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불․도 삼교의 대립과 융합
제1장 한대 경학사상의 전개
1. 유가의 독존과 금고문논쟁
․진시황(秦始皇,BC 259‐210) : 중국 최초의 중앙집권적 통일제국인 진(秦)나라를 건설한 전제 군주
§진시황의 통일정책
1)정치적 : 강력한 중앙 집권제, 군현제(36군 72현)
2)경제적 : 도량형 제도와 화폐통일
3)사상적 : 분서갱유, 협서율(농사․점복․약학․의학 등 실용성이 강한 책은 읽을 수 있도록 함)
․한나라 초기에는 무위의 도가사상을 장려하면서 사상해방을 내걸었다.
-황로사상이라고 하는 도가사상이 유행함
§유가의 독존
1)동중서(董仲舒, BC 179~104) : 유학 독존의 통치이념을 확립
2)오경박사제도 실시(유학 우대제도)한대:군현제, 오경박사제도, 참위설
3)유교가 비이성적으로 강화됨(공자가 신격화가 됨)
-경서(성인의 말씀), 위서(경서를 보완하는 책, 예언서)
§금고문논쟁
1)협서율이 폐지되면서 당시 학자들이 암송하고 있던 경전 내용을 정리하여 복원함(금문경전)
2)숨겨둔 경전이 발견됨(고문경전)
3)유학의 정통을 차지하려는 정치적 논쟁의 차원이었다.
4)통치권력과 관련하여 통치권을 강화하거나 견제할 목적으로 논쟁은 석거각 회의를 시작으로 4차례 진행됨
-정치적으로 해석이 가능한 『춘추』가 논의 대상
5)1차 논쟁 :금문과 고문의 논쟁
6)2차 논쟁 :광무제가 경전에서 통치이념을 끌어내기 위해서 논쟁이 붙게 됨
7)3차 논쟁 :논쟁에서 나온 결론을 모은 책이 <백호통>이다.(봉건사회의 성립기반을 지탱해주는
통치원리가 주 내용을 이룸, 음양오행을 논리적으로 설명)
8)4차 논쟁 :호족집단․환관집단에 지식인이 대항하는 논쟁
§훈고학 : 훈은 읽는 법을 뜻하고 고는 글자의 의미를 뜻함
§금고문논쟁의 의의
1)경서가 정리가 됨
2)고문경학이 등장함으로 예언설로 얼룩져 있던 금문경학의 많은 문제점을 바로잡음
3)유교가 관학, 통치이념으로 자리잡는 과정 속에서 일어남
4)다른 학문에 영향을 줌. 복고적인 역사관(고문경학)와 진취적인 역사관(금문경학)을 보여줌
5)문자관련 책들이 나오게 되는 모티브가 됨
2. 천인관계 논쟁
§천인관계 논쟁
-금고문논쟁과 맞물려 나옴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논쟁
-중국 철학을 관통하는 중요 주제
§천인관계 논쟁의 중요 쟁점
1)상관설(제학파) : 자연과 인간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
①맹자 -천인상관설, 천명정치사상
②동중서 -천인상감설(군권신수설과 재이설을 바탕으로 함), 음양오행설, 목적론적 세계관
-자연계의 운행과 인체의 운행도 연관지어 설명(춘추번로)
-목적론적 세계관
-동중서의 철학 1)왕권강화 2)왕권견제 3)전통의학에 영향을 줌(황제내경)
2)무관설(노학파) : 자연과 인간은 전혀 관련이 없다.
