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종교에 대한 개괄이해
중국은 漢민족을 주체로 한 多民族국가이며, 각 민족은 자신의 고유한 종교 전통을 지니고 있고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래된 세계의 3대 종교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중국의 종교는 중국내 고유의 종교들과 외래종교들은 상호영향과 제약속에서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현재 중국내에서 중국인들의 정신생활에 영향력있는 종교들은 도교.불교.이슬람교.천주교.기독교 등이다.
1. 道敎
도교는 중국본토의 일종의 다신적 종교로서 黃帝.老子를 敎主로 삼고 無爲.自然을 主旨로 하는 老莊철학의 流를 받아들이고 [道德經]을 기본 經典으로 한다. 신앙의 핵심은 '道'이며, 누구나 일정한 수련방식을 통과하면 道를 얻고 神仙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도교의 淵源은 중국 고대 종교 전통중의 鬼神사상과 巫俗활동 그리고 전국후기의 神仙方述 및 陰陽五行學說을 골격으로 했으며, 黃老사상.墨學.讖緯儒學등 제 사상들을 흡수해서 점차적으로 형성되었다.
도교는 東漢末 張道陵이 창립하여 南北朝때에 성행하였고, 창립당시 入敎者는 쌀 다섯말을 내야 했으므로 '五斗米敎'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생성된 후 장기적으로 儒.道.佛 三敎는 상호융합.대립의 과정을 겪어왔다. 도교는 중국 본토의 종교로서 외부로부터 전래된 불교와 역사상 장기적인 충돌을 겪었지만, 그 영향력은 줄곧 불교보다 우위에 있었다. 도교와 유교는 공통적인 종교적 전통과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어서 양자의 경계가 불분명하지만, 간단히 언급해서 도교는 개인의 수련을 중시하고, 유교는 국가와 가정의 안정에 치중하는 차이가 있다.
도교는 장기적으로 위로는 帝王들이 國泰民安을 위해서 지내는 기원 儀式과 長生不老를 추구하는 黃白의 術에서부터 아래로는 인민들의 勸學書와 功過格 등에서 보여지는 도덕적 설교 및 佛.道敎간의 각종 민간비밀 종교 등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도교의 주요한 신앙자들은 주로 漢族이지만, 그 외에 廣西壯族自治區의 京族.壯族과 雲南省에 瑤族등의 소수민족들 중에도 상당수의 도교 신자들이 있다.
도교는 수행방식의 차이에 따라 크게 丹鼎派와 符?派의 두 파로 나뉜다.
먼저 丹鼎派는 長生不老를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인물은 魏伯陽과 葛洪이다. 丹鼎派는 修道방법에 따라 다시 內丹과 外丹으로 나뉜다. 內丹은 호흡을 들이쉬고 내뱉는 수행을 통해서 신체내의 精.氣.神등을 보존하고 깨끗한 공기를 丹田에 축적하고 나쁜 공기를 손.발.모발등을 통해서 배출시켜서 최후에는 邪慾을 없애고 몸과 마음이 깨끗한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外丹은 硫黃과 水銀등의 물질을 火爐에 달여서 '九轉金丹'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약물을 제조해서 그것을 복용하면 하늘로 올라 神仙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둘째로 符?派는 迷信적인 방법으로 백성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災殃과 惡을 물리치며, 귀신을 부르는 것등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인물은 陶弘景과 寇謙之등이다.
도교가 만약 단지 迷信적 방법만을 강조했더라면 오랜 역사속에서 중국인들에게 대중적 종교로서 자리할 수 없었을 것이다. 도교 역시 타 종교처럼 인간에게 善行을 강조하고 美風良俗을 宣揚했는데 이는 도교의 五戒.十善에서 잘 알 수 있다. 도교는 수련을 중시해서 '功過格'을 발명했는데, 袁了凡.顔習齋.曾國藩등이 일상생활에서 이같은 수련 방법을 택해서 수련했다.
