곡, 구로, 동북부지역 등 ↔ 영종도, 송도경제자유구역과 연계) |
남북교류거점 | 고속전철 및 남북 발전축상에 교류거점 확보 (수색, 용산, 청량리, 왕십리 등) |
친환경적 공간구조 |
자연친화형 도시공간구조로 개편 및 복원 (외4산ㆍ내4산 생태축 연결, 하천복원, 조망·수변경관 보호, GB 관리) |
지역균형발전 | 생활권역별 중심성 강화로 다핵구조 실현 (균형발전촉진지구 지정, 중생활권 개발, 지구단위계획구역 재정비 등) |
낙후지역 재정비로 지역균형 개발 (뉴타운사업 지속 추진, 교통체계 전면 개편, 강북지역 활성화대책 추진) | |
도심부 재편 | 역사ㆍ문화 복원을 통한 도심의 상징성 강화 및 활성화 (청계천 복원, 도심광장 조성, 도심부발전계획 수립·추진 등) |
서울공간구조 : 기존 중심지 체계의 기본골격 유지 |
1 도심 | - 청계천 복원, 도심광장 등 도심부 특별관리의 제도화 | |
5 부도심 | - 상암/수색을 서북 생활권의 신부도심으로 설정 | 균형발전촉진지구 선정 |
11 지역중심 | - 망우, 상계, 연신내를 전략육성중심지로 설정 | |
53 지구중심 | - 생활편익시설 확충 |
※ 마곡 : 새로운 전략육성 중심지로 선정
대생활권 : 도심부 4대 생활권 - 자족성 추구, 통행유발 감소 |
대생활권 | 상주인구(2001년) | 중심지 |
동북생활권 | 339만 | 왕십리/청량리 |
서북생활권 | 122만 | 상암/수색 |
동남생활권 | 209만 | 영동 |
서남생활권 | 304만 | 영등포/여의도 |
|
|
|
|
이슈별 추진 전략 |
이 슈 | 추 진 전 략 |
자연친화형 계획 |
ㆍ주요 산, 하천변 경관관리체계 구축 ㆍ바람길 확보, 도심 하천의 복원 및 정비 ㆍGB의 저층저밀개발 유도 및 계획적 관리 |
낙후지역의 환경정비 |
ㆍ중생활권 단위의 생활환경 및 기반시설 정비 ㆍ낙후지역 재정비, New Town 사업의 지속적 추진 ㆍ지역특성별 계획밀도 차등 적용 (주거지역 세분화, 중심지체계와 연동한 상업지역 밀도 설정) |
용도지역 취지 강화 |
ㆍ용도지역 조정 시 중심지별 획일적 적용 배제 ㆍ준공업지역 산업기반 유지 및 활성화 ㆍ상업지역 용도용적제 지속적 적용 (도심부는 별도 기준 마련) ㆍ단독주택지의 계획적 관리 (1종전용 및 1종일반주거지역 내 지정 원칙) |
효율적 토지이용 |
ㆍ신규 개발계획의 발생수요는 가능한 기성시가지 내부에서 수용 ㆍ대중교통결절점과 연계한 중심지 육성 ㆍ대규모 미개발지의 계획적 관리 ㆍ기반시설과 연동한 개발밀도 설정 |
대규모 개발가능지의 관리방향 :: 용산구 미군부지일대 - 경부고속전철 역사와 연계한 국제업무단지 조성 - 미군기지 이전 후 민족공원으로 조성 :: 마포구 상암·수색일대 - 서북생활권의 신부도심으로 상향조정 - 첨단 미디어산업으로 특화된 DMC 남북교류 거점 육성 - 국제업무기능 추가 :: 강서구 마곡일대 - 수도권 서부지역 개발상황에 따라 종합계획 수립후 단계적 개발 :: 송파구 문정·장지일대 - 공공성이 높은 용도에 국한하여 환경친화적 개발을 유도하되 계획적으로 관리 :: 성동구 뚝섬일대 - 친환경적인 여가ㆍ생태공원을 유지 관리하고 역세권 주변에 주민 편익시설 확충 |
강변 조망경관 훼손 | |
혼란스런 옥외광고물 | |
녹지, 조망경관 훼손 | |
이슈별 추진 전략(Ⅰ) |
