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화의 일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1> 신화의 정의
신화는 고대 인류가 우주와 생명을 탐구하고 해석한 것으로, 당시 그들이 처한 갖가지 자연·지리환경과 사회·역사환경에 맞추어 무용, 음악, 회화, 문자등 갖가지 양식으로 상징화시켜 전달한 것이다.
. 중국신화 연구(1996,선정규, 고려원, p15.
신화가 만들어진 시기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현재 기록된 신화와 이 시기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을 토대로 볼 때, 구석기 시기부터 인류는 신화를 만들어 왔다. 그럼 이러한 신화가 만들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우리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이 매우 힘들었다는 것을 고고학적 근거로 살펴볼 수 있다. 이 당시 출토된 유물중 인간의 형상을 한 토우(土芋)를 살펴보면, 매우 찡그린 표정과 ,힘든 표정을 짓는 것을 볼 수 있다. 고고학적 근거가 전부를 나타내 주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사실성을 나타내는 점을 볼 때 당시의 삶이 편안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당시의 경제적인 생산성이 철저하게 낙후된 점을 볼 때 , 인간은 매우 약한 존재이며 작은 자연재해에도 두려워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령 예를 하나 들어보자.
---------------------------------------------------------------------------------------------+
동굴에 사는 B모씨는 사냥을 업으로 살아간다. 그의 주요한 생활도구로는 물을 담는 토기 몇 개| 사냥도구로 모가 나있는 돌도끼가 전부이다. 오늘도 그는 먹고살기 위해 사냥을 나간다. 그러나 오| 따라 이상하게 동물은 없고, 피곤한 나머지 그는 산 벼랑 아래에서 잠시 잠을 청하였다. 그때였다| 막 누우려는 순간 산이 붕괴되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을 안 것은 지나가던 새가 크게 울음을 울었| 에 알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어찌 보면, 상당히 단순한 사건이다. 그냥 산이 무너진 것이다. 암| 의 미약이나, 지진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B모씨는 이것을 두고 신의 힘이 작용한 것이며| 새가 알려준 것은 신이 아직도 자신에 대해 완전히 믿음을 버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새를 신의 사| 라고 생각한다. 이후 B모씨는 신에 대한 제례를 지내고, 새에 대해서는 신의 사자라고 경외 심을 | 다.
+---------------------------------------------------------------------------------+-
어쩌면 상당히 우스운 일화이다. 그냥 있었던 일인데... 그러나 고대인들은 이것을 종교적 의미로 해석하였고, 그럴 수밖에 없었던 원인은 바로 생산력의 미약과 당시의 상황이다.
저명한 신화학자 엘리아데는 이러한 신화에 대해 「신화는 실제와 창조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이로 말미암아 신화는 항상 신성한 이야기, 나아가 역사, 모든 현실적 체험을 거의 망라한 것으로, 주술적 ·종교적 신앙이며 풍속과 관습이며 생활양식이라고 평한다. 」
위의 자료를 토대로 우리는 신화는 「원시사회에 인류가 환상적 형식을 통해 자신의 심리, 원망에 따라 자연과 사회잠재력에 대해 진행하는 묘사적·해석적 고사」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신화= 기본심리→신화
↑(첨가)
〈정서적 감응〉
<2> 신화에 관한 구분법.
신화는 일반적으로 전설, 민담, 신화로 구분된다. 그러나 중국은 여기에 「선화」를 첨가하는 국가적 특수성을 보여준다.
① 민담:
오락적 성격이 농후하며, 줄거리에 관한 오락적 흥미와 교훈적인 성격만이 드러난다. 즉 하나의 사교성의 표출이며, 사회적 맥락의 협소를 보여준다.
② 전설:
사회적 공명심의 만족으로 역사적으로 실재했다고 생각되는 고유명사를 가진 인물들의 활동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전설로 영웅설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설은 역사성이 있다는 것으로, 후대 통치자들이 자신의 정권의 정당성을 확립하기 위해 만든 하나의 통치 이데올로기로도 평가된다. 일반적인 국가의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국가 지도부 특히 왕권은 자신들의 안정을 위해 ,자신의 조상에 대한 전설, 종교적인 각색 을 한다.
. 대표적인 사례로 신라의 진흥왕을 들 수 있다. 진흥왕은 신라의 중앙집권화의 공고화를 위해 불교를 철저히 이용하고, 왕비를 마야부인(석가모니의 어머니), 아들들을 보살로 부르게 하여, 왕실이 불교의 시작인 점을 공포하고, 동시에 정권의 정당성을 확립하였다. 또한 당대 측천무후가 자신이 여성인 점과 제위 찬탈이라는 점을 미륵신앙을 이용하여, 자신이 미륵이며, 자신의 지배는 이미 예견된 것임을 알린다.
항목 |
신화 |
전설 |
민담 |
전승자의 태도 |
신성적 인식 |
진실성 믿음 |
신성성과 진실성을 인식하지 않음 |
시간과 장소 |
태초의 신성한 장소 |
구체적인 시간 및 장소 |
뚜렷한 시간 및 장소없음 |
증거물 |
매우 포괄적인 증거물 |
특정의 개별적인 증거물 |
증거가 없거나 아주 포괄적인 증거물 |
주인공 |
신 중심 |
인간 중심 |
보통 인간이나 인간적인 행동을 하는 동물등. |
주인공의 행위 |
신적 능력 발휘 |
예기치 않던 사태에 좌절 |
인간적인 행동, 그러나 예기치 않던 사태에 초월자의 도움으로 운명 개척 |
구성의 특징 |
신적 능력 발휘 |
비극적, 운명론적 |
희극적, 낙천적 |
|
|
|
|
전승의 범위 |
민족(또는 씨족, 부족) |
지역적인 범위 |
범세계, 범민족 |
|
|
|
|
(표1. 일반적 특성)
< 중국신화연구, 선정규, p.21>
③ 선화:
전국시대 후기의 신선사상과 한(漢) 이후의 도교사상을 선전하는 것으로, 곡식을 배제하고 수심양성(修心養性)함으로써 개인적인 향수와 이기주의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장생불사에 관한 신화로 매우 이기주의적이며, 개인적인 성격이며, 신화의 말류로 볼 수 있다.
