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의 성씨 개관
중국 성씨는 원래 모계사회로부터 출발했다. 그래서 맨 처음에는 희(姬)씨처럼 성씨에 여자의 의미가 들어가 있었다. 그러나 차츰 부계사회로 넘어오면서 모계사회의 흔적이 사라졌다.
기원전 11~8세기에 중국의 성은 단 30개에 불과했다. 그 뒤 춘추전국을 거치면서 400~500년 사이에 성씨가 급증했다. 한대(漢代)의 자료에는 130개의 성이 있다. 명대(明代)의 문헌에서는 4,600개 이상의 성을 찾을 수 있다. 이렇게 역사적 변천을 거쳐, 오늘날 중국인의 성은 대략 6,000개에 이른다. 비교적 많은 것은 2,000개에서 3,000개이고, 그중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것은 200개 정도이다.
중국 전체 성씨 가운데 상위 100개의 성은 전체 인구의 85%를 차지한다. 그 중에서 1% 이상의 인구 비중을 차지하는 성씨는 모두 19개다. 리(李), 왕(王), 장(張), 류(劉), 천(陳), 양(楊), 짜오(趙), 황(黃), 쪼우(周), 우(吳), 쉬(徐), 쑨(孫) 순이다. 한편 중국에는 김씨(金氏)가 매우 드물다.
중국의 성씨는 단성과 복성 두 가지가 나뉜다. 복성(複姓)은 구양(歐陽), 제갈(諸葛) 등이다. 현재 성씨 비율이 높은 단성은 5,307개, 복성은 60여 개 정도이다.
2003년 7월 20일 중국 과학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성씨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성씨는 이씨(李)로 나타났다. 이씨는 전체 중국인의 7.9%를 차지한다. 왕(王)씨와 장(張)씨는 각각 7.4%와 7.2%로 2, 3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 다음 유(劉), 진(陳)순이다. 李, 王, 張 3성은 현재 약 3억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이(李), 왕(王), 장(張), 류(劉), 진(陳)씨 등 5대 성씨의 인구는 3억5천만 명에 이른다.
특히 이(李), 왕(王), 장(張), 유(劉), 진(陳), 양(楊), 주(周), 황(黃),조(趙), 오(吳), 손(孫), 서(徐), 임(林), 호(胡), 주(朱), 곽(郭), 염(染), 마(馬), 고(高), 하(何) 등 20개의 성은 중국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렇게 주류를 이루는 성을 대성(大姓)이라 한다. 이(李), 왕(王), 장(張),유(劉)는 북방에 많고, 진(陳), 조(趙), 황(黃), 임(林), 오(吳)는 남방에 많다.
성씨에 관련된 중국 최초의 서적은 서기 1100년대 북송(北宋) 시대에 편집된 『백가성』(百家姓)이다. 여기에는 총 438개의 성씨가 수록되어 있다. 그 특징은 송나라를 건국한 황제의 성씨가 조(趙)였기에 성씨의 시작이 조(趙)부터 시작되었다. 네 글자로 한 문장이 되는 운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전손이(趙錢孫李), 주오정왕(周吳鄭王)"이다. 백가성에서는 조(趙), 전(田), 손(孫), 이(李), 주(周), 오(吳), 정(鄭), 왕(王)씨 등의 순이다. 송나라 황실의 성이 "조"씨였기 때문에 "조"씨는 국성으로 백가 성씨 중의 제일 성씨가 되었다. '조(趙)'씨는 현재 7위다.
중국성씨라고 해도 漢族의 성씨가 아닌 소수민족의 성씨가 많다. 중국 대만 홍콩 싱가폴 월남 말레이지아 한국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한자 성이 쓰인다.
한편 중국의 성씨들은 특정지방(省)에 집중 세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통계상의 오류가 일어나서, 한 두 지방의 통계가 누락되면 순위가 크게 바뀔 수 있다. 실제로 중국의 인구와 성씨 통계를 정확하게 조사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중국에서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아버지 성씨를 따른다. 딸이 시집간다 해도 남편의 성씨를 따르지 않고 원래의 성씨를 유지한다. 그렇지만 어머니의 성을 따르는 경우도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현대 문학가이면서 혁명가였던 루쉰(魯迅)은 본래 주수인(周樹人)이었지만 어머니의 성씨를 따라 노(魯)씨로 바꾼 대표적인 인물이다.
