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숨결/역사(한국)

신사임당의 작품세계

지식창고지기 2012. 12. 23. 05:40

신사임당의 작품세계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작품세계 (申師任堂, 1504-1551)


신사임당에 대해서


1504(연산군 10)-1551(명종 6) 조선 여류 문인, 서화가. 잘 알려져 있는 바대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여류화가로 시서화(詩書畵)에 모두 뛰어났다.

 

그림에 있어서는 산수, 포도, 대나무, 매화꽃, 그리고 초충(草蟲-나비, 벌, 메뚜기 등 풀벌레)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즐겨 다루고, 산수에 있어서는 안견을 따랐다고 전해진다. 「초충도」들은 한결같이 단순한 주제, 간결한 구도, 섬세하고 여성적인 표현, 산뜻하면서도 한국적 품위를 지닌 색채감각 등을 특징으로 지니고 있다. 사실상 조선시대의 모든 초충도는 신사임당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그 분야의 절대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논란의 여지가 없는 진작(眞作)보다는,그의 작품이라 추축되는 작품들이 많이 전해진다.

『초충도』병풍중 이그림은 화면의 중앙에 곡선진 가지의 두 줄기가 좌우 대칭을 이루고, 줄기에 열려있는 가지의 빛깔도 곱기만 하다.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안정된 구도, 섬세하고 부드러운 묘사가 빼어나며 한국적 미감이 작품의 격을 한층 높여주고 있다.

(종이에 담채, 33.2x28.5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작품보기

초충도-가지와벌

초충도-수박과들쥐

초충도
산차조기와 사마귀

초충도-오이와개구리

초충도-양귀비와 도마뱀

초충도-맨드라미와
쇠똥벌레

초충도-원추리와 개구리

초충도-어숭이와 개구리

(설명)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비슷한 구도의 초충이 그려진 여덟 폭의 병풍인데, 현재는 열 폭으로 꾸며져 있다. 그림이 아닌 나머지 두 면에는 {G:신경}과 {G:오세창}의 발문(跋文)이 적혀 있다. 각 폭마다 화면의 중앙에 두 세 가지의 식물을 그린 다음에, 그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각종 풀벌레를 적당히 배치하여 좌우 균형과 변화를 꾀하였다. 이 〈초충도〉는 형태가 단순하고 간결하여 규방(閨房)의 여성들이 필수적으로 하던 자수(刺繡)를 위한 밑그림이 아닌가도 생각된다. 여러 가지 청초한 식물과 풀벌레를 실물에 가깝게 정확하게 묘사하면서도, 섬세하고 선명한 필선으로 묘사하여 여성 특유의 청초하고 산뜻한 분위기가 돋보인다.

 

▶포도도

신사임당 초서 병풍(草書 屛風)-지방 유형 문화재 제41호 (조선 시대)  강릉시 죽헌동 201 (율곡 기념관)

이 병풍은 당시(唐詩) 오언절구(五言絶句)를 초서로 쓴 것으로 강릉시 두산동 최돈길가(家)에서 대대로 전승되어 오던 것을 1971년에 강릉시가 양수하여 율곡 기념관에 보관하고 있다.

 

이 병풍이 최씨 문중에 있게 된 것은 사임당의 이종 손녀(권처균의 딸로 최대해의 처)가 시집올 때 가지고 온 것이라 한다.

영조 때 이 글씨가 이웃 고을 사람에게 넘어간 것을 당시 부사 이형규가 되찾아 주고 병풍으로 꾸며 보관하게 하였다.

고종 6년(1869)에 최씨 집에서 불이나 온 집안이 불길에 휩싸였을 때, 당시 안주인(김씨)이 80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불길 속에서 제일 먼저 이 병풍을 끌어 내고 숨졌다 한다. 그 후 부사 윤종의가 이러한 일이 다시 있을까 염려하여 판각(板刻)을 만들었으며 이는 현재 오죽헌에 보관되어 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설명과 함께 큰 그림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고전미술로

'역사의 숨결 > 역사(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관의 작품세계   (0) 2012.12.23
신사임당(申師任堂) ( 1504 - 1551 )  (0) 2012.12.23
이인상의 작품세계   (0) 2012.12.23
신위의 작품세계   (0) 2012.12.23
이상좌의 작품세계  (0) 201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