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사/종교 관련

주 기도문 본문 본문 연구 의 요지( 권혁구 님의 문학석사 참고 )

지식창고지기 2011. 12. 1. 09:23

주 기도문 본문 본문 연구 의 요지( 권혁구 님의 문학석사 참고 )

예수님 의 가르치신 기도는 유대 전통으로 하루 3번씩 기도함을 쫓았다 하나 예수님 의 기도는 그들 이 감히 칭하지 못한 하나님의 호칭을 아버지 라 한 사실에서 꼭 전통을 쫓기 보다는 전통이 지키고자 한바의 실체를 완성하여 보인 기도 라 칭함이 합당하다.

유대인들 은
1. 쉐마( 민15장 37절-41절, 신11장4-9절,을 중심으로 형성된 신앙 고백에 가까운 기도문이 있다.
2. 테필라 ; 이는 18복 기원문 이라 불리는 중요한 유대 기도문 으로 하루 3번 암송 되었다.
3. 카데쉬 ; 안식일 공동 예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예배 후 회중이 공동으로 암송하던 기도문 이다. 전반부 가 주기도 와 비슷하다.

“ 주 께서 뜻을 따라 창조하신 세계에서 주의 위대한 이름이 높임을 받으옵시고,
거룩하게 여김을 받으옵시며, 주 의 나라가 당신의 생전에 당신 의 날 동안
  모든 이스라엘 집이 살아있는 동안에 빠르게, 속히 임하옵소서
주의 위대한 이름이 영원부터 영원 까지 찬양을 받으시리 이다. 아멘.
( 에이스 목양 총서 편찬 위원회 , 에이스 목양 총서 대구 일호 문화사, 1993년, 50쪽  )

* 주기도 문 본문 비평
예레미야스 는 마태의 본문이 누가의 것에서 중보된 것 이라는 주장을 논한다 (예레미야스, 예수님 의 기도, 90쪽 , 김인준 석사 학위 논문 주 의 기도문 연구(한신대학 신학 대학원)
1. 하나님을 향한 청원과 우리 청원의 끝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2. 마태의 것이 보다 조리있고 , 일관성이 있다. 세가지 당신의 청원은 세가지 우리의 청원에 부합되고 있다.
3. 누가의 것이 원초적 임은 하나님을 단지 ‘ 아바 ’ 로  기도한 사실에서 볼수 있다.
결국 누가의 본문과 일치된 형태가 원초본 이라는 것이다. 반면 마태의 것은 운율을 첨가하여 제의적으로 확장했다고 본다.
결국 예레미야스 는 길이는 마태가 누가의 것을 확장했고, 용어에서는 누가가 마태의 본문을 개량 변경가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문은 비단 길이 용어 뿐 아니라 기록 배경과 문맥에서도 외형적 차이를 보인다.
마태는많은 무리를 향한 구제, 금식, 기도 의 교훈 중 기도의 본 으로서 57단어 6청원  청원에 있어서 오늘날(세메론), 죄를 아람어 부채(호바)를 직역한 명사 오페이레마를 더불어 용서가 단회적 - 셈족 문법은 현재 완료를-가리키는 과거시제 아페카멘을 , 누가는 기도의 가르침을 요청하는 제자들에게 37단어 5청원 매일 마다 (토 에아데 헤메론).죄에 대한 일반적 용어 하말티아를 명사로, 동사는 오페이로(빚을 지다)를 사용, 계속적 행동을 강조시 사용하는 현재 시제 의 아피오멘을 용서하여주다에 사용함.



