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안시대의 유물(고문서)
|
구노지경 久能寺經 |
헤이안시대 12세기, 도쿄국립박물관. 25.8 × 454.5cm. 이 경전은 구노지久能寺에 전래되어 『구노지경』이라 이름 붙여졌다. 각 권마다 결연자의 의향에 따라 장식을 달리 하지만, 비지를 여러색으로 물들여 금, 은의 기리하쿠와 스나고를 뿌려 그위에 밑그림을 그리는 등, 화려하게 장식하여 왕조 귀족의 미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 |
|
법화경法華經 1, 2권 |
헤이안시대 12세기, 나라국립박물관. 25.3 × 1126.1cm, 25.3 × 968.8cm. 비지의 용지에 은니로 경계선을 긋고 본문의 위아래 여백에는 금,은 니와 녹청을 사용하여 나비,새,악기,소나무가지,화초 등을 그렸다. 일종의 장식경으로 경문에는 일본의 가나로 토를 달거나 오쿠리가나를 자세히 달았다. | |
|
엔기법령집延喜式 |
헤이안시대11세기, 도쿄국립박물관, 29.4 × 947.2cm. 엔기법령집은 고닌법령집, 조간법령집을 이어받아 엔기 5년(905)부터 20년이상 걸쳐 완성한 율령법의 시행세칙을 집대성한 법전이다. 다이고천황의 명으로 후지와라 도키히라를 중심으로 편찬하였으며, 전 50권이다. | |
|
일본서기日本書紀(일부) |
헤이안시대 9~10세기, 교토국립박물관. 28.0 × 1093.0cm, 27.6 × 786.1cm. 『일본서기』는 나라시대 초기에 도네리친(676~735) 오노 야스마로 등이 중국의 사서를 본받아 기술한 정사正史로 요로4년 (720)에 완성하였다. 한문과 편년체로 기술 하였으며, 개벽에서 제43대 지토천황11년 (697)까지의 역사를 기사체로 서술하였다. | |
|
만요집 万葉集 |
헤이안시대12세기, 도쿄국립박물관. 25.0 × 17.0cm. 『만요집』에는 고대의 가요를 비롯하여 율령국가의 건설을 추진한 천황과 귀족들의 노래가 많이 실려있고, 아즈마우타나 사키모리노우타와 같은 민중의 노래도 폭넓게 수록했기 때문에 7~8세기 일본사회를 알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
|
고금와카집 古今和歌集 |
헤이안시대11세기, 도쿄국립박물관, 22.6×15.8cm. 『고금와카집』은 기노 쓰라유키 등이 편찬한 최초의 칙선勅選와카집으로 귀족의 섬세한 감정 이나 기교를 탁월하게 표현하여 이후 와카의 본보기가 되었으며, 현재까지 일본을 대표하는 시집으로 사랑받고 있다. | |
|
화한낭영집 和漢朗詠集 하권下卷 |
헤이안시대12세기,도쿄국립박물관. 26.0 × 1103.0cm. 『화한낭영집』은 후지와라 긴토의 선집選集으로 귀족들 사이에 읊어진 한시문의 좋은 구절과 와카 의 사가선집을 나열하였고, 한자와 가나를 번갈아 사용하였다. | |
|
관평어시후궁우타아와세 寬平御時后宮歌合 |
헤이안시대11세기, 도쿄국립박물관. 28.8×1252.1cm. 우타아와세歌合 란 가인들을 좌우양편으로 나누고 와카를 읊어 우열을 겨루게 하는 놀이이다. 9세기 경에 발생하여 헤이안시대 중기부터 가마쿠라 초에 걸쳐 성행하였으며, 헤이안시대 말기에 이들의 노래를 책으로 만든 12권본,10권본의 우타아와세가 전해진다. | |
|
이즈미시키부 속집 |
헤이안시대12세기, 문화청, 15.6 × 14.5cm. 헤이안시대 중기의 일본의 여류가인으로 유명한 이즈미 시키부의 가집歌集이다.
| |
|
아키하기첩 |
헤이안시대 10~11세기, 도쿄국립박물관 23.8 × 842.4cm.
| |
|
덴교대사 편지 |
헤이안시대9세기, 나라국립박물관, 29.3× 55.2cm. 사이초(767~822)가 다카오산사高雄山寺의 구카이 밑에서 수행하던 애제자 다이한泰範에게 보낸 편지 이다. 이 편지는 현존 유일의 사이초 자필이며, “규카쿠세이온”이라는 문장으로 시작하기에 “규카쿠첩”으로 불린다. |
'역사의 숨결 > 역사(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사경의 시작 (0) | 2009.07.27 |
---|---|
헤이안 시대의 모나가타리(物語)에서 일본의 속살을 읽어낼 수 있다 (0) | 2009.07.25 |
헤이안平安 - 헤이안시대 유물(조각) (0) | 2009.07.25 |
헤이안平安 - 헤이안시대 유물(공예) (0) | 2009.07.25 |
헤이안平安 ( 794~1185 ) - 헤이안 시대 平安時代 (0) | 2009.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