2. 佛敎
불교는 인도의 釋迦牟尼에 의해서 서기전 6-5세기에 창립되었으며, '佛'은 覺悟者를 뜻하며, 인간의 지혜를 개발시켜 인간으로 하여금 크게 깨닫게 하는 종교이다. 그리고 '緣起法'을 철학적 기초로 삼아 현실인생을 苦海로 간주하는 가치판단을 지니고 아울러 그러한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인 '四聖諦'를 敎義의 總綱으로 삼으며, 戒.定.慧三學을 그같은 종교 목적에 도달하는 修行방법으로 하고 있다.
중국으로 전래된 불교는 그 傳播路線에 의해서 크게 南北 兩大佛敎로 나눌 수 있다. 북쪽으로 전래된 불교는 大乘불교라고 하며 이는 다시 漢語계통 불교와 藏語계통 불교로 나뉘며, 남쪽으로부터 전래된 불교는 小乘불교로 불리운다.
1) 중국불교의 유형
가) 漢語系 大乘불교
서기전 2년(漢元壽元年)에 중국으로 전래되었고, 東漢三國시기에 불교는 통치자 계층에서 유행하다가 점차로 민간으로 파급됐다. 魏晋南北朝시기의 사회의 무질서. 정치적 할거와 민족들간의 모순등은 불교가 발전할 수 있는 정신적 공간과 군중 기초를 제공해주었다. 이 시기에 戒律이 정식으로 번역되어 중들이 계율을 지키기 시작했으며, 東晋때는 '僧侶規範'을 제정해서 漢語계통 불교 승려제도의 기초를 다져놓았다.
南北朝시기에는 문화상의 차이로 인해 남북불교가 서로 다른 氣風을 형성했는데, 즉 北쪽은 종교적 수행과 寺刹의 건립.불상의 功德등을 중시해서 후세에 雲崗.龍門石窟같은 예술적으로 정교한 조형물등을 남겼으며, 南쪽은 불교의 敎理연구에 치중했고 다수의 지식인들이 불교 傳派에 동참하는 등 중국의 불교 철학을 새롭게 발전시켰다. 그러나 後秦.北魏부터는 종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잇달아서 僧官제도를 설치했다.
寺院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국가의 국방병력의 보충 및 세금의 징수면에서 첨예한 모순을 발생시켰는데, 당시 北魏에는 200여만명의 승려와 2만개의 사찰이 있었으며, 결국 北魏.北齊시기에 두차례의 대규모 불교 탄압이 있었다. 그러나 탄압에 대한 반작용으로 불교는 더욱 성행하게 되었다. 南朝의 대다수 통치자들은 불교를 지지했는데 특히 梁武帝는 水陸法會를 창립했고 승려로 하여금 육식을 금지하는 제도를 만드는 등 현재 중국 불교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隋.唐조는 중국 불교가 가장 極盛한 시기였다. 정치적 통일은 중국 불교의 南.北氣風을 융합시키는 작용을 했으며, 譯經의 수준과 규모는 모두 前代를 초월해서 大藏經目錄이 계속적으로 출판되어 北宋이후의 대장경 조판의 典範이되었다. 그리고 통치자와 불교의 상층부 승려들의 관계가 밀접해서 불교 각파의 元老 高僧들은 帝王의 융숭한 禮遇를 받았다. 그에 따라 불교는 국가와 사회 각계각층을 위한 봉사의 기능을 더욱 강화해서 각 지방에 官寺를 설치하여 諸侯들의 生日과 忌日등에 焚香과 禮佛을 했다. 이 시기에 불교는 민간에게도 깊숙히 전파되어 俗講.變文등 通俗문예 형식을 창조했고, 건축.조각.회화.음악등 각 방면에도 상당한 공헌을 했다.
