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드족 현재의 상황과 총체적 동화의 전개
터키 당국이 쿠르드족에게 가지는 기본 정책은 '쿠르드 정체성의 부정과 터키화' 이다. 터키 공화국이 '케말리즘'을 새로운 국가이념으로 정하고 서구식 근대화를 추진해 나가면서, 쿠르드어 뿐만 아니라 종교적 의례와 전통적인 복식에 대한 제한도 병행하였다. '터키=쿠르드 동일체 원칙'은 일제시대 '내선일체'와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박해와 차별의 강화를 통한 쿠르드인의 터키화는 공화국 초기부터 전 분야에 걸쳐 체계적이고 총체적으로 전개되었다.
언어 동화
언어는 한 민족의 존재를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문화동화정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다. 공화국 초기 터키어를 사용하는 쿠르드인이 불과 3~4%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언어말살 정책은 쿠르드 정체성을 와해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쿠르드 지역에 대한 터키화의 초보적인 단계는 초중고의 설립을 통한 터키어 및 터키화 교육이었다. 1928년에 일어난 문자혁명으로 터키의 전반적인 문맹률 감소에 기여했으나 터키인만을 위한 교육편중으로 쿠르드인의 교육여건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강제 이주와 인구 분산
1932년에는 쿠르드 이주법이 제정되어 전체인구의 5% 한도 내에서 쿠르드인의 터키 정착지역 강제이주가 시작되었다. 1930년대에 실시된 이 계획은 지금까지도 부분적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접경도로의 건설레 쿠르드 노동력이 강제 동원되고 그들이 닦아놓은 도로에 의해 이라크와 이란과의 접경지대는 더욱 효과적으로 통제될 수 있었다.
출판과 학문의 관제화
쿠르드어 저술과출판, 방송도 철저히 봉쇄되고, 외국에서의 쿠르들어 출판제작된 잡지나 신문, 테이프 등의 국내 반입이 금지되었다. 전통적인 노래와 민속, 설화나 영웅담은 터키화되었고, 쿠르드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편이녀 1970년 까지 '터키=쿠륻' 통합이론에 저촉되는 저술의 출판은 금지되었다.
종파적 이질감
터키 쿠르드족은 종파적으로 이슬람교의 정통파인 순니파에 속하고, 그 중에서도 샤피계통이 주를 이룬다. 종파를 중시하지 않는 이슬람의 보편성과 국제적인 성격상 종파적인 대립으로 인한 갈등과 충돌은 미미한 편이다. 다만 이슬람 신비주의를 따르는 수피파와 4대 칼리프 알리를 추종하는 쉬아파 계통의 알레비파의 경우에는 자신들의 신앙과 관습에 대한 우우 성 및 집착 때문에 종종 터키인들과 심각한 마찰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슬람 내에서의 종파적 다양성과 미세한 신앙관습의 차이를 극복하고 이슬람이라는 용광로 속에서 미족적 이질감을 녹여 '터키=쿠르드 통합' 을 꾀하고자 하는 논의가 터키 이슬람주의자들의 주된 목표이다.
경제적 불균형
터키에서도 쿠르드 지역은 가장 낙후된 곳이다. 병원과 교육기관 같은 시설도 턱없이 부족하고, 실업률은 국가전체 평균을 웃돌고 있다. 쿠르드인들의 터키어 문맹륭은 80%에 달하고 있으며 마을의 대부분이 전기, 상수도, 도로의 혜택으로부터 고립되어 있다. 사회간접시설과 복지시설이 터키인 지역과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지역갈등과, 1차 산물을 헐값에 팔아 비싼 공산품을 구입해야 하는 경제구조의 극심한 왜곡이 쿠르드인들을 절망에 빠뜨리는 주된 요인이다.
정치·군사적 박해
쿠르드인들은 터키 공화국 헌법에 의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노조나 단체, 정당을 결성할 수 없다. 또한 형법 141조와 142조에 의거하여 터키의 법질서를 파괴하거나 정치적 안정을 위협하는 자에게는 5년에서 15년에 달하는 중형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쿠르드 무장세력과 지하 조직 들은 이 법에 의해 가혹한 처벌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와해된 동족질서
절대다수의 많은 쿠르드인들이 터키인으로 터키사회의 완전한 일원으로 자기 정체성을 상실해가고 있다. 또한 쿠르디스탄의 자치와 독립을 위한 방법론과 노선의 차이는 현저하여 쿠르드 정치 조직간의 갈등과 반목은 심각한 상황에 있다. PKK, KDP, PUK 등의 서로간의 갈등과 주도권 장악문제 역시 많은 위험을 안고 있다.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 쿠르드족의 저항운동과 대 쿠르드 정책 (0) | 2010.03.10 |
---|---|
이라크 쿠르드족의 저항운동과 대 쿠르드 정책 (0) | 2010.03.10 |
쿠르드족 독립운동 원인과 결과 (0) | 2010.03.10 |
쿠르드족 [Kurd] 은 어떤 민족인가 (0) | 2010.03.10 |
중국에서 병원 가는 방법 (0) | 201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