1. 서언 하나님 에 대한 호칭
기도 대상과 기도 할수 있는 자의 자격과 특권을 함축
2. 당신 이라는 이인칭 단수 문장으로 이루어진 하나님께 대한 세가지 기원
동사, 명사, 소유 대명사
거룩히 여김을 받는다- 세속적 인 것이 거룩한 것의 연합을 통해 거룩케 됨- 거룩히 여긴다, 구별한다. 받아 마땅하신 자신의 영광을 하나님이 받으셔야만 한다는 말. 또 예수님 의 구속 사건을 통해 이미 영화롭게 되고 또 이미 거룩히 여김을 받으신 하나님의 이름을 계속해서 선포 하는 전파, 확장과 참여.
나라이 임하옵시며- 예수님 께서 가르치신 , 예수님 의 오심과 함께 새 시대가 도래했고 , 천국 말씀 전파와 표적등 예언 성취로서의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새로운 통치가 이미 현실적 현재로 드러남이 계속됨  또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라는 사실이 바로 현재 하늘에 있음을 암시하며, 여김받음 과 임함(부정과거-수동형 명령법) 은 상태적이고 묵시적 으로 결합되어 있다.이는 시간을 통해, 시간 속으로 임하는 것을 요구한다. 더불어 이는 사람의 노력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람을 위한 행위이다. 이차적인 인간의 역할이 따라와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종말적인 하나님 의 왕적 통치를 구하는 것. 하나님의 초월성 과 선행성 이 이미와 아직의 사이에 구현됨을..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청원의 논리적 결론. 겟세마네 기도. 신자의 삶, 윤리적 팔복과 산상 수훈의 정신에 따라 삶의 방향을 잡는것과 예수님 의 사활 대속의 적용이 이루어 지도록 사는 것. 물과 성령으로 거듭난 교회의 이루어짐.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미래를 향해 그에 부합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3. 우리를 사용한  3가지 사람에 대한 간구

일용할 양식-  영육간에 요구되는..하나님의 뜻을 구현함에 필요한
용서 - 하나님의 용서를 받아야 할 필요를 느끼는 마음의 그림자
악에서 구하옵소서 - 사단의 남은 잠세력의 영향력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간구
나라가 영원히 아버지 께-  하나님께 절대 순종, 주권을 기억
권세가 아버지께 - 기도 응답 능력이 있음이 우리의 간구의 성취에 대한 확증이됨.

4. 송영.



**  소결

우리는 아버지 하나님께 하나님 자신의 거룩이 우리들에 의해 선포되며 더욱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인정 되기를 원하기를 기도해야 한다. 하나님 나라가 임 하여서 , 사단과 죄와 불의의 세력에 매여있는 자들이 자유함을 얻고, 하나님 나라 의 백성이 되는 구속사적 주권이 온 누리에 미쳐지고, 그들을 통하여 부활하신 그리스도 의 왕권이 사람 의 모든 삶의 영역, 정치, 경제, 문화, 예술 등에 나타나며,  주님 의 재림과 함께  임할 그 영원한 나라, 우리 에게 유업으로 약속된 영원한 주님 의 나라가 어서 속히 임하시기를 기도함이 합당하다.

하나님의 뜻이 반역한 사람들과 땅의 모든 것 위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화해와 회복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 지고 그것을 위해 우리가 기도하며, 그에 부합하는 삶을 살게 하소서.
만민에게 금생에 필요한 모든 것이 공급되게 하시고,  균형된 부여와, 우리가 땅의 양식에 집착할 것이 아니라 영원한 천국 잔치에 소망을 두게 하옵소서.

하나님께 용서받은 사실에 감사하며,  그에 대한 감격과 기쁨으로 우리 상호 간에 용서 와 사랑이 있게 , 더 많은 이들이 이 삶에 참여하게 되도록 애쓰게 하소서.
허락하신 연단 과정을 온전히 감당하여 승리케 하시며, 모든 악의 상황과 도적질 하고 죽이는 사단의 궤계로부터 보호하여 주옵소서
주님은 참 으로 주권자 이시며 영광을 세세 무궁토록 받으시기에 합당하시니이다.

* 기도는 삶과 동일한 것이며, 신앙과도 동일한 것이다. 곧 기도의 본은 신앙과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또 우선 순위도 제시해 준다.먼저 수직적 간구도 해야하나 그후에 수평적 인 것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  당신 청원을 드린 후 우리 청원도 드려야 한다. 함께 있는 간구로 영육간에 부족함 없는 풍성한 삶이 약속된다.

이미 하나님의 나라를 경험하고 아직 실현되지 않은 다가오는 하나님의 나라를 대망하는 공동체 의 간구.

'관심 사 > 종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시원 사상과 선교 전략   (0) 2011.12.01
대도는 영적 전쟁이다.   (0) 2011.12.01
설교학  (0) 2011.12.01
교회 개척의 가이드  (0) 2011.12.01
목사와 설교-로이드 존스글-요약정리   (0) 2011.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