①순자, 노자, 장자
②왕충(王充 27~97) -고문학파에 속한 인물, 기계론적 세계관
-<논형> 통해 동중서의 사상에 정면으로 반대
제2장 위진 현학사상과 도교
1. 위진현학사상의 탄생
§현학의 등장
-한 왕조가 해체되면서 한대를 지배했던 경학이 약해지고 대신 노장이 주류로 부상하는 시대적 분위기 반영
-명사(위진시대의 출현한 특수한 인물)는청담을 해야한다(
명사는일정한 내용(삼현학),일정한 방식(완곡히 풍자하여 말하는 방식),잊정한 자태(고라니의꼬리털로 만든 털이 개를 쥐는 아름다움을 돋보이려는 자태)가 있다
§현학의 주요 경전 - 노자, 장자, 주역이며 이를 삼현이라 함
-삼현학 :사상자체가 심오한 사상을 담론으로 하고 있다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죽림칠현 - 완적, 혜강, 산도, 상수, 유영, 왕융, 완함
§위진현학의 주된 관심
-도가적인 우주 자연과 유가적인 사회 명교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
2. 왕필과 하안
1)<노자>, <장사>, <주역>의 삼현을 내용으로 삼고 청담과 논변을 형식으로 하여 이름을 날림
2)위진시대 현학의 대표적 인물
3)무를 근본으로 하고 유를 말단으로 하는 우주본체론을 주장
-무를 만물의 존재 근거로 간주하기 때문에 '귀무파'라고도 함
-노자의 우주생성론을 우주본체론의 차원으로 발전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無가 사물의 본체이고 有는 無의 구체적 표현 즉 천지만물은 無를 근본으로 한다고 주장
§왕필(王弼, 226~249) : 위나라 시대의 뛰어난 현학이론가
1)<노자 주> : <노자> 주석서 가운데 가장 뛰어난 주석으로 알려져 있다.
2)'유'와 '무'의 기초 위에서 본말과 체용을 논함
-체는 본체․실체로 근본적이고 내재적, 용은 체의 외재적 표현과 현상
-무는 사물의 본체이고, 유는 무의 구체적 표현
3)만물은 모두 무로 되돌아가며 무에서 통일된다.
4)언어와 뜻에 대한 견해
-言不盡意 :언어로 뜻을 다 표현할 수 없다.
5)인식론은 ‘언부진의’적 사유와 ‘득의망상’의 학설에 집중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상과 언어는 인식의 도구일 뿐 인식의 목적이 아니라고 생각함
3. 완적과 혜강
․현학 청담의 학풍은 완적과 혜강 시대에 전성기를 맞음
§완적(阮籍, 210~263) - 노자와 장자를 좋아했고 유가의 예교(禮敎)를 비판
- 유교의 예법과 명교를 극단적으로 비판
§혜강(223~262) - 노자와 장자를 노장이라고 최초로 병칭함
- “나는 언제나 湯, 武를 비방하고 주공과 공자를 가벼이 여기네…노자, 장자가 나의 스승일세”
-성무애락론 :소리는 애락과 관계가 없다(음악은 희로애락의 정을 가지고 있지 않음)
*완적과 혜강의 사상은 왕필의 사상과 곽상의 사상을 연결해 주는 고리로 작용
§위진시대 노장학의 발전 단계
첫번째 : 무를 사물의 근간으로 여긴 왕필의 노자학
두번째 : 위나라 말의 혜강과 완적의 노장학
세번째 : 서진시기 곽상의 장자학
§격의불교(格意佛敎) - 불교를 노장식으로 이해하고 해석(위진현학의 영향)
4. 곽상
1)역대의 <장자>에 대한 주석서 가운데 가장 이름 높은 <장자주>의 저자
2)왕필의 귀무론과는 상반된 해석을 함(有無 가운데 有를 중시함)
3)만물이 누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저절로 독자적으로 발생 변화하는 현상을 곽상은 독화(獨化)라고 함
-자생독화설
-조물주의 존재 부정
4)무는 유를 생기게 할 수 없다고 함
- ?무?란 사물의 생성에 근거가 되는 다른 사물은 ?필요없다?라는 의미의 무이다.
5)무대사상 : 한사물의 존재는 다른 사물의 존재에 의탁하지 않는다.
6)만물은 자기본성(성명), 본분에 의해 결정되며, 소요란 그 본분에 만족하는 것
-완적이나 혜강이 말한 소요는 속세에서 멀리 벗어나 마음이 사물 밖에서 노니는 정신적인 자유
7)인과 관계를 철저히 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에 한계가 있다
§도연명
-유가적인 삶이면서 도가적 삶을 살다 감
제3장 도교의 발생과 전개
1. 도교의 정의와 특징
§도교라는 말은 본래 도. 즉 진리에 관하 가르침이라는 뜻의 보통명사이다.
§도교라는 용어가 보이는 최초의 책은 『묵자』이다.
§도교는 5세기 무렵 남북조시대에 종교의 틀을 갖춤
§도교의 특징
1)고대 민간신앙을 기반으로 한 신선설
2)무속적인 신앙
3)불교의 체제와 조직
4)현세의 이익을 추구
*다양한 요소들이 개입한 문화적 복합체
§노자의 도와 덕을 근본신앙으로 하며, 노자를 태상노군이라하여 받든다.
