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선일미(茶禪一味) 본고장의 명차(名茶) '경산차(徑山茶)'
차를 마시는 일은 참으로 즐겁기도 하거니와 바쁘거나 또는 지루한 일상생활 속에서의 유일한 탈출구이며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에게서의 ‘차 생활’이란 이미 하루도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처럼 된 것 같다. 뿐만 아니라 나와 더불어 차를 마시는 여러 지인들의 생활 속에서도 어느덧 깊이 뿌리를 내리어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기호품 내지는 취미생활로 정착한 모습을 자주 보곤 한다.
이렇듯 차를 즐겨 마시는 이나 혹은 음차생활에 심취한 나머지 아예 차학(茶學)의 연구에 몰두하는 이들, 더 나아가 정식으로 대학에서 다도를 전공하는 이들에 이르기까지, 늘 찻상을 마주하고 있노라면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 한구석에는 어느새 찻잔 속에 피어나는 수연(水煙)처럼 알 듯 모를 듯 묘한 화두처럼 우리의 뇌리 속을 맴도는 문구가 하나씩 있기 마련이다. 20여년의 음차생활은 각박한 현대 생활 속에서 피어나는 숱한 번민으로부터 나를 편안하고 즐겁게도 해주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나를 끊임없는 정신세계로 향하도록 매섭게 채찍질하는 화두가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바로 ‘다선일미(茶禪一味)’란 문구였다.
비록 불가(佛家)에서 비롯된 화두이긴 하나 필자 개인적인 견해로 볼 때, 기본적인 음차생활에서부터 다도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인이라면 한번쯤은 반드시 짚어보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여기고 있다. 많은 다인들이 ‘차 모임’을 갖거나 ‘차 문화행사’를 하거나 혹은? 다도에 관한 연구 토론을 할 때면 심심찮게 자주 거론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가의 다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일반 다실에 ‘다선일미’라고 쓴 편액이나 족자가 걸려 있는 것을 아주 많이 보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그 의미를 알고 걸어 놓거나 또 그 실체를 진정으로 깨닫고 걸어놓은 이들은 오히려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필자가 그 심오한 의미를 이해했거나 깨닫거나 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 심오한 뜻이나 깨달음은 각자의 개인적인 근기(根器)에 따라 맡기도록 하고, 이번 호에서는 경산사의 경산차를 소개하기에 앞서 먼저 ‘다선일미’의 연원(淵源)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볼까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일반적인 상식 속에서 자주 거론되는 ‘다선일미’는 대저 그 뿌리를 ‘일본다도’에서 자주 찾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마치 ‘일본다도’의 전유물인 것처럼 고정 관념화되어 있음을 쉽게 볼 수 있다. 물론, 차학(茶學)과 다도생활에 전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종사하고 활동하는 이들은 이러한 범주에서 제외되지만 말이다. 어쨌든 일반인들의 ‘다선일미’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일본이 동양 삼국(한·중·일) 중에서 ‘다선일미’란 문구를 가장 널리 선양하고, 또 즐겨 사용한 나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 다인들 사이에조차도 ‘다선일미’의 정신은 그 기원을 중국 송(宋)나라 때 경산사 주지로 있던 원오극근(圓悟克勤) 스님으로 보지만, 그러나 사실 그 기원은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가 당나라 때로 볼 수 있다.
중국 최고의 명차 용정차의 고장인 항주는 ‘중국의 차도(茶都)’로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으나, ‘다선일미’의 본 고장인 여항(余杭)이 항주와 이웃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다선일미’의 정신을 일본에 직접적 영향을 준 발원지는 중국 절강성 항주시 여항(余杭)의 경산사(徑山寺)이다. 경산사의 ‘다선일미’정신은 당나라 때의 고승이자 협산(夾山) 협산(夾山): 현재, 호남성(湖南省) 상덕시(常德市) 석문현(石文縣)에 위치의 개산 종조(開山宗祖)이며 협산사(夾山寺)의 주지로 있던 선회선사(善會禪師)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회선사로부터 계속 이어져 내려오던 ‘다선일미’의 정신은 송(宋)나라 때에 이르자 협산사에서 선회선사의 ‘다선일미’의 법통을 이어 받은 원오극근(圓悟克勤) 스님에 의해 더욱 크게 일어나게 된다.
원오극근 선사는 20여 년간 협산사 주지로 있으면서 ‘차(茶)와 선(禪)의 관계’에만 몰두하여 마침내 ‘다선일미’의 참뜻을 깨닫고는 그 자리에서 일필휘지하여 ‘다선일미(茶禪一味)’라는 네 글자를 썼으며, 이로 인해 중국의 선풍(禪風)은 크게 일어나게 되었다. 이 때 원오선사의 문하에 크게 촉망받는 제자가 두 명 있었는데 바로 대혜종고(大慧宗?·1089~1163) 선사와 호구소륭(虎丘紹隆·1077~1136) 선사였다. 이 두 사람은 모두 어려서 출가하여 협산사에서 원오선사를 20여년이나 스승으로 모시며 정진하였다.