< 중국의 주요 성씨 >
李,王,張,劉,陳,楊,黃,趙,周,吳,徐,孫,朱,馬,胡,郭,林,何,高,梁,
鄭,羅,宋,謝,唐,韓,曹,許,鄧,蕭,馮,曾,程,蔡,彭,潘,袁,於,董,余,
蘇,葉,呂,魏,蔣,田,杜,丁,沈,姜,范,江,傅,鐘,盧,汪,戴,崔,任,陸,
廖,姚,方,金,邱,夏,譚,韋,賈,鄒,石,熊,孟,秦,閻,薛,侯,雷,白,龍,
段,郝,孔,邵,史,毛,常,萬,顧,賴,武,康,賀,嚴,尹,錢,施,牛,洪,龔
< 중국의 주요 2자 성씨 >
百里, 東方, 獨孤, 端木, 公孫, 穀梁, 賀蘭, 赫連, 賀若, 呼延,
万俟, 慕容, 歐陽, 沙吒, 上官, 司徒, 司馬, 司空, 尉遲, 西門, 諸葛, 祝融, 左人
< 성씨의 연원 >
우선, 주나라 황실의 성씨는 희(姬)씨 이다. (주나라의 대부분의 제후들의 성씨, 제나라는 姜太公-田)
1. 주나라 봉건국가에서 나타난 성씨 : 노(魯), 오(吳), 진(陳), 조(曹), 연(燕), 진(晋), 채(蔡), 위(衛),정(鄭)
2. 나라 이름에서 따온 성씨 : 노(魯), 진(晋), 위(衛), 조(曹), 등(藤), 연(燕), 정(鄭), 오(吳), 위(魏), 한(韓), 하(何), 곽(郭), 관(管), 초(焦), 활(滑),형(邢), 진(陳), 조(趙), 전(田), 허(許), 주(朱), 루(婁), 루(樓), 월(越)
3. 봉지(封地)나 읍(邑) 이름에서 따온 성씨 : 유(劉), 백(白), 최(崔), 포(鮑),비(費), 상구(商丘), 종리(鐘離)
4. 지방행정 이름에서 나온 성씨 : 온(溫), 원(原), 소(蘇), 모(毛), 감(甘), 제(祭)
5. 경(卿:성의 장관이상의 벼슬)으로 임명된 성씨 : 배(裵), 육(陸), 염(閻), 비(肥), 대륙(大陸)
6. 정(亭:역참의 장)으로 임명된 성씨 : 채(採), 구양(歐陽), 유두(兪豆)
8. 직업과 관련한 성씨 : 사마(司马-군인), 도(陶-도예가), 무(巫-샤먼)
7. 가족 중에서의 서열을 말하는 성씨 : 맹(孟), 중(仲), 숙(叔), 계(季-장남)
9. 조상이 받은 작위의 성씨 : 백원(伯爰)
10. 동화된 부족명의 성씨 : 호(胡)
< 성씨의 유래 >
• 王 ; 商나라 왕의 개명
• 李 ; 타 민족의 개명된 성 삼국시대, 소수민족들이 趙 張 李로 개명.
선비족이 李로 개명을 많이 함. 선비족은 퉁구스계 북방민족임.
• 張 ; 원래의 시조는 예전부터 동이의 부족의 수령인 少昊에서 파생된 것
• 趙 ; 상고시대부터 , 역시 동이의 少昊天子;
• 黃 ; 제무시절에 동이의 부락 수령 백익이 우 황제의 치수사업에 공을 들여 성을 하사받다.
(帝舜時,東夷部落首領伯益因助禹治水有功)
• 徐 ; 중국기원 찾을수 없음, 고조선에서 유래한 것이 徐氏라고 하는 것이 한국의 주장./////
• 林 ; 선비족
• 高 ; 高夷族에서 나왔다고 함. 상고시대의 부터 동이
• 鄭 ; 전설에 따르면 염제의 시절 농업신의 성씨라고 함(일부는 염제를 동이로 봄)《史記‧五帝本記》
• 羅 ; 夏나라때 동방의 유일한 檀군장의 시조을 라(羅)라고 칭함. 한화된 胡가 羅
• 韓 ; 중국은 周부터, 한국은 고조선부터 쓰여진 성씨
• 許 ; 천축국의 무리 중, 중국 양쯔강 부근에 살던 사람들에게 내린 성씨 인도인 무사계급.
• 潘 ; 한국이나 월남에도 있다.
• 蘇 ; 한국에도 출현한다.
• 呂 ; 由魏가 성 개명. 북방민족임.
• 魏 ; 史記에 “或在中国,或在夷狄”라고도 했던 魏는 사실 월지족이나 흉노계의 국가로 북방민족
• 田 ; 丁 기원누락
• 沈 ; 퉁구스 선비족의 개명, 선비족은 동이의 일부로 보임
• 姜 ; 염제 신농씨가 姜水에 살았다고 함. 동이의 일부로 보임
• 崔 ; 한국의 성씨라고 중국 측이 말하고 있다.
• 金 ; 淸부터 金氏가 나온다고 말한다. 중국의 역사에도 동이나 청의 왕조, 혹은 흉노로 金을 말한다.
청의 국호가 金(금)으로 金(김)씨로의 개명을 황제가 친히 내린 적도 있다.
무제 때 흉노의 태자가 金(김)씨로 개명하였고, 중국의 김씨는 한국계일 가능성이 높다.
• 秦 ; 東夷部落首領伯益的裔孫非. 동이의 일부로 보임
• 白 ; 신라 후대에 건너간 성씨로 唐시대 발생한 것으로 되어있다. 唐朝时候有白居易,元朝时候有白朴.
• 嚴 ; 원래는 중국의 성씨지만, 만주족이 개명했었고, 조선족 중에도 있다.
• 尹 ; 少昊金天씨에서 나왔다고 말하고 있다. (通志)氏族略載,少昊金天氏之子殷被封於尹城
소호금천씨의 아들이 은으로 피해가 윤씨 성주에 봉해지다.
東夷 족은 적어도 漢족과 다르다. 물론 모든 동이가 한국인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한국인의 선조가 될 가능성은 漢족 보다 훨씬 높다. 따라서 한국에 있는 많은 소위 중국계 성씨라는 것은 사실은 대부분 고조선계이거나 동이의 성씨라고 해야 맞는 말이다. “중국계 성씨가 한국성씨의 주요 성씨입니다.” 라는 말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인의 상습관(商習慣) (0) | 2010.01.06 |
---|---|
"天" 개념의 분석적 이해 (0) | 2010.01.06 |
중국인의 성씨관(姓氏觀) (0) | 2009.12.30 |
“漢族, 단일민족 아니다 해!” (0) | 2009.12.30 |
중국의 종교와 사상 (4) (0) | 200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