§양생수련법(=도술)
-단전법, 토납법, 방중술, 연단술 등
2. 도교의 성립과 전개
§최초로 도가의 문을 두드린 방술사는 하상공인(하상공)
§도교의 원류 - 후한 말에 장각이 지도한 태평도와 장릉이 만든 오두미도라는 두 종교 교단으로 봄
§태평도 -『태평경』(최초의 도교경전)을 신봉, 노자를 최고의 신으로 높임
§오두미도(五斗米道) - 장도를 찾는 사람들은 모두 다섯 두의 쌀을 헌납하여 오두미도라 함
1)<노자상이주>, 장릉이 지음, 노자를 교주로 여겨 태상노군이라 칭함
2)황건적의 난을 일으킴
§위백양과 갈홍 - 신선술의 이론과 방법을 제공하고 종교로서 도교의 기초를 세움
1)위백양 -<주역참동계>를 제공하여 음양론을 도입
2)갈홍 - 『포박자』를 통해서 내단과 외단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
§남북조시대 북위의 구겸지에 의해 제도화하여 국가종교가 됨
-당왕실은 노자를 자신들의 조상으로 삼음
§송대에는 유가와 도교가 상호 흡수되고 융합하는 추세를 나타냄
§송대 이후 도교는 유․불․도 삼교의 합일을 특징으로 함
3. 도교경전과 후대에 끼친 영향
§도교의 경전
1)태평경 -최초 경전
2)포박자 -경전 목록의 성격을 띤 최초의 책
3)도장 -도교의 모든 경이라는 뜻으로 불교의 대장경에 상응함
4)일반 서민에게 영향을 끼친 도교 경전 -<태상감응편>, <음즐문>, <공과격>
§도교가 후대에 끼친 영향
1)유가적 입장에서 볼 때 이단에 속함
-개인적인 사유를 가지고 있고, 비합리적(신선술, 신화), 혹세무민(무속과 연관됨)
2)도교 - 중국 역사에서 기존의 체제를 부정하는 사상으로 표출되기도 하였음
3)백성에게 자신의 한과 억울함을 풀어주는 심리적 기제로 작용
4)강한 응집력을 보여 기존 체제를 부정하는 사상으로 표출되기도 함(황건적의 난)
5)동아시아 문화의 핵심을 이룸
제4장 인도불교의 전래와 수용
1. 인도불교의 발생
․석가모니는 석가 족의 성자, 붓다(Buddha)는 깨달은 자라는 뜻
§불교가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
1)긴 역사를 가지고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기 때문
2)자신의 내면을 깊이 성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자각적 정신주의 때문
3)인도의 전통사상을 배경으로 성립했기 때문(윤회설, 업설)
§불교의 비현실적 태도
-자각적 정신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각적 정신주의는 일상적 경험과 반비례하기 때문에 불교는
세상을 대하는 태도가 비현실적이지만 궁극적 목표는 현실의 포용이다.
§무아설
-자아는 자각적 정신체험의 주체이지만 동시에 사물과 자아 사이에 벽을 만들어 자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불변적 주체로서의 자아를 극복하는 것은 불교의 큰 가르침이다.
§불교의 부정논법
-세상 만물은 고정된 의미를 갖고 있지 않으며 자아 또한 불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정논법을 주로 쓴다.
§윤회설과 업설 -인도 전통사상과 연계되어 있다.
1)윤회설 -우주 전체에서 생명을 보고자 하는 것
-고통 속에 살고 있지만 해탈이 가능하다고 주장(전통 인도사상과 다른 점)
2)업설 -전 행위가 그 다음 행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先業善果, 인과응보)
-숙명론이 아니라 우리의 자유의지와 노력이 헛되지 않음을 보증하는 이론(자신이 책임짐)
§부파불교
실천적 수행보다는 이론에 치중하는 불교로 출가자위주의 불교가 되었음을 말한다.