이 슈 | 추 진 전 략 |
맑고 깨끗한 공기질의 확보 |
ㆍ사전 환경영향평가 강화 ㆍ자동차 운행 감축 ㆍ저공해차량 보급 확대 및 공해차량 단속 강화 ㆍ대기질 개선 관리체계 구축 |
물이용의 신뢰성 제고 |
ㆍ노후배관 정비 및 직결급수 확충 ㆍ맑은 자연형 하천 조성 (35개 지천) ㆍ물순환시스템 구축 |
쓰레기 무배출 사회 구현 |
ㆍ폐기물 처리의 신뢰성 제고 ㆍ폐기물 발생 저감 및 자원화 ㆍ재활용시장 및 수요의 확대 |
이슈별 추진 전략(Ⅱ) |
이 슈 | 추 진 전 략 |
쾌적한 녹색도시상 조성 |
ㆍ생활권역별 공원녹지 서비스 소외지역 해소 ㆍ가로경관 녹시율 증진 ㆍ잠재 공원녹지 발굴 및 조성 ㆍ공원녹지 가꾸기 협약제도 도입 ㆍ산지/하천주변 경관지구 지정과 관리 ㆍ경관 조례 제정 및 관리부서 설치 |
인간과 자연의 공생 |
ㆍ생물다양성 보호, 개선, 복원, 창출 ㆍ공원녹지 네트워크화 ㆍ자연환경 보전기반 구축 |
가로 녹시율 증진 |
공원녹지축 구상 |
주생태축 (광역 서울시) |
환상산림 생태축 |
ㆍ수도권 광역녹지축과의 연결 ㆍ도시외곽 자연공원과 개발제한구역의 녹지 연결 ㆍ끊어진 환상산림생태축(26개소)의 연결 |
도심남북 녹지축 |
ㆍ청계천 복원 ㆍ창경궁-종묘-청계천 녹도 조성 및 걷고 싶은 거리 조성 ㆍ성곽복원과 연계한 환상녹지축 연결 ㆍ미8군 기지 이전예정지 공원화 ㆍ공원간 연결녹지의 조성 | |
부생태축 (생활권) |
한강하천 생태축 |
ㆍ한강본류를 중심으로한 동서 하천축의 자연화 ㆍ중랑천, 탄천, 안양천, 홍제천 등의 지류 하천 자연화 ㆍ하천변 공원화 (뚝섬 생태공원 등) |
생활녹지축 (근린생활권) |
생활녹지축 | ㆍ가로, 보행로, 마을 안 길의 녹화로 인근 공원녹지와 연결 ㆍ주차장, 철도부지, 시설녹지 등의 녹화로 인근 공원녹지와 연결 |
2020 공원녹지축 구상 |
주요 정책 지표 |
2000년 | 2010년 | 2020년 | |
스모그 발생일 수 | 89일/년 | 60일/년 | 45일/년 |
상수도 유수율 | 72% | 90.0% | 90.0% |
하수관거정비 목표 달성율 | 0.0% | 44.0% | 100.0% |
재활용율 | 47.5% | 59% | 67.0% |
가로 녹시율 | 13.7% | 19.3% | 30.5% |
1인당 시설공원 면적 | 13.1m2 | 14.6m2 | 16.6m2 |
조망가로 관리 개소 | 12개소 | 20개소 | 30개소 |
환상 산림생태축 연결 구간 | 0개소 | 9개소 | 26개소 |
이슈별 추진 전략 |
이 슈 | 추 진 전 략 |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체계 구축 |
ㆍ청계천 복원사업을 계기로 버스노선 개편 및 공영개념 도입 ㆍ버스 우선정책을 통한 버스 간선기능의 강화, 도심 셔틀버스 운행 ㆍ도심 접근성을 중시하는 광역철도망 확충 및 도시철도의 급행화 ㆍ대중교통간의 편리한 환승체계 구축 ㆍ매력적이고 새로운 대중교통수단 도입 검토 |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도로운용 |
ㆍ결절점 정비를 통한 도시고속도로 및 간선도로 기능향상 ㆍ상습정체지역 개선 및 지속적인 TSM사업추진 ㆍ지능형 교통체계(ITS)의 적극적인 도입 |
환경 및 인간 중심적인 교통체계 구현 |
