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fe/사오정국어

올 한 해 농사, 다같이 해봅시다

지식창고지기 2009. 7. 12. 11:10

올 한 해 농사, 다같이 해봅시다


(1월) 거름주기 : 충청도 농민 유모씨
비료제조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역시 분회(糞灰)다. 사람의 똥과 아궁이에서 나온 재를 섞어 건조시킨 숙분과 우마의 외양간밖에 웅덩이를 파서 확보한 우마의 분뇨에다 벼껍질 등을 태워 얻은 재를 섞어서 만든 요회(尿灰)가 그것인데, 이 분회는 직접 여러 작물의 종자와 골고루 섞어서 함께 뿌림으로써 적은 비료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1월

농구를 다스리고 농우를 살펴 먹여서 거름 재워놓고 밤이면 새끼 꼰다

(2월) 땅고르기 : 경상도 농민 이모씨
가을갈이는 깊게, 봄갈이는 얕게 하는 것은 상식이다. 특히 가을갈이는 흙의 표면이 희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그 이유는 아직 흙에 남아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원래 내 장기는 못자리 만드는 것이다. 먼저 물을 빼고 버드나무 가지의 연한 부분을 썰어서 두껍게 편 다음 발로 밟아 흙을 완전히 풀리게 해야 연약하고 어린 벼가 잘 자랄 수 있다.

 

2월

개천을 쳐올리고 살진 밭 갈아엎어 춘묘를 많이 깐다.

 

 

(3월) 볍씨 뿌리기 : 경상도 농민 김모씨
좋은 씨앗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키질을 해서 쭉정이를 버리고 물에 담가 뜨는 것을 버려야 한다. 눈 녹은 물이나 오줌을 담은 나무통에 씨앗을 담갔다가 햇볕에 말리는 과정을 세 번 반복하면 씨앗 자체에 거름을 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봄 가뭄이 심하면 벼를 밭작물처럼 기르는 방법을 시도해보시라. 벼의 묘가 싹트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땅 표면을 긁어주면 잡초제거와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3월

물고를 깊이 치고 도랑 막아 물을 대 모판을 만들어 날마다 살펴본다.

(5월)돌려짓기 : 전라도 농민 정모씨
보리, 밀을 수확한 뒤 곧바로 이 그루터기를 갈아엎고 콩, 팥을 파종하는 맥두의 그루갈이는 돌려짓기 방법 중에서도 특히 권장할 만하다. 또 기장, 콩, 조, 메밀을 수확하기 전에 풀을 베어두었다가 수확이 끝나면 풀을 밭에다 두껍게 깔고 불을 지른 다음, 곧바로 보리, 밀을 파종하고 재가 흩어지기 전에 갈아엎는 방법도 있다.

 

4월

면화를 많이 심고 수수, 녹두, 참깨도 심으며 거름할 풀도 벤다.

 

 

5월

문앞에 터를 닦고 낫도 손을 본다. 보리추수 하고 나면 집안이 풍성하다.

 

(6월)사이짓기 : 경상도 농민 안모씨
한 치의 땅도 아쉬운 사람은 곡식이 자라고 있는 사이사이에 다른 곡식을 심는 사이짓기를 시도해볼 만하다. 보리 사이에 콩, 조를 심거나 콩, 메밀 사이에 보리를 심으면 밭의 묘 사이사이 땅까지 놀리지 않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뭄이나 물난리가 나더라도 혹시 한 가지 곡식이나마 건질 수가 있다.

6월

봄보리, 밀 키우며 콩, 팥과 조, 기장도 재배한다.

(7월) 김매기 : 전라도 농민 신모씨
모가 반 자쯤 자라면 3 ~ 4차례 김을 매되 모 사이의 흙 표면을 주물러서 연하게 하는 것이 좋다. 기장이나 조의 경우, 호미로 잡초를 제거하고 줄기 밑둥 둘레에 흙을 조금 쌓아주는 것, 즉 북을 주는 것이 좋다. 내가 생각하기에 호미야말로 김매기를 위해 태어난 도구라고 할 만큼 그 성능이 만족스럽다.

 

7월

김매기에 열중하고 거름 풀 많이 베어 더미지어 모아놓는다.

 

 

8월

백곡의 이삭 팬다. 안팎 마당 닦아놓고 면화도 한아름 딴다.

 

 

9월

추수가 시급하다, 벼 타작 끝난 후엔 틈을 내 콩밭도 돌본다.

 

 

10월

무 배추 캐어서 김장을 준비한다. 알밤도 얼지 않게 간수하자.

 

 

11월

얼마는 씨앗으로 빼어놓고 땅값과 품값도 갚아야 한다.

 

 

12월

떡쌀은 몇 말이요 술쌀은 몇 말인가 건강에 유의하라.

 

- 역사신문 제3권 4호에서 인용

'Blog·Cafe > 사오정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사 - 누항사(陋巷詞)  (0) 2009.07.12
우리 농민 어떻게 살고 있나?  (0) 2009.07.12
농가월령가 - 십이월령  (0) 2009.07.12
농가월령가 - 십일월령  (0) 2009.07.12
농가월령가 - 시월령  (0) 2009.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