隋.唐시기의 8대 종파중, 三論宗과 唯識宗은 기본적으로 인도 大乘불교중의 中觀學派와 瑜伽行派를 따르며 본받았는데 數代에 전파되다가 衰落했다. 淨土宗.律宗.密宗등은 종교적 수행을 重視했지만 理論상으로는 뚜렸한 공헌이 없었다. 그 중 淨土宗은 法門의 念佛을 제창했는데 간단하고 행하기 쉬워서 唐.宋이후 각 파에서 모두 法門을 수행하는 등 광범하게 전파됐다. 天台宗.華嚴宗.禪宗 이들 3대 종파는 중국 宗敎史上 중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天台宗은 大乘불교의 涅槃學.佛性學說 및 禪定修行을 종합해서 '止觀幷重'을 제창해서 唐代 각 종파의 탄생에 선도적 역할을 했다. 華嚴宗은 중국 佛學중에서 철학적 思辨意味를 가장 중시하는 일파로서 宋.明理學의 탄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禪宗은 六祖의 慧能이 창시했으며, '敎外別傳'을 표방하고 '明心見性'을 주장하는데 經典과 事相에 집착하지않고 산림지역에서 農事와 參禪을 함께하는 생활을 한다. 唐武宗과 五代周世宗에 걸친 두차례의 불교 소멸사건이후 經典연구를 중심으로하는 각 宗派들은 모두 심각한 타격을 입었지만, 단지 禪宗만이 보존되었으며 이후 淨土宗과 함께 중국 불교의 주체를 이루었다.
宋이후 불교는 漢族지역에서 점차 쇠퇴했지만 사회의 각 부분으로 깊숙하게 침투되었고, 이미 중국의 전통사상과 민간 풍속과 同化를 이루었다. 불교는 대외적으로 三敎合流를 제창했고, 대내적으로는 제 宗派의 統合을 주장했다. 明代의 전제통치는 불교에 대한 통제를 한층 강화해서 寺院.승려의 등급과 종교활동등을 규정했으며, 元.淸양대의 통치자들은 정치적 고려로 인해서 西藏지역에 대한 불교의 전파는 지지.장려한 반면에 漢族지역에 대해서는 제한을 가했다. 淸末民初시기에 서구문화의 자극으로 불교는 잠시 중흥되었지만 과거 전성기의 敎勢를 회복할 수는 없었다.
불교는 세계의 여러 종교중에서 가장 풍부한 經典을 보유하고 있는데, 宋대 開寶年間에 漢文大藏經 전부를 조각한 이래 현재까지 모두 22종의 각기 다른 版本을 편찬했다. 근년에 편찬한 ≪中華大藏經≫(漢文부분)은 23000여권을 수록했고, 漢譯佛典과 著述등을 집대성했다.
나) 藏語系 佛敎
西藏지역에 전파되어 발전되었기 때문에 속칭 喇 敎라고 불리우는 藏語系 불교는 서기 7세기에 漢族지역 및 네팔을 통해 전래되었다. 그러나 불교는 西藏지역의 원시종교인 本敎와 격렬한 충돌을 극복하고 승리함과 동시에 本敎의 약간의 敎義.儀式 및 神祗등을 흡수해서 서장지역의 특징이 농후한 불교 즉, 喇 敎를 형성했다. 초기의 교파로는 寧瑪派(紅敎). 當派.薩迦派(花敎). 擧派(白敎)등이 있었으며, 13세기초 元세조 忽必烈이 薩迦派의 五祖八思巴를 '大寶法王'겸 藏王으로 봉하면서 西藏지역은 政敎合一문화가 시작되었다. 15세기초에 宗喀巴가 종교개혁을 진행하고 格魯派(黃敎)를 창립하고 顯密을 동시에 중시할 것과 喇 교도로 하여금 결혼과 음주를 금지할 것을 주장하고 喇 의 世襲제도를 고착시켰다. 宗喀巴이후 '達賴'과 '班禪'이라는 두 살아있는 부처는 世襲계통을 형성됐고, 그들은 淸朝로 부터 책봉되었으며, 그후 格魯派는 西藏지역 불교중 가장 세력이 막강한 敎派가 되었다.