ㆍ보조간선도로 이하는 보행중심공간으로 정비 ㆍ친환경 교통체계 확대 ㆍ보행약자를 위한 교통시설 및 교통수단 확대 ㆍ한강변 등 수변지역 접근로 정비 |
효율적인 물류체계 구축 |
ㆍ물동량 증가에 대비한 물류기반시설 확충 ㆍ물류 DB 및 화물차량 안내시스템 구축 |
합리적인 수요관리 정책 수립 및 편리한 주차환경 조성 |
ㆍ주택가 주차장 보급 확대 및 차고지 증명제 도입 추진 ㆍ공공·민영주차장 건설의 활성화 ㆍ도심·부도심의 차별화된 주차수요관리 ㆍ혼잡통행료 확대추진 적극 검토 |
효율적인 교통행정의 구현 |
ㆍ도로교통 행정업무의 간소화, 정보화 적극 추진 ㆍ교통관련 장기 정책 및 분석을 위한 전문센터 운영 ㆍ시민 대상의 교통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강화 |
교통계획도 - 도로망도(안) |
2020 교통계획도 - 철도망도(안) |
주요 정책 지표 |
2001년 | 2010년 | 2020년 | |
대중교통수송분담율 | 64 % | 67 % | 70 % |
간선버스 속도 | 19 km/h (시내버스) |
37 km/h | 40 km/h |
광역간선도로 총연장* | 509 km | 650 km | 800 km |
수도권 도시철도 총연장 (지하철 광역철도) |
486 km | 590 km | 690 km |
주택가 주차장 확보율 | 76 % | 96.5 % | 100 % |
트럭의 적재 효율 | 41 % | 50 % | 60 % |
* 주 : 외곽순환고속도로 및 그 내부의 주요간선도로의 총연장
이슈별 추진 전략 |
이 슈 | 추 진 전 략 |
도시환경개편 | ㆍ4대문안 역사도시화 ㆍ서울의 역사문화 경관 조성 : 문화재 주변 경관관리 강화 ㆍ특화거리 지정 및 조성 |
삶의 질 고양 | ㆍ생활문화기반시설 확충 : 인구 10만명당 1문화시설 ㆍ문화예술기반시설 확충 : 1만명당 문화공간 수 5개 달성 ㆍ생활권별 문화복지 서비스 체계 구축 |
도시경쟁력 확보 | ㆍ디지털 미디어 산업과 문화컨텐츠 산업육성 ㆍ문화벤처 집적시설 및 집적 단지 조성 ㆍ문화벤처에 대한 지원 강화 |
도시마케팅과 도시활성화 |
ㆍ서울 상징 축제의 개발 ㆍ문화예술 축제 프로그램 활성화 ㆍ지역놀이 공간 및 문화공간 개발 |
도시문화 발전축 구상 |
4대문안 도심권 | 역사문화 공간화 | ㆍ서울의 상징문화공간으로 조성 ㆍ도심부 문화성과 관광마케팅 활성화 |
남대문 - 강남축 | 현대문화예술 | ㆍ서울의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예술 제고 ㆍ문화 향유 기회의 확충 |
동대문 - 잠실축 | 대중문화예술 | ㆍ서울의 대중문화예술과 스포츠 산업 발전 ㆍ아시아 문화의 포탈도시로 발전 |
서대문 - 상암축 | 세계문화예술 | ㆍ서울의 문화 산업 경쟁력 제고 ㆍ디지털 문화 컨텐츠 산업벨트화 |
북대문 - 파주축 | 통일문화예술 | ㆍ생태문화환경조성 ㆍ미래통일 시대에 대비하는 통일문화 환경 조성 |
한강생태벨트 | 생태문화 | ㆍ한강을 중심으로 한 시민문화공간 발전 ㆍ여가와 스포츠 ㆍ레저, 시민위락공간으로 발전 |
문화발전 기본구상(안) |
주요 정책 지표 |
2001년 | 2010년 | |
1만명당 문화시설 수 | 0.78개 | 1개 |
도심광장 조성 | 없음 | 시청 광장 등 3곳 조성 |
