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fe/사오정국어

고대소설 - 유충렬전(劉忠烈傳)

지식창고지기 2009. 7. 31. 10:28

유충렬전(劉忠烈傳)


/ 군담소설이란? /

미상

이 작품은 주몽 신화의 전통을 잇는 영웅의 일생이라는 유형적 구조를 잘 갖춘 소설로, 일상적 현실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간과 공간을 배경으로 삼아, 주인공이 일시적인 고난을 극복하고 가문과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다는 전형적인 배경과 구조를 보여 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영웅 소설이다. 이 작품은 또한 거듭되는 위기의 설정과 군담을 통해 병자호란의 경험 등 외적에 대한  복수 의식과 당쟁에서 패배한 실세 집안의 지위 회복 의식 등 현실 반영의 측면도 드러내 준다.

<유충렬전> 줄거리
명나라 영종 황제 때 유심이란 명관이 있었는데, 나이가 늦도록 자녀가 없이 부인 장씨와 남악 형산에 들어가서 칠일 기도를 드린다. 그 달부터 태기가 있어 십삭 만에 충렬을 낳았다. 충렬이 7세가 되던 해에 유공은 간신 정한담을 규탄하다가 귀향 가고, 충렬은 간신의 박해를 피해 달아나다가 물 속에 빠져 죽게 되었으나 상선의 도움으로 구출된다. 이어 강승상의 집에서 화를 피하고 강승상의 딸 강소저와 혼인을 한다. 강승상도 정한담을 규탄하다가 귀양가게 되니, 충렬은 강 소저와 이별하고 승상의 집을 떠나 화를 피하다 광덕산 백룡사에 몸을 숨기게 되고, 여기서 도승을 만나 무술과 병법을 익히고 갑옷과 보검, 용마를 얻는다. 이즈음 간신 정한담이 천자가 되기를 도모하고 있다가 이적이 침입해 오자 이들과 합세하여 난을 일으켜 나라가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한다. 이에 충렬이 세상에 나아가 정한담을 죽이고 외적으로 물리쳐 나라를 구하고 잡혀 간 황실 가족을 구하고, 강승상도 구출한다. 그리고 부모와 강소저와 다시 만나 함께 부귀공명을 누린다.

● <유충렬전> 내용 정리
* 작가 : 미상
* 갈래 : 국문소설, 영웅 소설, 군담소설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주제 :
집안과 국가를 위기에서 구한 유충렬의 영웅적 행적
* 공간 배경 : 중국, 시대 배경 : 난세(亂世) (병자호란의 수치심과 그 극복 정신이 배경)
* 성격 : 영웅의 일대기, 비현실적, 우연적
* 문학사적 위치 : 영웅의 일생이라는 유형적 구조를 가장 충실하게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
                          주몽 신화에서 보이는 영웅의 일생의 전통을 신소설 <혈의 누>에까지 연결시켜 주는 구실을 함
* 작품에 반영된 시대상
  ① 병자호란의 주전(主戰)과 주화(主和)의 대립 양상
  ② 강화도 함락의 실상
  ③ 외적에 대한 복수 의식

● <유충렬전>에 나타난 '영웅의 일생'
  ① 유충렬은 부귀를 누리는 유심의 아들이다.
  ② 유심 부부가 늦도록 자식이 없어 근심하다가 산신에게 빌어서 얻은 외아들이다.
  ③ 유충렬은 천상 선관(仙官)의 하강이며 비범한 기상을 가지고 태어났다.
  ④ 아버지는 간신 정한담을 규탄하다가 귀양갔고, 간신의 박해를 피해 도망치다가 어머니를 잃고 도적에게 잡혀 죽게 되었다.
  ⑤ 물에 빠졌으나 바위에 올라 살아나고 남경 장사들이 구출했다. 강 승상의 집에서 화를 피하고 강 소저와 결혼한다. 산으로 몸을 피해 들어가 도승을 만나 무술을 익히고 무기도 얻는다.
  ⑥ 정한담이 외적과 함께 난을 일으켜 나라가 위기에 처한다.
  ⑦ 정한담을 죽이고 외적을 물리쳐 나라를 위기에서 구출했다. 부모와 강 승상, 강소저를 다시 만났으며 고귀한 지위에 올라 부귀를 누렸다.

