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사/잡다한 것

저당상수 감채기금계수

지식창고지기 2009. 10. 13. 19:40

한계지(限界地)

특정한 시점과 지점을 기준으로 한 택지이용의 최원방권상 토지를 말하며, 행정구역상 타지역과 인접한 지역 내의 토지이다.

한정치산자(限定治産者)

미성년자ㆍ금치산자와 함께 [민법]이 규정하는 무능력자 중의 하나로, 심신(心神)이 박약하거나 재산의 낭비로 자기나 가족의 생활을 궁박하게 할 염려가 있어서 가정법원으로부터 한정치산선고를 받은 자를 말한다([민법 제9조]).

본인ㆍ배우자4촌 이내의 친족ㆍ후견인ㆍ검사 등의 청구에 의하여 선고되며, 후견인이 붙여지고, 중요한 재산에 관한 거래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한정치산자의 행위능력은 미성년자와 동일하여 법률행위를 하려면 법정대리인(후견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동의 없이 한 행위는 취소할 수 있다([민법 제10조]).

 

금치산자와 마찬가지로 판단능력이 회복되었다고 하여 바로 결격사유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고, [민법 제11조]에 따라 한정치산의 원인이 소멸할 때, 본인ㆍ배우자ㆍ4촌 이내의 친족ㆍ후견인ㆍ검사 등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으로부터 취소의 선고를 받아야 비로소 결격사유에서 벗어나게 된다.

현재가치(現在價値, present value, PV)

개인 등이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은 한 마디로 향후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익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이러한 투자가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수익은 현재 존재하는 수익이 아니라 미래에 존재하는 수익이라는 점이다. 미래 수익은 그 가치가 확정적인 것이 아니라 변할 수 있다. 우리가 지금 손에 쥐고 있는 돈의 가치는 그 자체로써 결정되지만, 1년 후 또는 10년 후의 돈의 가치는 전혀 확정적이지 않다. 미래소득이 오늘 얼마의 가치를 갖느냐를 현재가치(present value, PV)라고 부른다.


화폐의 시간가치 (부동산투자분석을 위한 수학적 기초)

1. 미래가치의 계산방법: (r: 이자율, n: 기간)
(1) 일시불의 내가계수[일시불의 미래가치]

① 개념 : 일정한 금액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후에 원금과 이자의 합계를 구하는 경우.

일시불의 내가계수 = (1+r)n  (1원을 이자율 r로 저금했을 때 n년후에 찾게 되는 금액)

 

(2) 연금의 내가계수[연금의 미래가치]

① 개념 : 매기간마다 일정한 금액을 불입했을 때 최종 기간 말의 미래가치를 구하는 경우.

② 연금의 내가계수 = (1+r)n -1 /r (매년 1원씩의 연금을 이자율 r로 계속해서 적립했을 때, n년후에 달성하게 되는 금액

(3) 감채기금계수

① 개념 : 정기적금의 개념. 일정한 누적액을 최종 기간 말에 만들기 위해 매 기간의 적립액을 구하는 경우이다. 감채기금계수는 연금의 내가계수의 역수이다.
② 감채기금계수 = r/(1+r)
n
-1

2. 현재가치의 계산방법: (r: 이자율, n: 기간)
(1) 일시물의 현가계수[일시불의 현재가치]

① 개념 :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의 일시불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현재의 액수를 구하는 경우임.

② 일시물의 현가계수 = 1/(1+r)n = (1+r)-n :  n년후 1원을 현재가치로 환원한 값

(2) 연금의 현가계수[연금의 현재가치]

① 개념 : 이자율이 r이고 기간이 n일때, 매년 1원씩 n년동안 받게될 연금을 일시불로 환원한 액수임.
② 연금의 현가계수 =[ (1+r)
n -1] ÷ [ r/(1+r)n ] = 1-(1+r)-n  / r


(3) 저당상수

① 개념 : 일정액을 빌렸을 때 매기간마다 갚아나가야 할 지불액(원금+이자)을 구하는 경우이며, 대출금의 상환액이 그 경우이다.
② 저당상수는 연금의 현가계수의 역수이다.

저당상수 = [ r/(1+r)n ] ÷ [(1+r)n -1] = r /[ 1-(1+r)-n ]

후보지(候補地)

가망지 또는 예정지라고도 하며, 대상토지가 현재의 용도에서 어떤 지위나 이용도가 전환될 토지이다. 토지의 효용성을 높이기 용도전환이 될 때 쓰는 용어이다.

 

대상부동산의 종별에 따라서 구분되는 용도지역의 주거지역상업지역공업지역녹지지역 등의 상호간에 어느 종별의 지역에서 다른 차원의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역을 부동산학에는 후보지역이라고 하며, 그 후보지역의 대상지를 후보지라고 한다.


힌터랜드(Hinterland)

고객이 존재하는 지역으로서 일반적으로 배후지라고 하며, 상업지의 경우 상권 또는 시장지역이라고 한다. 배후지는 고객의 사회적ㆍ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양호하며, 배후지의 범위는 가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