1)석가의 가르침을 경, 율로 문자화(법등명 :법을 등불로 삼아라)
2)체계적으로 이론화한 논서들을 정비
3)출가수행주의, 철학으로서 불교발전(전문 사제의 길로 가야 해탈을 이룬다고 생각)
4)대승불교가 일어나면서 소승불교라고 비판을 받음
-출가수행주의에 의하면 일반인은 해탈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대승불교
1)석가의 삶으로 돌아가자
2)재가신자 입장 대변(스스로 해탈의 주체인 보살이 될 수 있다는 자각적 실천운동)
3)불 중심의 불교운동
4)중관학파(반야공)와 유가학파(유식공)가 대표)
2. 중국의 불교수용
․인도 불교의 중국 수용은 인도문명과 중국문명의 연속적 상호작용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봐야함(두 문명의 융화 형태)
§언어와 사고의 차이
구분 |
인도문명 |
중국문명 |
언어 |
굴절어 |
비굴절어 |
복음절 |
단음절 | |
표음문자 |
표의문자 | |
체계적 문법 |
체계적 문법 없음 | |
사고 |
우주론적, 추상적 |
경험적, 역사적 |
극단적, 복잡 |
구체적, 간결 | |
치밀한 논리 |
비유적 | |
특징 |
정신주의 |
현세적 |
⑴초기 수용 단계
- 한대 유학의 취약성이노출된 후 자리잡기 시작(중국의 불교수용은 한대 유학과의 노변증법적 종합이기 때문이다.
- 후한 초기 불교의 전파와 한의 멸망부터 위진 시대까지(의탁불교시대, 격의불교시대)
- 위진 시대는 현학의 시대로 도가사상이 불교를 받아들이는 매개 사상이 됨
(도가사상으로 불교사상을 받아들임-불교의 공은 도가의 무와 같다고 생각)
- 의탁불교(依託佛敎) : 토착용어와 개념의 단편적 차용
- 격의불교(格義佛敎)
: 체계적인 불경 번역 이론 마련
: 차용한 개념들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불교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고 함(개념 짝짓기, 단순대비)
⑵토착화 단계
- 한족과 이방민족이 남북으로 권역을 나누어 공존하던 남북조시대
- 남중국 불교 :귀족불교, 학문불교, 도교교단이 발달된 상황에서 불교가 어울려 나타남
(혜원,지둔)
- 북중국 불교 :불도징이 개척,국가불교, 폐불행위, 선관위주의 실천적이고 정신적인 문제를 추구
6세기 폐불사건은 중국불교의 독자성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도안, 구마라습)
제5장 수당시대의 이론불교
1. 중국 불교의 자주적 모색
§중국화 과정에서의 폐불 이유
1)중화적 세계관
2)천명사상과 전통적 국가관
3)효 윤리에 어긋나는 출가의식
4)육체가 소멸해도 정신이 윤회한다는 영육의 분리론에 대한 반발
§수․당 불교의 탄생 배경
1)정치적 혼란으로 인한 백성들의 불안
2)북조의 무제의 불교 탄압은 중국 불교를 심오하게 만들고 제 종파를 발생케 했다.
-석가의 가르침이 계통을 따라 자신에까지 이어졌다는 관념을 ‘사자상승’이라고 함
3)불경을 통일적으로 해석하려고 함(이론의 문제)
-여러 경전의 차이를 인식하고 전체를 하나의 틀로 통합하려는 ‘교상판석’을 시도함
4)중국 역사 속에서 불교를 실현하려고 함(실천의 문제)
§불교 종파
1)교학적 차원 :천태종, 화엄종
2)실천적 차원 :정토종, 선종
3)인도의 학파가 중국에 이전된 것 :삼론종, 법상종
2. 천태종
§지의(538~597) : 천태종 조사
-<법화경>을 석가의 최종적 가르침으로 보고 중국의 역사적 조건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함
-고고한 마음에도 숙명처럼 깃들어 있는 악의 실태를 솔직하게 고발하는 바로 그 지점에 진리를
구현해 가는 결단의 중요성이 있음을 강조
-열반학파를 수용하여 남중국 불교의 맥을 이음
§오시팔교 -천태의 교판
-<법화경>에 단계적인 깨달음의 이치가 들어있다는 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천태종의 진리관
-중관학파의 공관(세계를 ‘공’으로 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삼제(空, 假, 中)를 ‘지관’으로 통일함
§천태종의 세계관
-선악의 요소가 모든 세계에 공존하고 있다는 ‘선악상즉론’
§천태종의 인간관