다) 南方 불교
중국의 남쪽지방인 雲南省의 族.布朗族.德昻族.阿昌族들에게 전파된 小乘불교는 巴利語系에 속한다. 7세기중엽 버마로부터 운남성에 거주하는 ?族지역으로 전래되었으며, 三藏典籍은 巴利語 文譯音本과 註釋本 등이 있다. 현재 潤.擺庄.多列.左抵등의 4派등이 있고, 이는 다시 8개 支派로 나누어 진다. ?族은 어린 남자아이가 학교에 들어갈 적령기가 되면 반드시 절로 보내 修道僧을 시켜, 寺院에서 각종 문화지식등을 배우고나서 성년이 되면 다시 還俗해서 현실세계로 돌아온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우수한 자는 寺院에 계속 남아서 더 공부한후 僧侶가 되는 엄격한 과정을 거쳐 正式 僧侶가 된다.
2) 불교의 영향
魏晋南北朝시기이후의 중국문화중에서 불교를 제외한다면 완전히 다른 문화의 모습을 지닐 것이다. 실제로 中.西문화의 광범위한 접촉을 하기전에 중국이 받아들인 바의 적지 않은 外來文化중에서 불교만큼이나 영향력을 갖는 것은 없다. 불교가 중국의 사회.사상 및 문학예술방면에 끼친 영향은 아래와 같다.
먼저, 중국 사회는 儒家윤리의 영향으로 본래 실용적인 중요성을 소홀히 했기 때문에 전통 중국사회는 進步의 動力이 결핍되었을 뿐아니라 거의 停滯되었었다. 비록 先秦시기의 儒家는 外王의 理想을 지니고 세상을 구해보겠다는 상당한 熱情을 지녔지만, 宋.明시대의 儒家들에 이르러서는 그들의 주관심을 內的인 修養에 두었기 때문에 靜을 좋아하고 動을 싫어하는 행태로 轉變했는데 그같은 轉換에는 불교의 脫俗觀이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있다. 실제로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후에는 사회의 停滯性은 더욱 악화되었으며, 불교는 그러한 결과를 조성한 주 원인중의 하나이다.
둘째, 思想적인 영향을 보며는 儒家학술은 중국문화의 주류로서, 중국역사상 크게 두시기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先秦시기의 孔.孟.筍을 중심으로한 傳統儒家이고, 다른 하나는 宋.明시기의 程.朱.陸.王등을 중심으로한 儒家學派들이다. 그러나 이 두 시기의 儒學은 그내용.표현방식 및 정신적 취향등에서 상당한 差異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처럼 양자가 서로 相異하게 된 원인은 후자가 불교의 禪宗사상의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 실제로 禪宗의 指心見性은 陸.王학파의 心學에 영향을 주었으며, 理學중의 '尊德性'과 '道問學'의 爭論은 불교에서의 '頓'과 '漸'의 다른 모습에 불과한 것이다. 理學家들이 인간들의 제 慾望을 보고 除去할 것을 주장하면서 禁慾主義를 지향하는 것 역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서 이다. 그밖에 불교 승려들의 淸規도 理學家들이 전통 禮樂의 의미에 대한 理解를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전통 禮樂은 개인.사회.정치.국가에 대해서 모두 매우 광범위한 작용을 해주었는데, 실제로 理學家들에게 禮樂의 역할은 불교에 있어서 戒律과 유사해서 인간들의 욕망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도구로서 간주된다.
셋째, 문학.예술방면의 영향으로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후 특히 예술은 보다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魏晋시대이후 불교예술의 영향으로 인해서 중국의 繪畵는 새로운 자극과 발전의 계기가 되어서 畵風이 一變하게 되었다. 그 결과 佛像과 壁畵는 거의 魏晋南北朝시대의 대표적 예술이 되었다. 또한 歷代 寺刹과 塔의 대량 건축은 중국 건축예술에게도 새로운 造形과 氣風을 가져다 주었다. 문학방면은 이론과 창작 모두 불교의 영향을 받았는데, 유협(劉 )의 文心雕龍이 문체가 호쾌하고 思考가 정밀해서 중국문학 批評史上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劉 이 그처럼 불후의 大作을 저술할 수 있는데는 그가 평소 불교의 敎理에 대한 깊은 연구와 해박한 지식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唐代이후 중국문학은 그 형태뿐 아니라 문학적 修辭.환경등 어느것도 불교 문학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없다. 그리고 宋.明 理學시대에 유행했던 語錄體 역시 불교 禪宗語錄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西遊記.封神傳등에서도 불교가 중국소설에 미친 영향을 쉽게 알 수있다.