그 뒤, 남송(南宋) 소흥(紹興) 7년(1137년) ‘종고(宗?)’선사는 승상 장준(張浚)의 추천으로? 황명(皇命)을 받들어 항주 여항의 경산사(徑山寺)의 주지가 되었으며 아울러 ‘다선일미’의 선풍을 크게 일으키게 된다. 종고선사가 경산사의 주지로 온 이듬해 여름에는 설법을 듣고자 참가하는 승속(僧俗)이 무려 1,700여명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수많은 승려와 신도들을 위한 각종의 다연(茶宴)이 베풀어지고, 이에 따라 『선원청규(禪院淸規)』를 바탕으로 한 각종의 사찰다례의 의식 등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이로써 바로 그 유명한 ‘경산다연(徑山茶宴)’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는 또 일본에도 아주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남송말년 일본다도의 비조(鼻祖)격인 에이사이(榮西禪師·1141~1215)는 두 차례나 중국을 다녀가게 되고,? 에이사이선사는 이때 원오선사가 지은 『벽암록』과 함께 원오선사가 친필로 쓴 ‘다선일미’의 묵적까지 함께 가지고 일본으로 돌아갔으며 뿐만 아니라 1191년에는 일본 최고의 ‘다경(茶經)’이라 할 수 있는 『끽다(喫茶)양생기』를 저술하여 광범위하게 선도(禪道)와 다도(茶道)를 전파하였다.
여항의 경산사(徑山寺)에서는 현재도 국내외 많은 다인들을 초청하여 ‘경산다연’을 재현하여 거행하고는 있으나, 모두 형식적이고 그 송나라 때의 경산다연의 실체를 찾기가 어려운 지경이다. 물론, 일본에서 경산다례의 실체를 찾을 수는 있겠으나, 그 또한 오랜 세월 속에 일본식으로 변했기때문에 여항 경산사 본래의 다연을 재현하기란 그리 쉽지가 않다. 앞으로 더 많은 문헌과 사료의 발굴로 진정한 경산다연이 재현되길 기대해 본다.
그래도 해마마 일본의 많은 차문화답사단이 다선일미의 고장인 ‘경산사(徑山寺)’를 잊지 않고 찾는 이유는 아마도 일본 다인들의 다도생활을 통해 참된 자아를 찾기 위한 열정과 일본 다도의 최고경지로 일컬어지는 ‘다선일미’의 발원지를 몸소 친견하고 싶은 흠모의 마음과 존경심의 발로가 아닐까 생각한다.
경산(徑山)은 역사적으로 볼 때, 이미 당송(唐宋)시대부터 중국 강남의 명승지였을 뿐만 아니라, 지난 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 강남 제일의 선림(禪林)로서 다선일미(茶禪一味)의 본고장이요, 일본의 승려인 남포소명(南浦昭明) 선사가 불학(佛學)과 함께 직접 경산다례를 배워가서 일본에 다도를 전파해 준 곳으로 매우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경산은 현재 절강성 여항(余杭)과 임안(臨安)이 교차하는 경계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경산(徑山)은 천목산(天目山)으로 가는 지름길에 위치하고 있는 산이라 하여 ‘지름길 경(徑)’자를 써서 경산이라 하였다. 경산은 동서(東西)로 나누는 두 갈래의 지름길이 있는데, 동경산은 여항을 통과하여 천목산에 이르는 길이고, 서경산은 임안을 경유하여 천목산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그래서 이 두 갈래 경로를 합칭하여 ‘쌍경(雙徑)’이라고도 한다.
‘경산’하면 우뚝 솟은 다섯 봉우리가 유명한데, 능소(凌?), 퇴주(堆珠), 붕박(鵬博), 안좌(晏坐), 어애(御愛) 등이 그것이며 이를 ‘경산 오대봉(五大峰)’이라 부른다. 차나무는 대부분 이 다섯 봉우리를 중심으로 한 봉우리와 계곡에 사이의 산자락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곳은 산봉우리들이 주변을 에워싸고 있어 늘 운무(雲霧)가 자욱하게 덮여있다. 또한 숲이 울창하여 일조량이 짧으며, 주야로 일교차가 심하다. 지난해 본지 8월호에서 최초의 식차지로 소개했던 몽정산의 기후와도 매우 흡사한데, 대개 이러한 기후조건은 차를 재배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차가 자생(自生)하기에도 매우 알맞은 기후조건이라 할 수 있겠다.