-천국과 지옥에 이르는 각 계가 단계적으로 중첩되어 있다는 십계호구설(十界互具設)
3. 화엄종
§화엄종의 형성 -지론학파를 수용하고 남북의 불교를 종합
-두순에 의해 성립되고, 지엄이 이론적 기초를 다지고, 법장이 완성
§화엄의 세계관 -‘중중무진’의 ‘본래적 일승교’를 바탕으로 사법계설을 주장
-화엄은 사람이 개입되지 않고 사물이나 사건이 다른 사물이나 사건과 직접 원만하 게 상호 작용하는 ?사사무애(事事無碍)?의 세계
§화엄종의 시각 -인과원만(因果圓滿) : 원인과 결과를 서로 역전시켜 봄
§화엄종이 천태종보다 더 널리 퍼진 이유
-유학적 성선설을 정통으로 삼으려는 중국의 전통적 사유에 더 근접했기 때문
제6장 수당시대의 실천불교
1. 정토종
§정토사상
-진리를 찾으려는 마음인 보리심과 아미타불을 부르면서 항상 부처를 생각하는 칭명염불과 신심이야말로 해탈을 얻는 참된 길이라는 것
-교학적 치장을 걷어내고 일반인 입장에서 부처와 쉽게 만날 수 있게 하는 실천적인 면이 강함.
-자각적 깨우침을 중시하는 불교의 본질과 모순을 이룸
§삼신관
-부처의 몸이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것
1)법신불(비로자나불) -진리 그 자체의 본래적 모습
2)응신불(석가불) -법신불이 특정한 역사에 응해서 나타난 모습
3)보신불(아미타불) -보살 수행의 결과로 부처가 되어서도 영원히 타인을 구제하는 신
§정토종의 주불
-무량수불(無量壽佛 아미타불) : 영원한 생명을 갖는 부처
1)보신의 의미(보살 수행을 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2)영원한 생명을 가진 부처(인간계와 관계를 가짐)
3)구제력에 대한 신앙의 문제(보살의 타인 구제를 부처의 타인 구제로 승화)
§정토종의 해탈론
-보살의 타인 구제→아미타불의 타인 구제→아미타불의 타인 구제에 대한 믿음
1)보살의 꿈과 실천
2)부처의 보편적 자비와 구제
3)범부의 신앙으로 이행되는 구제
§정토종이 독자성을 유지 못한 이유
-정토종의 가르침이 이와 비슷한 경향을 가진 선종에 융화되어 갔기 때문
2. 선종
1)특정한 경전에 의존하지 않고 자각적 체험의 중요성 강조
2)인도의 정신주의와 중국의 현세주의가 만나서 내린 최종의 결론
3)달마대사(達磨大師) : 중국 선종의 시조
4)혜능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달함 -법보단경(法寶壇經) :혜능의 생각을 기록한 것
§선종의 특징
1)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 문자나 경론에 의지하지 아니 함
2)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 : 스스로 자기 본성을 봄으로써 해탈을 이룸
3)스승과 제자가 직접적 만남을 통해 이심전심의 방법으로 부처의 마음을 이어가는 사자상승의 전
통을 중요시함(응집력의 바탕이기도 했지만 폐쇄적인 종파의식이 강화되어 퇴조의 원인이 됨)
§선종의 형성 배경
1)인도 불교의 전통으로 좌선이 공통적 지반을 형성
2)천태의 지관사상
3)화엄사상과 정토사상(범부의 구제 가능성)이 선을 형성하는데 더 기여함
§선종이 형성되는 사회․정치적 배경은 회창의 페불사건
당대 회창의 폐불사건때 영향을 받지 않은 이유
1)경전이 불탄 교종에 비해 마음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2)산간의 산 지역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3)승려 백장이 청규를 만들어 자립적 운영방식으로 승단을 운영했기 때문에
§인도불교는 선종에 이르러 긴 중국화의 과정을 마무리짓고 중국불교의 완결된 모습을 갖추었다.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르크스주의의 전파와 모택동 사상의 발전 (0) | 2010.08.03 |
---|---|
중국 종교와 사상의 현단계 (0) | 2010.08.03 |
중국의 종교와 사상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0) | 2010.08.03 |
중국의 도가(道家) (0) | 2010.08.03 |
중국의 도교 (0) | 201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