3. 이슬람교
이슬람교는 알라신을 유일한 신으로 믿는 一神敎로서 서기 7세기에 마호메트가 아라비아 반도에 창조한 종교이며, ≪코오란≫을 기본 經典으로 삼는다. 종파는 크게 遜尼(sunni)파와 什葉(shiah)파가 있고, 중국의 무슬림들은 대다수 遜尼派에 속한다. 이슬람교는 중국에서 '回敎'.'淸眞敎'.'天方敎'등으로도 불리우며, 알라는 '眞主'.'胡大'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슬람교는 외교.상업적 활동 및 군사적 침입등으로 해안과 육지를 통해서 중국에 전래되었다. 唐高宗때인 서기 651년에 아라비아제국에서 파견한 관리들이 중국에 오면서 이슬람교가 최초로 전래되기 시작했고, 그후 빈번한 무역활동을 통해서 많은 아라비아 상인들이 귀국하지 않고 중국 沿岸지역 도시의 거주지에서 집단으로 생활했고 적지않은 아랍인들은 當地 주민들과 결혼도 했다. 唐朝 中葉에 '安史의 亂'을 평정하기 위해 肅宗은 아랍국에 원병을 요청했고 그후 아랍인들은 합법적으로 중국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됐으며, 그들은 대대로 생활하면서 중국 무슬림의 원조가 됐다.
元代는 무슬림들이 대량으로 중국에 들어온 시기로서, 징기스칸은 西域을 정벌할 때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다수의 아랍인들을 징집해서 페르시아인 및 중앙아시아인들과 합쳐 '西域軍團'을 형성해서 중국으로 進入했다. 이들 병사들은 전쟁후 중국 西北지역의 각 省 및 雲南.江南.華北등 지역에서 거주하면서 육지의 '실크로드'와 해상의 '香料의 길'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온 무슬림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한 지역에 集居하기보다는 전중국의 각 지역에 散居하는 독특한 居住文化를 형성했다. 元朝는 그들 西域人들에대해 비교적 관용의 태도를 취했기 때문에 그들의 사회적 지위는 蒙古人보다는 낮았지만, 漢族과 南方人들보다는 優位에 있었다. 그리고 明代는 回族에 대한 同化정책하에서 西域人들간의 通婚을 금지한 결과, 漢族과 자연스럽게 민족적 융화가 이루어 졌으며 점차적으로 回族을 형성하였다.
이슬람교가 新疆지역에 거주하기는 10세기 중엽부터 이었다. 그전까지 新疆지역 주민들의 主信仰은 불교.샤머니즘.拜火敎( Zoroaster교 ).기독교등이 었으며, 16.7세기에 이르러 新疆지역의 각민족들은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했다.
淸朝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각 민족에 대해 속으로는 輕視하면서 겉으로는 懷柔정책을 취했지만, 민족간의 모순과 충돌은 계속적으로 발생했다. 그같은 무슬림들이 받는 바의 압박과 차별대우는 民國초에 이르러서도 기본적으로 변화되지 않았다.
상당한 기간동안 이슬람교는 중국내에서 명확한 敎派를 갖지 못했지만, 明.淸교체시기부터 새로운 변화가 있었다. 그것은 西北지역에 생긴 중국특색을 지닌 門宦制度로서, 敎主와 地主를 겸하는 政敎合一 제도였으며, 바로 종교적 神秘主義와 중국의 봉건제도가 상호 결합한 형태였다.