● <유충렬전> 등장인물
  * 유충렬 : 천상에서 적강한 신적 능력의 소유자로, 정의를 위하여 악과 싸우는 전형적이고 유형적인 영웅. 천상에서도 선을 대표하는 인물로, 이름은 자미성이며 백옥루 잔치 때에 익성과 대결하다가 죄를 지어 지상으로 내려와서 유심의 아들이 된다.
  *
유심 : 개국공신의 후예로 정직하고 충성스런 인물의 표상이다. 정적이며, 유형적인 인물
  *
강희주 : 유심과 마찬가지로 충직한 성격의 소유자로 선인군의 전형적인 인물
  *
정한담 : 천상에서 적강한 신적 능력의 소유자로 악을 대표하는 간신. 적과 내통하여 천자에게 반기를 들었다가 유충렬에게 퇴치된다. 천상에서의 이름은 익성이다.
  *
최일귀 : 정한담과 함께 천자에게 반기를 들었다가 퇴치되는 인물로 악을 대표하는 유형적 인물. 백옥루 잔치 때 익성과 함께 자미성과 대결하다가 적강한 인물. 천상에서의 이름은 이걸이다.

● <유충렬전> 이해하기
 <조웅전>과 함께 조선 후기
영웅 소설과 군담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주인공 충렬의 고난과 시련, 전란 속에서의 충성과 그에 따른 부귀 영화를 통해 실세한 양반 계층의 권력 회복의 꿈을 표현한 작품이다. 주인공의 신이한 출생, 성장과정에서의 시련과 그 극복, 영웅적 투쟁과 화려한 승리로 이루어진 작품 전개는, 이 작품을 영웅의 일생이라는 유형적 구조를 가장 충실히 지닌 작품으로 평가받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일찍이
<동명왕 신화>에서 볼 수 있었던 것으로 <홍길동전>을 비롯한 조선 시대의 많은 소설들은 물론 신소설에까지 이어져 <혈의 누>에서 미약하게 재생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주인공의 신분 하락과 공명을 세움으로써 신분 상승과정을 이루어 인간의 삶에 있어서의 영고성쇠를 보여주고 있다.
천상계와 지상계라는 이원적인 공간 설정과 주인공이 천상계에서 내쫓김을 당해 지상계로 내려왔다고 설정함으로써 작가가 지닌
이원적 세계관과 적강소설(謫降小說)의 모티프를 함께 보여준다.
또한 이 작품은 충신과 간신의 대립을 설정하고 충신이 마침내 승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당시의 사회상과 조선조 중세 질서 속에서의 충신상을 표현하기도 했다. 거기에다가 무능한 왕권에 대한 규탄과 역경에 처한 왕가의 나약함이 함께 나타나고 있어 정치 현실 속에서 실세한 계층이 자신의 권좌를 다시 만회해 보려는 작가의 욕망을 나타내기도 한다.  
작품에서 호국을 두 번이나 정벌하고 호왕을 살육한다는 점 등은 병자호란 이후 호국
청나라에 대한 강한 민족적 적개심의 반영으로 보인된다. 화려하고 다채로운 군담과 이원적 세계관, 적강의 모티프, 완벽한 영웅의 일대기 구조 등을 지닌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영웅소설이다.  

● <유충렬전>은 당시 현실을 얼마나 반영했나?
   유충렬전은 거듭되는 위기와 그 극복 과정이 흥미진진하게 전개되어 많은 인기를 얻은 대표적인 군담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의 성공 배경에는 병자호란의 경험이 바탕되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가달의 정벌을 둘러싼 유심과 정한담의 대결은 주전파와 주화파의 대립이며, 호국에 의해 황제의 가족들이 포로가 된 것은 강화도의 함락으로 왕실의 인물들이 포로가 된 것을 뜻한다. 또, 유충렬이 단신으로 호국을 정벌하고, 통쾌한 설욕을 한 것은 병자호란 때 당한 고통과 패배 의식을 소설을 통해 복수하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임경업전>이나 <박씨전>과 그 맥을 같이한다. 그런가 하면 정한담과 당쟁에서 패배한 유심의 집안이 유충렬에 와서 옛날의 지위를 회복하는 것은 조선 후기의 당쟁에서 패배하여 몰락한 사람들의 소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곧 유심의 그룹을 충신으로 설정하고 정한담의 그룹을 역적으로 설정한 작자 의식은 바로 당쟁에서 패배한 권세를 잃은 층의 의식을 대변한 것이다.
   유충렬전은
전형적인 영웅 소설이다. 영웅의 출생에서부터 영웅적 활동에 이르기까지 어느 것 하나 영웅소설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또한 대부분의 영웅 소설이 그러하듯이 현실적인 인간이 아니라 비현실적인 인간을 주인공으로 설정했으며, <삼국지 연의>, <수호전>, <서유기> 등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도술적 표현까지도 엿볼 수 있다. <유충렬전>의 구조는 선과 악, 충신과 간신의 대립이다. 충신은 부자 이대에 걸쳐 나타나지만, 간신은 하나의 세력으로 일관되게 나타난다. 그런데, 주인공의 적대자는 주인공 개인의 적대자가 아니고 국가의 적대자로까지 확대됨으로써 주인공이 영웅이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주인공은 영웅이기 때문에 그의 고난은 곧 국가의 고난으로 이어지며, 그의 승리는 국가의 승리로 귀결된다.
    영웅 소설 중 상당수는 천상계와 지상계라는 이원적 공간을 설정하고 주인공이 어떤 잘못으로 인해 천상계로부터 지상계로 내쫓김을 당한다는 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적강소설이라 지칭하는데 <유충렬전>은 화려하고 다채로운 군담과 이원적 세계 구조 및 적강의 모티프를 모두 가지고 있어 대표적 영웅소설이라 하겠다.