<3> 신화의 특성
① 내용의 광범위성:
문헌에 나온 것만 보아도 그 분량이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등장하는 신의 숫자도 100여인이 넘으며, 세계신화에 나오는 각종 천지창조, 인류기원, 홍수신화등 다양한 신화가 등장한다. 이러한 것은 중국이 가지는 영토의 광대함, 여러 민족의 공존이 가져온 양상이다. 그러하기에 신화의 일원화가 불가능하고, 무질서하며 상호 신화간의 연결이 어렵다.
) 박성림(선정규 교수님의 편지, 2000.06.06)
② 주신이 없는 신화:
그리스 신화의 주신은 제우스, 로마신화의 주신은 주노이다. 그러면 중국신화의 주신은 누구일까? 반고?, 여와? . 이 문제에 대해서는 No.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 즉 중심신은 있어도, 그 중심신이 전부의 대표성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신화의 발생이 하나의 계통 성이 없이, 多地域 發生을 하였기에 그렇다고 우선 볼 수 있다. 또한 중국이라는 지역은 원래 華夏族과 東夷族, 越族등 다양한 민족의 대결과 흡수로 역사가 발전하였다. 이러하기에 신화가 겹치고 각기 다른 결론을 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③ 신의 원시성:
서양신화를 보면, 각기 신들이 자신의 직무가 있다. . 가령 아프로디테의 경우, 미의 여신. 헤파이스토스의 경우 대장장이의 신이다. 그러면 중국의 신들도 그러한 것이 있는가?
그러나 중국신화는 槪念神은 단지 생명, 죽음의 신 정도이며, 사회속성이 나타나지 않고, 나타나도 신화발전상 후기에 들어서 나타난다.
④ 사람의 모습이 아닌 신의 형상:
TV를 보다보면, 우리는 '비너스'라는 여성 속옷 광고를 본다. 이런 광고는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를 조각한 상, 바로 로도스섬에서 출토된 비너스상을 이용한 것이다. 즉 아프로디테는 사람의 형상을 하는 여신이며, 당시 그리스의 사람들은 인간과 신의 형상에 대해 동일하다고 믿었다. 이러한 예가 아폴론의 태양전차 이야기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신의 형상이 인간이 아닌 반인반수(半人半繡)이다. 여와의 경우도 상반신은 여인이지만, 하반신은 뱀의 형상이다. 이러한 것은 당시 원시 토테미즘과 관계가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생활환경과 숭배 토템이 서로 다른 부족이나, 씨족의 빈번한 접촉을 통하여 각 부족 고유의 신화가 부단하게 서로 흡수되거나 변화하여, 마침내 이렇듯 복잡한 외형적 특징을 갖게 된 것으로 본다.
. 아폴론은 땅에 자식을 한명 낳았다. 그의 이름은 파에톤이다. 파에톤은 항상 아버지가 없다고 놀림받았고, 그는 이 문제에 대해 상당한 콤플렉스를 가졌고,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아폴론을 찾아갔다. 곧 부자는 눈물의 상봉을 하고, 파에톤은 아버지에게 소원을 빌었다. 기분이 너무 좋은 나머지, 아폴론은 제어력을 잃었고, 급기야 태양을 이끄는 전차의 고삐를 빌려주었다. 파에톤은 수레를 몰았고, 갑자기 전차를 모는 마부가 신에서 인간으로 바뀌며, 무게중심이 없어지고, 파에톤의 전차는 바다로 떨어졌다.
. 중국신화연구, 선정규, 1996, 고려원
. 중국신화연구, 선정규, 1996, 고려원
⑤ 풍부한 원국이인(遠國異人) 신화:
중국신화를 읽다보면, 여인국(女人國), 우민국(羽民國)등 괴이한 지명을 본다. 물론 이것이 실재로 존재한다고 볼 수도 있으나, 적지 않은 지명이 상상의 나래 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은 중국의 해외교통의 발달과 , 당시 중국인들의 해외에 대한 절실한 지적욕구와 해외를 향항 발전의 기원을 표현한 것이며, 이러한 환상과 전해들은 이야기를 실존한 것으로 생각해 버린 당시 사람들의 천진무구한 낭만적 세계관의 결과로 본다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바이 경제위기로 이슬람 금융에 대한 회의감 고조 (0) | 2009.12.15 |
---|---|
중국신화의 내용적 분류 (0) | 2009.12.15 |
[소수민족 신화기행]‘구이저우(貴州) 이야기’ ④-거미여신 싸톈바, 햇살 (0) | 2009.12.11 |
[소수민족 신화기행]‘구이저우(貴州) 이야기’ ③-달이 뜬 밤하늘의 빛깔 (0) | 2009.12.11 |
[소수민족 신화기행]‘구이저우(貴州) 이야기’②-단풍나무의 후손을 찾아 (0) | 200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