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상의 원류 공자
제자백가란 학파가 아주 많다는 뜻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실제로 백 가지나 되었던 것은 아니다. 九家 정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가는 교육관직, 도가는 문서관리직 등 제자백가사상은 당시의 상부계층이 분화하면서 주 왕조의 통일적인 지배체제가 와해됨에 따라 형성되었다.
이런 지배계층과 상부계층의 분화, 그에 따른 지역적 할거와 같은 현상은 주나라가 취했던 봉건제도의 내제적 약점 때문이었다.
주나라 초기에는 왕과 제후들이 대부분 인척관계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시간이 갈수록 촌수가 멀어져 남남으로 변해가는 바람에 주 왕조의 내부 결속력이 느슨해진 것이 분화와 할거의 매우 큰 요인이었다.
철기가 보급되고 관개가 발달함에 따라 땅의 점유개념이 소유개념으로 변화한 것도 춘추전국시대의 분화와 할거의 상황을 촉진시켰다. 지식인과 관리들을 부양하던 주 왕조가 몰락함에 따라 기존의 지식인들은 각지로 뿔뿔이 흩어졌다. 지역의 지배자들은 전쟁이 장기화함에 따라 군인 이외에도 국가를 잘 경영할 인재를 필요로 하였으며 이로 인해 각지의 지역적 왕조에서 지식인들이 기용되었다.
문자가 발달하고 교통이 발달한 것도 문화와 지식의 소통에 크게 기여하여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활동을 활성화시켰다.
1. 공자와 논어
공자는 교육자, 역사가, 사상가, 학자로서 후세에 큰 영향을 끼쳤다. 춘추전국시대 당시에는 도가, 묵가가 공자를 심하게 비판했지만 한 왕조 이후 공자는 대체로 높이 떠받들어졌다. 20세기 이후 중국에서는 공자가 심하게 비판당하기도 했지만 최근 들어 공자는 다시 존중되기 시작하는 추세에 있다.
제자와 드나들던 문객들이 생전의 공자의 가르침을 정리한 <논어>는 공자의 사상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저작이다. <논어>에 담긴 공자의 중심사상은 ‘仁’이다.
2. 仁 사상
사람다움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 仁은 원래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덕목이다. <논어>에 가장 많이 나오는 개념이 바로 仁이다. 공자는 仁을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며, 공자의 제자 曾參은 忠恕로 풀이하였다.
3. 교육사상
주나라의 부양을 받았던 지식인들은 주나라가 몰락하자 각지로 흩어지고 민간으로 흘러들어가 지식을 교육의 형태로 제공하면서 생활하게 되었다. 공자는 그 가운데 가장 교육에 열의를 바쳤고 또 성공을 거둔 사람이었다. 공자는 <논어>에서 교육에 의해 제대로 교양을 갖춘 사람을 군자라고 불렀다.
공자가 제시한 교육의 중요한 항목은 一日三省, 孝悌忠信 등 자기수련과 관계깊은 것들이었다. 그래서 공자의 가르침과 유교의 가르침에 대해 爲己之學이란 말이 나왔다. 인격수련을 위해 시와 음악 공부도 강조하였고, 선생이 학생들에게 모범을 보이는 시범식 교육을 지향하였다. 군자를 인간 완성의 최종단계로 본 것은 아니었으며, 그보다는 仁을 구현하는 聖人의 경지에 둠.
4. 덕치와 예치
공자는 주나라 초기에 주공이 이룩한 통치제도를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보았다. 혈연집단의 가족윤리를 사회의 통치원리와 결합시킨 것이다.
군주는 군주다운 덕성을 지녀야 하며 그를 바탕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덕치사상, 덕치를 구체화시켜 보여주기 위한 예치사상이 그의 정치사상의 중요한 항목이다. 말하자면 백성들의 마음을 덕으로 이끌고 예로 행동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군주의 도덕적 자각을 전제로 한 덕치와 예치의 사상은 치국평천하란 반드시 수기치인의 바탕에서 가능하다는 도덕과 인격수양을 중시하는 사상체계를 낳았다. 훌륭한 품성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5. 고대문화의 집대성
공자는 고전정리 작업에 큰 공헌을 하였다. 述而不作과 溫故而知新의 전통을 확립하였지만, 한편으로는 이로 인해 유가사상이 문화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가사상의 전개, 노자와 장자 (0) | 2009.07.22 |
---|---|
유가사상의 전개, 맹자와 순자 (0) | 2009.07.22 |
노산(嶗山) 도교문화 (0) | 2009.07.22 |
도교의 발생과 전개 (0) | 2009.07.22 |
도교(道敎)의 기원과 사상 (0) | 200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