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fe/My Love China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

지식창고지기 2010. 8. 3. 05:14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

 

 

중국의 지폐를 보면 간혹 색다른 모습의 남녀가 등장하는데 이는 중국 내 거주하는 소수민족의 모습으로 그들의 전통복식은 한족과는 아주 다르다. 그들은 모두 민족의 전통, 기후, 지리적 환경, 생활습관에 따라 각양각색의 특징을 보여주며 일일이 다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중국은 56개의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변방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각 소수민족은 그 고유의 다양한 복식문화를 보유하고 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므로 이 역시 중국 복식사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1. 춘추전국시기의 호복기사(胡服騎射)

 

중국은 예로부터 다민족 국가이므로 다원성이 중국문화의 특징이며 복식문화 또한 예외는 아니다. 춘추전국시기에 이르러 소수민족이 끊임없이 중원지역을 침범하여 중원지역과 소수민족간의 정치경제문화교류를 촉진시켰는데, 이 중에는 복식문화의 교류도 당연히 포함되어 있었다.

 

여러 문헌들에서 살펴볼 수 있는 중국민족의 복식습관은 매우 이른 시기에 소수민족 복식습관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과, 소수민족의 복식 또한 한족복식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음을 설명한다.

 

2. 소수민족 복식의 지역별 특징

 

중국 56개 소수민족의 복식은 일종의 문화부호이기도 하여 우리들은 그것을 통해서 각각의 민족을 식별해 낼 수 있다.

현재 민족복식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을 각 민족의 주거환경생산방식생활방식민족의 심미안 등의 차이에 따라서 북방민족복식남방민족복식과 산지민족복식 등으로 나누어서 소개하여 보기로 한다.

 

1) 북방 민족의 복식

 

중국 북방에 거주하는 종족-몽고족(蒙古族)어른첸족어원커족허저족까자흐족따지크족끼르키스족장족 등그들은 넓은 토지에 거주하면서, 물과 풀을 찾아 삼림과 초원에서 유목하는 목축수렵생활을 해오고 있다. 몽골족의 복식문화는 유목생활의 필요에 적응하는 몽골족 복식의 특징을 잘 설명하고 있다. 생산방식에 의거하여 복식은 가죽옷을 위주로 입으며, 유목생활의 필요에 적응하기 위해 몽골족 남녀는 모두 장포 입기를 즐겨하고 긴 비단으로 요대를 삼아 허리를 묶는다. 노루와 사슴이 많아서 사냥을 생업으로 삼는데 그 고기를 주식으로 하고 가죽으로 옷을 만들며 모자는 여우담비의 모피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2) 남방 민족의 복식

 

남방지역의 무더운 기후와 넘치는 강우량 등 지리환경의 원인에 따라 이러한 지역의 민족은 대부분 농업생산에 종사하는데 북방 유목민족이 생활하는 자연환경과는 매우 큰 차이가 있어 완전히 다른 복식현상을 엿볼 수 있다.

 

남방 농경민족은 의류와 일상용품의 원료를 스스로 생산하고 수직기를 사용하여 직조해 왔다. 남방민족 중 짱족묘족뚱족타이족 등은 모두 스스로 방적하고 직조나염이라는 특수한 공정기술을 터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녀자들은 통 모양인 통군과 주름치마인 습군을 입는 것을 그 특색으로 한다. 습군은 귀주성 일대 소수민족 부녀의 복장으로 그 중에 묘족의 주름치마가 가장 특색있다. 이 치마의 주름은 매우 섬세하게 잔주름이 잡혀 있어 백습(百褶)이라고 부르며, 실제로 주름이 500개 이상에 달하는 치마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복식은 모두 농경민족의 특징을 나타내주는데, 안정된 정착생활환경 속에서의 산물이다. 그리고 이 지역의 민족복식이 서로 비슷하며 닮아가는 현상은 농업경장 환경 아래에서 각 민족이 서로 어울려 생활하고 있음으로 상호 교류와 영향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3) 산간 민족의 복식

 

산간 민족으로는 이족나시족프미족 등을 들 수 있다. 지리적 위치와 기후는 추운 산지여서 북방민족이 거주하는 자연환경과는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이들 민족의 생산방식은 원래의 유목생활에서 반농반목생활로 전환되었다.