 ● <유충렬전> 본문 읽기

이때의 조졍의 한 신하 이스되 셩은 유요 명은 심이니 젼일 션조 황제 개국 공신 유기의 십삼대 손이요 젼 병부 상셔 유현의 손자라 셰대 명가 후예로 공후작녹이  떠나지 안이하더니 유심의 벼살리 졍은 주부의 잇난지라.      -- 고귀한 혈통  

위인이 졍직하고, 셩졍이 민쳡하며 일심이 충셩하야 국녹이 중중하니 가산이 요부하고 작법이 화평하니 셰상 공명은 일대의 졔일이요 인간 부귀나 만민이 충송하되 다만 실하의 일졈 혈육이 업시매 일노 한탄하야 일년 일도의 션영 졔사 당하면 홀노 안져 우난 말리,"실푸다 내의 몸이 무삼 죄 잇셔 국녹을 먹거니와 자식이 업셔스니 셰상의 좃타한들 조흔 줄 엇지 알며 부귀가 영화로되 영화된 줄 엇지 알이 나 죽어 청산의 무친 백골 뉘라셔 거두오며 先瑩 香火(선형향화)를 뉘라셔 주장하리." 해음업난 눈물리 옷짓슬 젹시난지라(중략)         -- 유심의 인물됨과 자식 없는 슬픔

"상공의 무후하문 소쳡의 박복하미라 쳡의 죄를 논지켠대 발셔발일 거스로되 상공의 음덕으로 지금까지 부지하오니 붓그러운 말삼을 엇지 다 하오릿가 듯사오니  쳔하의 졀승한 산이 남악 형산이라 하오니 수고를 생각지 말고 산신게 발원하야 졍셩이나 들러 보사니다." 주부 일 말을 듯고 대왈, "하날리 졈지하사 팔자의 업셔스니 비러 자식을 나을진디 셰상의 무자한 사람이 잇스리요." 장부인이 엿자오대 "대쳬를 생각하면 그 말삼도 당연하되 만고 성현 공부자도 이구산의 비러 낫코 졍나라 졍자산도 우셩산의 비러스니 우리도 비러 보사니다."        -- 유심의 부인 장씨의 기자 정성 제의

"유셰차 갑자년 갑자월 갑자일의 대명국 동성문내의 거하난 유심은 형산 신령졍의 비난니다 오호라 대명 태조 창국 공신 자손이라  션대의 공덕으로 부귀를 겸전하고 일신이 무랑하나 년광이 반이 넘도록 일점 혈룩이 업셔스니 사후 백골인들 뉘라셔 엄토하며 션영 행화를 뉘라셔 봉사하리요 인간의 죄인이요 지하의 악귀로다 이러한 일을 생각하니 원한이 만심이라 이러한고로 더러온 졍셩을 신령 젼의 발원하오니 황천은 감동하와 자식 하나 졈지하옵소셔."        -- 기자 정성

빌기를 다하매 지셩이면 감천이라 황쳔인들 무심할가 당산의 오색 구름이 사면의 옹의하고 산중의 백발 신령이 일졀이 하강하여 정결케 지은 졔물 모도다 흠향 한다 길조가 여차 하니 귀자가 업슬손야.   -- 기자 정성의 효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