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폐로 달리며 심장으로 인내하며 성격으로 승리한다. -Tesio |
8.갈기 9.어깨 10.기갑 11.옆가슴 12.등 13.허리 14.옆구리 |
1.턱 2.코끝 3.눈 4.이마 5.귀 6.뺨 7.목 |
|
15.엉덩이 16.꼬리 17.볼기 18.허벅지 19.슬관절 20.정갱이 |
21.앞가슴 22.앞무릎 23.관위(관부) 24.복대선 25.구절 26.발굽 27.발목 |
|
 손가락부위 (계,관,제관절) 손목부위 (완절 22.앞무릎) 팔굽 (주관절) 엉덩이 (고관절) 무릎 (19.슬관절) 발목부위 (비절 뒷무릎) 발가락부위 (제1,2,3지관절)
|
▣ 짧은등 긴배 (단배장복 : 短背長復) |
이상적인 체형의 말

|
바람직하지 않은 체형의 말

|
등이 짧고 배가 긴 말의 형태로 가슴둘레와 가슴폭이 크고 웅대해 보인다. 전력질주시 등뼈의 용수철 운동이 등이 긴 말에 비해 길어 보통말과 비교하면 1m정도 주행걸음이 길다.
※몸매가 긴 말은 흉위가 적으므로 폐활량도 적고 심장의 활동도 약하다. |
▣ 등(短背) |
 등이 짧고 적당하게 깊으며 흉곽이 잘 발달된 좋은 체형을 가진 더러브렛 |
 등이 길고 허리가 약한 말 |
말이 강한 힘을 내기 위해서는 등이 짧고 단단해 보여야 한다. 등이 짧은 말은 부담중량 능력도 클 뿐만 아니라 컨디션 유지에도 유리하다. 등이 긴 말은 약하며 허리가 느슨하다. |
▣ 어깨 ,기갑(등성마루) |
 |
 |
말의 키를 나타내는 기준을 기갑이라 하는데 좋은 기갑을 가진 말은 대개 45˚정도 누워있는 좋은 형태의 어깨와 발목을 가지고 있다. 어깨뼈가 적당하게 경사진 말은 충격의 완충에도 유리하고 상완골의 전ㆍ후 운동에도 자유롭다.
장구단배(長軀短背):기갑의 부위는 길고 등의 길이는 짧은 모양의 체형을 말하는데 이러한 체형의 말을 장구마(長軀馬)라 하며 속도를 내는 이상적인 체형임. |
▣ 목 |
어깨뼈(견갑골) 우측이양호

|
적당한 길이에 약간 활처럼 휜 목이 이상적이다. 짧고 바로 서있는 목은 좋은 형태가 아니다. 말의 머리-목-어깨의 상관관계는 말의 이동과 걸음걸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말의 목은 어깨뼈의 각도에 따라 길어 보이기도 하고 짧아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는 목의 길이가 같아도 어깨뼈가 좌측과 같이 서 있는 경우는 우측과 같이 누워있는 경우보다 목이 더 길어보인다. |
▣ 머리 |
 머리와 몸체가 균형적인 말 |
 몸체의 크기에 비하여 머리의 크기가 작은말 |
말의 머리는 상하운동을 통해 균형을 잡고 스피드와 방향을 잡는 역할을 하며 그 크기는 체구에 비해 적당해야 한다.
머리에 착용하는 장구 ㆍ귀가리개 : 소리에 민감한 말이 착용 ㆍ차안대 : 주위가 산만한 말이 착용 ㆍ코굴레 : 신경집중을 못하는말,머리가 높으말
|
▣ 가슴 |
 가슴이 넓은말 |
 가슴이 좁은말 |
말을 볼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다. 앞에서 보아 가슴폭이 넓은 말은 심장 폐활량 모두를 우수하게 갖춘 말로 장거리 경주시에도 지칠 줄 모른다.
※흉폭을 보는 방법 : 자신이 말은 보는 위치에서 왼쪽 커브를 돌고 있는 말의 앞가슴이 자신의 시야 정면에 들어왔을 때(앞다리가 옆으로 가지런히 있을 때 보는 것이 가장 이상적) |
▣ 발목과 발굽 제1지관절(계관절,繫骨:발목) 제2지관절(관관절,冠骨:발목) 제3지관절(제관절,蹄骨:발굽) |
경주마에서 발굽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은 격언이 말해준다. "발굽이 없으면 말이 아니다."( No foot , no horse ) 발굽이 고장나서 제기능을 하지못하면 말로서의 가치가 없다는 의미로서 발굽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굽과 발목의 각도는 동일하게 적당히 경사지어 있어야 긴 보폭으로 걸을 수 있다. |
 |
 |
 |
발목의 각도가 적당하고 중수골과 건이 잘 발달되어 있는 양호한 전지. 발굽후미가 약간 낮다. |
길고 누운 발목 지세(45도 이하)이며 발굽의 뒤가 약하다. 길고 약한 발목은 많은 운동량을 견뎌내기 힘들다. |
발굽의 뒤가 낮으며 발목은 일어선 자세이다. 예후가 불량한 지세이다. |
뒷발이 앞발의 발자욱보다 깊게 앞으로 디딜수록 좋은데 이는 근육과 힘줄이 모두 이상이 없다는 증거이며 잘 달리는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허리가 약한 말은 걸음이 흔들리며,굽이 넓은 말보다는 굽이 작은 말이 불량주로에서 유리하고 뒷다리에 붕대를 감은 말은 뒷다리 발진이 강한 말이고 앞다리에 붕대를 감은 말은 보호목적인지 건 또는 구절에 문제가 있는지 구별한다.
굽각도 : 발굽과 지면과의 경사진 각도, 정상지세에서의 굽 각도는 앞발굽이 45~50도, 뒷발굽이 50~55도 (발목이 누운말은 보폭이 넓어 잔디에 적합하나 모래주로에서는 건에 무리가 있다.) 굽이 크고 발목이 길며 전체적으로 다리가 가는 말들은 잔디주로에 적합하다.
|
말에게 있어 생명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발굽이다. 발굽의 주성분은 젤라틴으로 달릴 때 지면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충격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발굽은 열에 대해 강하며 사람의 손톱과 같이 한달에 약 9mm 정도 자라는데 경주마는 보통 한달에 한번 정도는 굽을 깍고 새신발(편자)을 갈아 신겨야 한다.
ㆍ장제 : 말의 발굽에 편자를 달아주는 것. ㆍ장제의 필요성 : 경주능력 향상,발굽의 마모방지,발굽질환의 예방,발굽각도의 자연상태 유지. ㆍ다리와 발굽은 구조가 특이해 달릴 때 지면의 충격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귓속으로 전달하여 지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새강자의 실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