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월이라 초가을 입추 처서 절기로다 화성은 서쪽이고 혜성은 중천이라 늦더위 있다한들 계절이야 속일소냐 비끝도 가벼웁고 바람끝도 다르도다 가지 우의 저 매미는 무엇으로 배를 불려 공중에 맑은소리 다투어 자랑하나 칠석날 견우직녀 이별 눈물 비가 되여 성긴 비 지나가고 오동잎 떨어질 제 눈썹같은 초생달이 서쪽하늘 걸렸어라 슬프다 농군들아 우리일 거의로다 얼마나 남았으며 어떻게 되여가나 마음을 놓지마소 아직도 멀고 멀다 골을 추어 김을 매기 벼포기에 피 고르기 낫 벼려 두렁깎기 조상무덤 벌초하기 거름풀 많이 베여 더미지어 모아놓고 논판에 새보기와 오조밭에 허수아비 밭가에 길도 닦고 덮인 모래 쳐올리소 살지고 연한 밭에 거름하고 푹 갈아 김장할 무우배추 남 먼저 심어놓고 울타리 진작하여 앞일을 생각하소
|
베짱이 우는 소리 자네를 위함이라 저 소리에 깨우쳐 놀래여 다스리소 장마를 겪었으니 집안을 돌아보아 곡식도 바람 쐬고 의복도 볕에 쬐소 명주오리 어서 감아 선기 전에 짜내시오 늙으신네 쇠약하니 절기바뀜 조심하고 가을철이 가까우니 의복을 유의하소 빨래하여 바래우고 풀먹여 다듬을 제 달빛아래 방치소리 소리마다 바쁜 마음 안사람들 골몰함이 한편으로 재미로다 소채과일 흔할 적에 저축을 많이 하소 박호박 썰어 말려 오이가지 짜게 절여 겨울에 먹어보소 귀한 음식 아니될가 면화밭 자주 살펴 울다레 피였는가 가꾸기도 하려니와 거두기에 달렸나니
내용 : 7월의 절기와 칠월칠석 견우직녀의 이별과 비, 김매기, 피 고르기, 선산의 벌초하기, 겨울을 위한 야채 준비 및 김장할 무,배추의 파종
/ 옛날의 농사는 어떻게 지었을까? / / 옛날 우리 농민들의 삶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