明末期에 중국특색을 지닌 이스람 寺院과 漢語譯著등이 발간되는 등 중국에서의 이슬람교의 학술적 발전이 있었다. 胡登洲는 중세기 이슬람국가들이 淸眞寺에서 하는 종교교육과 중국의 전통적 私塾교육을 결합한 經堂敎育을 최초로 실시했다. 그 후 經堂교육은 장기적으로 중국의 이슬람교의 기본교육 제도로 실시되다가, 辛亥革命을 전후해서 나타난 이스람교 新式학교와 함께 병존해왔다.
현재 중국에서 이슬람교의 종교적 활동장소인 淸眞寺는 모두 23000여개소가 있고, 信徒는 1400만명이지만 대다수 分散되있고, 新疆.寧夏回族自治區.甘肅.靑海.陝西.雲南.山東.河北省등지에서 적은 규모로 집단적 생활을 하고 있다.
4. 천주교
기독교의 3대 종파중의 하나인 天主敎는 唐代인 635년에 중국에 전래되었고, 當時는 景敎라고 불렀으며, 唐武宗이 불교를 배척할 때 景敎도 거의 소멸되었었다. 元代의 景敎가 蒙古人들을 따라서 다시 중국의 中原지방에서 발전하자, 天主敎도 잇달아 중국으로 들어왔다. 당시에 이 양대교파는 '也里可溫'(蒙古語로 福音을 믿는 자) 또는 십자가를 존경하기 때문에 '十字敎'라고도 통칭됐다. 천주교는 초기에 景敎의 공격과 배척을 받았지만 元帝의 관용으로 교세가 점차 발전되었다. 1307년 이탈리아 프란체스코 수도회 신부가 교황청의 임명으로 북경에 主敎로 부임할 때 信徒수는 수만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元朝가 멸망하자 天主敎의 敎勢도 점차 소멸되었다.
明代末葉 천주교는 다시 중국으로 진입했고, 1582년에는 예수회소속 이탈리아 선교사인 맛테오 릿치(Matteo Ricci)가 중국으로 전교를 위해 입국했으며, 처음에 그는 '西天竺僧'즉, 인도의 승려 신분으로 廣東省 肇慶에다 최초의 傳敎를 위한 敎會所를 건립했다. 맛테오 릿치는 중국문화와 풍속에 자신을 적응시켜가면서 西歐의 발달한 과학기술을 소개하는 방법으로써 明朝의 지배계층과 다수 士大夫들의 好感을 얻었으며, 그결과 천주교의 입지와 발전을 꾀했다. 그에 따라 프란체스코 수도회.도미니크회.파리 외방선교회등도 전교를 위해 중국으로 진입했다. 그 결과 淸朝 康熙後期때에 이르러서는 전국적으로 信徒는 30만명에 달했다. 그러나 예수회와 도미니크회간에 '중국禮節에 대한 論爭'이 발생하자 로마 교황청은 중국 신도들에게 祖上과 孔子에대한 祭祀를 금지시키는 지침을 하달했고, 이에 국가의 主權을 지키기위해 淸朝의 康熙황제도 '맛테오 릿치의 미사規範'을 따르지 않는 傳敎士들을 중국에 居住하지 못하도록 명령했다. 그 후 雍正帝 이후 각 황제들도 천주교 금지정책을 계승하였고, 乾隆시기에 철저한 금지정책을 실시하자 예수회는 자진해서 해산을 함으로써 천주교는 또다시 중국에서의 종교활동이 중지됐다. 그러나 阿片戰爭 직전까지 전국적으로 여전히 20만명의 신도가 있었다.
아편전쟁결과 중국의 門戶가 개방되었고, 1884년 중국과 프랑스간의 [黃浦條約]을 체결하자 천주교를 중국내에서 傳敎할 수 있는 特權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그후 각국의 전교사들은 중국 내륙으로 깊숙히 들어와서 敎會를 건립하고 傳敎활동을 활발히 재개하였다.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종교 이해와 현황 (0) | 2009.12.26 |
---|---|
중국의 종교와 기독교 (0) | 2009.12.26 |
道敎와 中國文化 (0) | 2009.12.26 |
중국의 종교(宗敎) : 신선(神仙)과 방사(方士) (0) | 2009.12.26 |
중국의 종교 : 음양오행설 (0) | 200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