문화의 거리 조성 | 자치구당 1개 | 자치구당 2개 이상 |
문화지구조성 | 인사동 문화지구 1곳 | ㆍ홍대, 대학로 문화지구 ㆍ서초문화예술지구 ㆍ남산문화예술지구 ㆍ청담문화지구 (화랑 및 패션) |
문화벨트조성 | 역사문화탐방로 1곳 | ㆍ청계문화벨트 (역사/도심문화 산업) ㆍ한강문화벨트 (시민 위락/공원) ㆍ잠실문화벨트 (스포츠-레저/대중문화) ㆍ4대문안 문화관광벨트 |
이슈별 추진 전략 |
이 슈 | 추 진 전 략 |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도시 육성 |
ㆍ다이아몬드형 국제업무거점 육성 (도심, 용산, 강남, 여의도, 상암) ㆍ동북아 국제금융센터 육성계획 추진 (금융지구 지정 및 금융센터 건립) ㆍ다국적 기업 아태본부 및 국제기구 유치 강화 ㆍ외국인을 위한 주택, 교육, 문화시설의 확충 |
산업혁신 중심지 조성 |
ㆍ서울형 전략산업 지정, 육성 : 금융, 문화, 멀티미디어, 패션산업 등 ㆍ서울시 4대 디지털거점, GreenLine 지정, 육성 ㆍ수도권 산업혁신기구 설치 및 운영 |
기업하기 좋은 도시 육성 |
ㆍ원스톱 중소기업지원체제 구축 ㆍ균형발전 고용기반 거점 지정 및 육성 ㆍ복합용도형 테크노빌딩 제도 도입 |
고용과 소비가 안정된 도시 |
ㆍ산업 전문인력의 양성 및 공급확대: 직업학교, 전문인력 양성기관 ㆍ계층별로 특화된 일자리 창출 전략의 추진 ㆍ서울 시민경제 생활지표 개발 및 발표 |
세계 수준의 정보도시 |
ㆍ정보고속도로를 활용한 모바일 행정서비스체제 구축 ㆍ자치구별 지역정보센터 설치 및 운영 ㆍ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 및 지원 강화 |
서울 산업 집적지간 Network구상 |
이 슈 | 추 진 전 략 |
산업 GreenLine 구축 |
ㆍ도심 - 신촌 - 상암 : 문화컨텐츠 산업 ㆍ영등포 - 구로/금천 - 관악 : IT제조업 ㆍ서초 - 강남 - 광진 : S/W 개발 ㆍ성동 - 동대문 - 을지로 : 전통제조업의 디지털화 |
4대 디지털 거점 육성 | ㆍ도심 : 문화컨텐츠 개발 ㆍ강남 : S/W, IT 기술개발 ㆍ구로/금천 : 제조형 IT 기술개발 ㆍ상암 : 디지털 컨텐츠 개발 |
다이아몬드형 국제업무거점 육성 |
도심, 여의도, 용산, 상암, 강남 |
수도권 산업벨트 조성 | ㆍ홍릉-강북-의정부축 : 연구기반 창업기업 연계 ㆍ구로/금천-부천/안양 산업축 : IT제조업 연계젲 ㆍ상암-마곡-김포/송도-영종도축 : 국제업무단지 연계(동북아비즈니스중심) ㆍ강남-분당/판교-용인축 : S/W, IT서비스 연계 |
2020 산업 집적지의 네트워크 구상 |
주요 정책 지표 |
2001년 | 2010년 | 2020년 | |
1인당 GRP | 1,000만원 | 1,750만원 | 2,400만원 |
다국적 기업 본사 수 아시아 도시순위 |
5위 | 4위 | 3위 (동경, 싱가폴, 서울, 상하이) |
외국인 투자기업 수 | 11,421 | 35,000 | 80,000 |
서울시 창업 업체 수 | 35,300 | 115,000 | 200,000 |
벤처기업 중 강북지역 비중 | 21% | 30% | 40% |
세계도시 삶의 질 순위 | 93위 | 60위 | 40위 |
지역정보센터 수 | 18개 | 35개 | 75개(자치구별 3개) |
