端午節{음력 5월 5일}은 동양세계에서 고래(古來)로 지켜온 대표적 명절(名節) 중의 하나로, 특히 양수(陽數)[기수(奇數)로도 표현함]가 겹치는 날[3월3일, 5월5일, 7월7일, 9월9일]의 명절 중 볕이 가장 강하다고 하여 성대하게 풍속(風俗)이 행해지는 날입니다. 가정에서는 정갈한 음식을 마련해 단오차례(端午茶禮)를 지내고 여러 가지 풍속 놀이를 하며 하루를 즐깁니다.
단오의 의미는 초오(初午)라는 뜻으로 5월의 첫 오일(午日: 말의 날)을 말하고, 수(數)에서 홀수가 음양(陰陽)의 양수(陽數)에 해당하기에 달과 일의 수(數)가 겹치는 날이기도 한 5월 5일이 큰 명절이 되었습니다. 별칭(別稱)으로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五節), 단양(端陽) 등으로 불리며 우리 나라에서는 수릿날이라고도 불립니다. [ 端(단)단오, 단정하다, 실마리, 끝 ]
[중국(中國)]
시절전래설(時節傳來說) : 문헌상에도 고대 한(漢)나라 시절부터 단오 풍속의 기록이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5월 5일의 풍속이 생겨난 것은 비가 많이 내리기 시작하는 5월을 맞아 악질(惡疾)이나 액(厄)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豫防) 풍속이 생겨난 것으로 봅니다.
약초(藥草)나 창포(菖蒲)를 사용하거나 쑥으로 인형(人形)을 만드는 풍속에서 보이듯이 향(香)이 강한 풀이나 약초(藥草) 등으로 액(厄)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명절로 정해진 것입니다.
굴원고사설(屈原故事說) :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충신(忠臣)이었던 시인(詩人) 굴원(屈原)이 충절(忠節)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 임금을 그리면서 유배지(流配地)의 멱라수에 몸을 던져 죽은 날이 5월 5일이었기에 그를 기리는 뜻으로 대나무 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무 잎으로 싸서 물 속에 던지던 풍속이 변해 대나무 잎에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속으로 발전된 것으로 봅니다.
[우리 나라]
수릿날 : '수리[한자어로는 술의(戌衣)]'의 의미는 '신(神), 상(上), 고(高)'의 뜻으로, 상일(上日), 신일(神日)의 의미를 수릿날로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모내기 파종(播種)을 끝 맺는 5월이면 군중(群衆)들이 모여 하늘[신(神)]에게 제사(祭祀)를 지내고 가무(歌舞)와 음주(飮酒)를 즐겼다는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한전(韓傳)[마한(馬韓) 기록]>의 기록을 보면 농경(農耕)의 풍작(豊作)을 기원(祈願)하는 풍속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는 '수리'를 '거(擧: 수레)'의 의미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단오절 시절음식(時節飮食)의 하나인 쑥떡을 수레바퀴 모양으로 만들어 먹기 때문에 수릿날이라는 명칭이 생긴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오절(端午節)이 대표 명절이 된 것은 좋은 기후의 계절에 양수(陽數) 중복의 날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굳어진 것으로 봄이 마땅할 것입니다.
단오날에 지방에서는 그 지방 향토신(鄕土神)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는 풍속이 있습니다. 강원도(江原道) 강릉(江陵)과 삼척(三陟)에서 행해지는 단오제(端午祭)가 가장 유명한데, 특히 강릉의 단오제는 커다란 축제(祝祭) 형태로 여러 날 행해집니다. 수많은 군중(群衆)들이 보는 앞에서 40-50여명의 무격(巫覡)들이 모여서 제사(祭祀)를 지내는데, 대관령(大關嶺)의 성황신(城隍神)을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고 가면(假面) 놀이와 유희(遊戱)를 즐기면서 그 해의 풍년(豊年)과 대관령의 산행(山行) 안전(安全)을 기원합니다.
삼척에서도 오금잠제(烏金簪祭)라는 단오제를 지내는데,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유물(遺物)이라고 하는 비녀[잠(簪)]를 함(函)에 모시고 무당(巫堂)의 가무(歌舞)로 화(禍)를 물리치고 복(福)을 부른다[제화초복(除禍招福)]는 의미로 기원하는 의식을 여러 날 축제로 행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