경산(徑山)의 연간 일조량은 1,800시간도 안 되며 연간 강우량 역시 1600~1800㎜이다. 뿐만 아니라, 토양이 비옥하며, 유기질 함량이 2~4%이며 토층이 깊고 두터워 지층표면이 24~40㎝이기 때문에 자연히 여기서 재배된 차의 싹과 잎이 함유하고 있는 유효 성분함량은 매우 높은 편이다. 아미노산(amino acid)의 함량이 4760㎎%에 달하며, 특히 ‘차(茶) 아미노산’은 1751㎎%를 함유하고 있어 항주의 초청(炒靑)차의 함량보다 무려 배나 가까이 높아 경산차는 차의 품질 면이나 생리적 효능에 있어서 매우 높은 완성도를 보이고 있다.
찻잎을 따는 채적 시기나 방법을 살펴보면, 경산차는 부드러운 연한 잎을 일찍 따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경산차는 곡우(穀雨) 전에 따는 것을 최고로 친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곡우 전에 따는 것을 ‘우전(雨前)’이라 하여 최고로 치는 것과 완전히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는 찻잎은 ‘일아일엽(一芽一葉)’ 혹은 ‘일아이엽초전(一芽二葉初展)’2)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통상 특 1호의 경산차 1근을 만드는데 대략 6만 2천여 개 정도의 찻잎이 들어간다고 한다.
제다(製茶) 면에서 살펴보면, 경산차는 ‘홍청(烘靑) 녹차(綠茶)’에 속한다. 즉, 덖음 녹차에 속한다. 일반 덖음차의 공정과정과 다를 바 없이, 솥에 ‘덖음(볶는 과정)’과 ‘약한 불(文火)에 쬐여 건조하는 과정(烘乾)’을 주요 공정으로 삼아 만드는 녹차이다.
강남제일의 선림(禪林)의 본고장이자, 절강성(浙江省)의 전통차로서 유구한 역사를 지닌 ‘경산차’는 일명 ‘경산향명(徑山香茗)’이라고도 한다. 완제(完製)된 경산차는 찻잎의 가닥이 섬세하면서도 싹이 가늘고 예쁘다. 싹의 끝이 두드러지게 잘 드러나 있으며, 색깔은 고운 비취색을 띤다. 향기는 맑고 그윽하며, 맛은 산뜻하고 순하다. 차탕(茶湯)의 색깔은 연녹색이며 옥처럼 밝게 드러내어 마시는 이로 하여금 마치 곱고 품위 있는 여인네를 대하는 듯 하게 한다. 엽저(葉底)를 살펴보면, 생잎처럼 부드럽고 가지런하여 차를 마시고 난 후에도 기분을 상쾌하게 하여 좋은 차에 대한 여운을 남긴다.
근거에 의하면, 경산차는 1978년 찻잎의 생산이 회복되었고, 성(省)과 시(市) 단위에서 개최된 명차 품평회에서 연속 3회 1등의 영예를 차지하였다. 현재는 이미 어느 정도 규모를 회복하여 명차(名茶)생산기지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됨에 따라 연생산량이 1,000근 정도에 달한다고 한다.
천하제일의 명차로 꼽히는 용정차가 생산되는 항주에서 아주 가까운 지척의 거리에 있는 경산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경산차와 더불어 원오극근(圓悟克勤) 스님에 의해 다선일미의 원류인 경산다례(徑山茶禮)가 생겨났다. 일반적으로 ‘다선일미’라 하면 모두 의례히 조주(趙州) 선사의 ‘끽다거(喫茶去)’에서 그 원류를 찾고 있다. 실제로 조주 선사의 ‘끽다거’에서는 ‘다선일미’의 개념과는 좀 거리가 있고, 또 설사 그 의미를 내포하더라도 매우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전해지고 있다.
그 반면에, 당(唐)나라 협산(夾山)3)의 개산 종조(開山宗祖)였던 선회(善會) 선사로부터 ‘다선일미’의 법통을 이어받아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키고, 다선일미의 정신을 친필 휘호와 함께 일본에까지 전파한 송(宋)나라 때의 원오극근 스님의 ‘다선일미’는 그 강령이나 의례에 있어서 사부대중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매우 현실적 다연(茶宴)이었고, 수행자들에게 있어서도 매우 구체적인 실천 강령이었다. 수많은 일본인들이 경산사를 ‘다선일미’의 본고장으로 매년 줄을 이어 찾는 것도 아마 이러한 이유에서 일 것이다.
촌안(村顔) 박영환 | 중국 사천대학 객좌교수 동국대학 겸임교수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식차지(植茶地) 몽산, '공차(貢茶)', '몽정차(蒙頂茶)' (0) | 2009.06.29 |
---|---|
세계적인 명성의 차중진품(茶中珍品) '혜명차(惠明茶)' (0) | 2009.06.29 |
위음(魏蔭)의 전설, 관음보살 현몽(現夢)의 '철관음(鐵觀音)' (0) | 2009.06.29 |
집안을 다스리는 격언 (治家格言) (0) | 2009.06.25 |
中國歷代王朝 개요 및 특징 : 明(명) (0) | 2009.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