전자 민원업무처리 비율 | 3.86% | 60% | 80% |
이슈별 추진 전략 |
이 슈 | 추 진 전 략 |
공공역할 강화 | ㆍ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강화 ㆍ미시행 재개발지역의 공공지원 확대 (주거형 뉴타운사업 확대) |
주거복지 강화 | ㆍ중산층도 거주가능한 중소평형의 공공임대주택 확대 ㆍ장애인, 고령자용 주택 확보 ㆍ최저기준 미달 가구 해소 ㆍ저소득층 임대보증금 융자 및 월세보조 강화 |
주거격차 완화 | ㆍ낙후지역 뉴타운사업 추진 (획일적인 고층아파트화 지양 지역특성화) ㆍ생활권 단위 시설정비계획 수립 ㆍ다세대ㆍ다가구 밀집지역 인프라 개선 |
주거비부담 완화 | ㆍ소형 아파트 공급 증대 ㆍ양질의 민간임대주택 공급 ㆍ임차인주거권 보호 |
주택 유지관리 강화 | ㆍ리모델링사업의 공공지원 강화 ㆍ공동주택 전문 관리체계 강화 |
주요 정책 지표 |
2000년 | 2010년 | 2020년 | |
뉴타운사업 추진실적 (2002-2012) |
0 곳 | 29 곳 α | 지속적 추진 |
공공임대주택 비율 | 4.9% | 9.0% | 10% |
최저수준 미달가구 비율 | 23.5% | 13.1% | 4.5% |
멸실주택평균 사용년수 | 20.4년 | 35.0년 | 50.0년 |
소형주택 공급 비율 (18평 이하) |
24.2% | 30.0% | 30.0% |
1인당 주거면적 | 19.5㎡ | 27.0㎡ | 28.7㎡ |
생활권별 주요현황 |
권역별 | 직장/주택 균형지수 (2000년) |
30년경과 주택비율(%) (2000년) |
주차장 확보율(%) (2000년) |
미집행공원 시설비율(%) (2002년) |
재정력 지수 (2000-2년) (자치구 평균치) |
서울시 | 113 | 4.5 | 67.9 | 100.0 | 62.4 |
도심권 | 322 | 18.0 | 91.3 | 22.3 | 96.8 |
동북권 | 80 | 5.2 | 66.5 | 19.4 | 39.4 |
서북권 | 89 | 7.0 | 55.8 | 16.5 | 40.5 |
서남권 | 96 | 2.9 | 64.1 | 24.3 | 52.3 |
동남권 | 153 | 0.5 | 72.9 | 17.5 | 110.0 |
▶ 강북지역(동북, 서북권)과 서남권의 생활환경 취약
지역 특성과 균형발전이 구현된 도시 |
서울시 주요 시책사업 |
분야별 투자계획 (2001 - 2020) - 총 153조 8천억원 (경직성 경비/예비비 제외) - 과거 20년간 재정결산규모 추이를 반영하여 추계 - 평균 년간 투자 소요액: 약 7.7조원 초기 5개년 약 5.7조원 |
|
'연구단체 > 연구 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년간 50조원 투입 권역별 특화산업 육성-'5+2 광역경제권 구상' (0) | 2009.08.22 |
---|---|
동·서·남해안·접경벨트…4대 초광역권 국토개발 (0) | 2009.08.22 |
자율적인 기업문화 만들기 (0) | 2009.07.16 |
친환경 속에자율적인 기업문화 만들기 숨어있는 녹색 경쟁력 (0) | 2009.07.16 |
친환경 속에 숨어있는 녹색 경쟁력 (0) | 200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