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숨결/역사(중국)

중국 고대 십대 성인

지식창고지기 2009. 11. 6. 19:37

중국 고대 십대 성인

 

 

1. 문성(文聖) 공자(孔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서 기원전 479년에 살았던 인물로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였다. 노나라 추읍(현재 산동 곡부)사람으로 춘추시대 말기의 사상가이자 교육자이며 유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다.

 

공자는 ‘인’을 최고의 도덕 가치로 보고 ‘인’사상을 제창하였으며 최초로 사학을 설립 널리 제자들을 받아들여 현자 70명을 포함한 3천 여 명의 제자가 있었다고 한다. 공자의 사상과 학설은 주로 그의 제자들이 편찬한 [논어]에 집중적으로 담겨 있으며 [좌전]과 [사기·공자세가]에도 공자의 언행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공자의 평생에 걸친 노력과 그 후 대대로 이어진 유가의 발전으로 중국 유가 학설은 중화문화의 주류가 되었으며 2천여 년이 넘는 오랜 세월동안 중국인의 기본 사상이 되어왔다.

 

2. 사성(史聖) 사마천(司馬遷)

 

사마천은 기원전 145년에 태어났으나 사망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서한의 역사가이자 문학가이며 자는 자장(子長) 지금의 섬서성 한성 사람으로 사마천은 10세 때부터 고문으로 된 서적들을 익히기 시작하였으며 원봉 3년 (기원전 108년)에 태사령에 임명되어 천문 역법과 황실의 서적들을 담당하게 되었고 덕분에 사관들이 소장한 도서들을 읽을 수 있었다. 그 후 사마천은 그가 일생을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수십 년에 걸쳐 [사기]를 저술하였는데 이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기전체 형식의 통사로 후대 역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마천은 중국 역사상 위대한 역사가이다. 그는 직언으로 인해 궁형을 당했으나 오히려 그 분함을 승화시켜 저술에 임하여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으뜸으로 손꼽히는 걸작이자 중국인과 세계인을 위해 전해 내려오는 귀중한 문화유산인 [사기]를 집필해내었다.

 

3. 시성(詩聖) 두보(杜甫)

 

두보는 712년에서 770년 사이에 살았던 인물로 자는 자미(子美)이며 지금의 하남성 공현태생이다. 일찍이 장안성 남쪽 소릉에 살면서 스스로를 소릉야로(少陵野老)라 칭했는데 세상 사람들은 두소릉이라 칭하였다.

 

두보는 당왕조가 쇠퇴기로 접어들 무렵에 살았던 사람으로 일평생 뜻을 이루지 못하고 불우하게 살았다. 그의 시는 풍부하면서도 다채로운 시풍으로 정평이 나 있는데 웅장하면서도 호방한가 하면 처량하면서도 슬프기도 하고 시어의 수식이 정교하여 아름답기 그지없는가 하면 또 때로는 평이하고 순박하기도 하다. 율시에 뛰어났던 그는 신악부시체의 창시자이기도 한데 그의 시는 성율이 조화롭고 시어의 선택이 매우 정제되어 있어 창작에 대한 그의 진지한 태도는 아름다운 구절을 지나치게 탐닉하여 글이 다른 이들로 하여금 탄복하게 하는 경지에 이를 때까지 다듬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라는 문구와 꼭 들어맞는다. 때문에 중국문학사에서는 그를 시성이라 칭송한다. 두보의 시는 지금까지 1400 여 수가 전해지고 있으며 [두공부집(杜工部集)]이 이를 전하고 있다.

 

4. 의성(醫聖) 장중경(張仲景

 

장중경은 기원 150년에서 219년 사이에 살았던 인물이며 지금의 하남성 등현에서 태어났다.

 

장중경은 많은 서적들을 읽고 각종 처방을 널리 채집하여 한나라 이전 의학의 정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자신의 풍부한 실제 의료 경험에 근거하여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 16권을 저술하였다. 후세 의학자들은 그를 의성이라 칭송했으며 그가 저술한 상한잡병론을 의학의 경서로 받들었다. 장중경의 상한잡병론은 인류 의학사상 최초로 ‘병리, 병을 다스리는 법, 처방, 약재’를 두루 갖춘 의학 전문 서적인데 처음으로 전염병과 각종 내과 질환의 병인과 병리 및 치료 원칙과 치료 방법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여 후세 각 진료과목의 임상 발전을 위한 탄탄한 이론적 기초 역할을 하게 된다.

 

5. 무성(武聖) 관우(關羽)

 

관우의 자는 운장이며 동한 말기 촉나라 장수로 의리를 중시하고 무예가 뛰어나 후세 가람들은 그를 ‘관성’ ‘관제’라 칭했다. 관우는 촉나라의 오호상장(관우, 장비, 조자룡, 마초, 황충) 가운데서도 으뜸가는 장수로서 남북조 시대부터 청나라 말기에 이르기까지 줄곧 역대 제왕들의 숭배를 받아왔으며 역사상 가장 추앙 받는 우상 중 한명으로 공자와 함께 ‘문무이성’으로 칭해진다. 관우는 충정과 의리, 용맹함과 고강한 무예로 유명하며 위문제 조비와 신하들은 관우를 촉나라의 ‘명장’이라 칭했으며 조조의 가장 유명한 모사인 곽가 역시 ‘관우 장비는 일만의 적을 대적할 수 있는 장수이다.’라고 칭송하였다.