 

이 지역의 복식에서 가장 특색이 있는 것은 남자와 부녀의 "피전(披氈, 망토형식)"이다. 가령 이족 남자의 "찰이와(察爾瓦)"는 흑색의 양모로 제조한 피전이다. 이것은 도련에 술 장식이 달려있고, 어떤 것은 정교하게 주름을 잡아 만들기도 하는데 야간에는 침구가 되기도 한다.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문화는 하나의 방대하고도 복잡한 문화지식 계통이다. 중국 각 민족의 복식은 천차만별천태만상임에도 불구하고 각 민족이 장기간의 역사발전 과정 중에서 비교적 인근 민족간에는 복식문화의 상호교류가 있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3. 북방복식과 남방복식의 비교

 

중국 소수민족의 복장을 남방과 북방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해 보면 그 특징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실상을 몇 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북장(北長)남단(南短)

 

이 개념은 남방에서는 단장(短裝)으로 상의와 하의를 입고 있는데 반하여 북방에서는 주로 장의(長衣)인 장포(長袍)를 착용한다는 것이다.

 

2) 북변()남계()

 

북방민족은 고대로부터 변발 혹은 변자라 하여 두발을 길러 여기에 색포나 색사를 넣어 땋아 뒤로 늘어뜨리고 다녔다. 남방민족은 보편적으로 두발을 틀어 올려 반계()한다. 즉 두발을 길게 길러 두정으로 끌어 올려 계()를 만드는데, 민족에 따라 그 모습이 다르다.

 

3) 북모(北帽)남파()

 

중국 소수민족의 쓰개를 보면 일반적으로 북방지역에서는 모자를 쓰고, 남방지방에서는 두건을 두른다. 이러한 쓰개가 발달한 이유는 북방에서는 방한이 특히 중요하고 남방에서는 차양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4) 북화(北靴)남혜(南鞋)

 

신발은 일반적으로 방한이나 보호를 위한 실용적 가치와 장식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다. 북방민족은 생활환경에서 화 즉 목이 긴 신발을 발달시켰고, 남방민족은 혜 즉 단화를 신어왔다.

 

5) 북 원색(原色)남 흑색(黑色)

 

북방의 겨울은 매우 춥고 길며 여름은 짧은 무미건조한 자연환경 속에서 북방인들은 대비가 강렬한 색채를 선호하였으므로 황녹홍색의 원색이 복식에 주로 선택되었다. 이에 반하여 남방인은 아열대의 온난한 기후 속에서 언제나 황색의 토지와 녹색의 전답에 둘러싸여 있어, 오히려 복색에 있어 청남흑색 등의 수수한 색깔을 선호한다.

 

6) 북피(北皮)남방(南紡)

 

북방은 삼림 속에서 수피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목축 지방에서 목축피모를 생산할 수 있다. 북방지구의 민족은 수피나 어피가공에 능하여, 고도의 박피와 숙피 기술로 유명하다. 물론 여기에는 기후관계상 직물을 짤 수 있는 섬유를 구할 수 없다는 원인도 있다.

 

한편, 남방에서는 방직할 수 있는 섬유재료를 재배할 수 있어 남방 소수민족은 방직에 능하여 가정의 주요 부업이기도 하다. 고대부터 소위 "남경여직(男耕女織)"은 남녀의 노동분업을 말하는 것으로, 부녀들이 방직에 능함을 설명해 주고 있다.

 

※결론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중국 복식의 기본적인 형태는 중국의 광활한 대륙과 유구한 역사, 다양한 민족 구성으로 인하여 각 민족의 풍습이나 사상, 관습이 복식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각 시대나 민족에 따라 같은 명칭의 복식이라도 색채나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특징적인 미의식을 갖추고 있는데, 이로써 우리는 복식문화라는 것은 독자적으로 발전해 나간다기보다 그 나라의 문화와 맥을 함께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