 

6.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

 

왕희지는 동진의 서예가로 자는 일소이다. 본적은 낭야(산동성 임기)이지만 주로 절강에서 거주 하였다.

 

양한, 서진 시기와 비교해 볼 때 왕희지 서풍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운필이 세밀하며 구조에 변화가 많다는 덤인데 그의 서법은 부드럽고 기품이 있으며 운필이 자유로워 예서의 새로운 경지를 이루었으며 물 흐르듯 아름다운 금체 서풍을 창조하여 후대에 서성으로 숭상되었다. 현존하는 왕희지의 진본 필체는 매우 찾기 어려우며 우리가 접하는 것은 모두 모사본이다. 왕희지는 해서, 행서, 초서에 모두 능했으며 해서체 작품으로는 [악의론]. [황정경]이 있고 초서체 작품으로는 [이모첩] [상란첩] 등이 있으며 행서와 해서로 쓰여진 [난정서] 가 가장 대표적이다. 왕희지의 서법은 후대까지 줄곧 서예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역사적으로는 두 차례에 걸쳐 그의 서체를 따라 배우려고 하는 풍조가 크게 일었었다.

 

7. 화성(畵聖) 오도자(吳道子)

 

오도자는 686년에서 760년 전후의 사람으로 지금의 하남성 우현사람이다. 당나라 시대의 화가로 道玄이라 이름하기도 하며 회화사에서는 吳生이라 존칭된다.

 

문인명사들과 교류하며 각지로 유람하기를 즐겼던 그는 초년시기 육조시대 풍의 유려하고 섬세한 필법을 배웠으나 중년 이후에는 웅장하고 기세가 빼어난 성숙한 필치를 갖게 된다. 그는 인물, 불상, 신상과 귀신, 산수, 초목, 조수, 전각 등 각종 제재에 모두 능했는데 특히 인물과 불상에 뛰어났다. 또한 예술성이 있어 그의 창조정신은 매우 풍부하여 일설에는 ‘산수화의 일대 변화가 그에게서 비롯되었다’ 하기도 한다. 오도자의 진본 작품은 이미 송대부터 그 모습을 보기 어려웠으며 지금까지 전하는 중요 모사본으로 [송자천왕도(送子天王圖)]가 있다. 이 작품은 송대 사람이 모사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오도자의 풍격에 비교적 근접한 것으로 평해지고 있다.

 

8. 다성(茶聖) 육우(陸羽)

 

육우는 733년에서 804년 까지 살았던 사람으로 자는 홍점(鴻漸)이다. 육우는 평생 차를 즐겼으며 다도에 정통했는데 당나라 초기 이후 각기에서는 차를 즐기는 풍속이 점차 유행하였고 그는 반평생 차를 즐긴 자신의 경험과 차에 관한 지식을 모으는 등 십여 년에 걸친 노력 끝에 중국 최초의 문화 저작인 [다경(茶經)]을 탈고하였다. 다경이 세상에 소개됨으로써 세인들은 차에 관해 잘 알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명성이 널리 퍼지게 되었고 그가 창조해 낸 다학, 다예, 다도 사상 및 그가 저술한 다경은 중국 차 문화사의 한 획을 긋는 시대적 지표가 되었다.

 

9. 병성(兵聖) 손무(孫武)

 

손무는 제나라 낙안 사람으로 춘추시대 말기의 군사가로 자는 장경(長卿)이며 후세 사람들은 소자 또는 손무자로 존칭하였다.

 

손무는 병법에 정총하였으며 오왕 합려를 만난 뒤 장군의 직을 받고 오자서와 함께 부국강병에 힘썼다. 그는 정치 개혁을 주장하였으며 전쟁은 백성과 군사들의 생사와 국가의 존망이 걸린 대사이므로 진지하게 다루고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는데 그는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과 같은 체계적인 전략 전술의 원칙을 만들어 내고 합리적인 병사의 운용 및 적의 의표를 찌른 기이한 책략등을 사용하여 승리를 이끄는가 하면 침착하고 냉정하면서도 과감한 용맹을 중요시하였다. 또한 지형적 특징과 정찰 군대 기강 및 교육 등 각 방면에 대해서도 중요한 원칙들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원칙들이 집대성 된 것이 바로 [손자병법]으로 중국 최초의 병법서이자 세계 군사 역사상 최고의 명성을 얻고 있는 저작이다.

 

10.주성(酒聖) 두강(杜康)

 

두강의 자는 중녕(仲寧)으로 술을 잘 빚었다고 한다. 그가 살았던 두강진은 샘물이 은은하게 솟아나와 겨울에도 마르지 않으며 4리를 흘러 白水河로 흘러들어 가는데 이곳 사람들은 지금도 이 물에서 술맛이 난다고 말한다. 그리고 두강은 바로 이 물을 가지고 술을 만들었다고 전한다.

 

술의 제조는 중화민족 음식문화의 일대 사건이다. 두강은 최초로 술을 만든 시조로서 유구한 역사를 가진 華夏민족 술 문화의 원류를 개척한 사람이다. 그는 술에 그 지방의 풍토와 인정을 함께 담아 빚어냈으며 술로써 오랜 白水 문화를 빚어냈다. 삼국시대 조조가 ‘무엇으로 근심을 풀까? 오로지 두강뿐이구나.’라고 천고의 절창을 지어 음송할 만큼 향기 짙은 두강주는 황토 고원의 순박함과 열정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