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의 성립과 굴절
제1장 북송시대 주자학의 태동
1.북송중기의 유학부흥운동
§유학 부흥운동의 방면
-유학의 전통의 반성과 불교․도교에 대한 비판
§유학 부흥을 위한 유학 전통에 대한 비판
1)문학방면
①고문운동(당나라 한유에의해 전개된 것을 북송학자들이 이어 받으며 구양수에 이르러 절정)
②문장에 유가의 도를 담아야 한다고 주장
③고문운동가들의 문장관은 주돈이의 ‘문이재도’라는 말 속에 잘 나타남
2)사학방면
①역사가의 역할은 역사적 사건에 대해 시비를 평가하는 기능이라고 주장
②<사기>의 기전체 서술을 반대하고 <춘추>의 편년체 서술을 높임
3)경학방면
①경의(경전 전체의 뜻)와 성인의 생각을 헤아려야 한다며 해석의 폭을 넓혀감
②경전 주석의 틀을 벗어나 유학의 도를 깨닫는 것을 중요시함
③경전 암송이나 시부 짓는 일을 비판하고 경의의 천명을 과거의 내용으로 삼음
§도통론
1)유학 부흥운동의 초점은 경전의 뜻과 성인의 도를 드러내고 밝히는 것
2)성인의 도와 그 계통을 문제삼는 도통론이 제기됨
3)도통론은 정통론과 이단론으로 연결됨
*불교나 도교에 대해서는 도통론의 입장에서서 반이단 투쟁을 전개한다.
§주자학의 등장 배경
1)적극적 문치시행, 중앙집권 강화, 과거제 도입
2)전국적 유생층의 형성(유학부활운동의 물적 토대)
3)도교와 불교 배척
§주자학의 성격
-성리학을 겉은 유학 속은 불교라는 뜻으로 외유내불(外儒內佛), 양유음불(陽儒陰佛)이라 함.
2. 북송 시대 주자학의 선구자
§북송오자(北宋五子)/주자학의 선구자
1)주돈이(周敦頤, 호 濂溪, 1017~1072)
2)소옹(邵雍, 호 康節, 1011~1077)
3)장재(張載, 호 橫渠, 1020~1078) - 기철학의 대가
4)정호(程顥, 호 明道, 1032~1085) - 정이와 형제로 두 사람을 이정이라고 부르기도 함
5)정이(程頤, 호 伊川, 1033~1107) - 주자학을 정이와 주돈이를 합쳐 정주학이라고도 함
§주돈이
1)북송 성리학의 선구자(맹자 이후 끊어진 도를 이은 인물로 추앙을 받음)
2)주돈이의 태극도설
-무극과 태극으로부터 음양,오행을 거쳐 만물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림으로 그리고 해설
(우주발생론이다. 태극도설의 사상은 주역 계사전에 있는 사상이 바탕에 깔려 있음)
-도가의 영향으로 태극 앞에 무를 설정하고 태극도에서 무극을 그려 넣음
(주희는 태극이 무극이고 무극이 태극이라고 설명하면서 태극에다가 형이상학적 성격을 부여함)
3)통서
-성(誠)의 철학
-<역전>, <중용>, <맹자>를 서로 소통시킴(경전끼리는 서로 통한다고 생각)
-<중용>의 ‘誠者天之道也 誠之者人之道也’에서 성의 철학을 끄집어 냄 :하늘과 사람을 연결시킴
(정성스러운 것은 하늘의 도요 그것을 본받는 것은 사람의 도다)
-천일합일론적 사고(도덕이 우주만물로 확대됨)
-천일합일론적 경지로 가기 위한 방법으로 무욕과 주정, 명통공부(明通公溥)의 마음가짐을 주장
§장재
1)저서 <서명>에서 物我同胞 物我一體(만인은 모두 나의 동포요, 만물은 모두 나의 짝)를 주장
2)안심입명의 세계관(살아서는 성심으로 일할 것이요 죽어서는 편안히 쉬리라)
3)<주역>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일원론의 사상체계를 완성함
-우주란 太虛之氣로부터 발현되는 생명과 움직임으로 가득 차 있으며 사물은 기의 움직임에 따라
만물이 타나났다 사라지는 것에 불과하다는 동적 세계관을 제기
4)천지지성, 기질지성론, 심통성정론(기를 태허지기와 객형지기로 나눔)
§정이
1)리본체론을 주장
① ‘一陰一陽之謂道’ : 한 번 음이 되고 한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고 이른다(주역, 계사전)
② ‘所以一陰一陽者道也’ :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게 하는 것이 도이다.(정이)
③理를 무형의 형이상자인 道라고 보았고, 氣는 유형의 형이하자인 음양이라고 봄
④리를 태허지리와 분수지리로 나눔
-태허지리 :만물의 이치의 근원이 되는 본질적인 리
-분수지리 :개별 사물의 본질을 구성하는 리
2)심성론
-천명지성과 기질지성으로 나눔
-性卽理 :선한 인간의 본성은 태극지리처럼 모든 인간의 본질을 이루고 있다는 것(맹자의 성선)
3)공부론
-경공부(마음에 대한 공부)와 치지공부(사물에 대한 공부)
-무형의 리를 인식하는 것이 格物이며 이를 통해 ‘앎을 이루는 공부(致知)’가 달성된다고 말함
-先知後行論을 제기함
4)인식론
-무형의 궁극적인 리에 대한 앎은 德性之知 -구체적인 사물을 이루는 유형의 기에 대한 앎은 見聞之知
제2장 주자학의 성립과 전개
1. 주자학의 성립
§주자학자들
-중화사상주의적 생각을 가짐 -왕도정치의 입장을 가짐
§주희(朱熹, 1130~1200)
-북송 성리학의 집대성자(북송 성리학자들의 성리설을 정리하고 해석함-『근사록』)
-사서집주 : 사서에 대한 주석을 모으고 자신의 사상을 바탕으로 해석한 책(주자학의 저술중 핵심적 저술)
-저서 : 하남정씨유서, 하남정씨외서 - 이정 형제의 어록
이락연원록 - 이정에서 자기에게로 이르기까지의 학문 연원
태극도설해, 통서해, 정몽해, 서명해 - 주돈이와 장재의 사상을 자기 사상체계로 해석
사서집주, 사서혹문 - 사서에대한 북송성리학자들의 주석을 모아 자신의 완성된 사상체계로 해석
시집전, 서집전, 주역본의 - 유교경전에대한 것
자치통감강목 - 역사 방면
역학계몽, 주자가례등
*사서(四書) : 논어, 맹자, 대학, 중용
3)주희의 <偶性> :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味覺池塘春草夢, 階前梧葉已秋聲
§성리학설(주자학의 내용) -천인합일(天人合一) : 배움을 통하여 사람이 하늘과 하나가 됨
-천 : 리기론(理氣論) -인 : 심성론(心性論) -합일 : 공부론(工夫論)
§리기론(리일원론의 성격을 띰)
1)정이의 리본체론과 계승한 것으로 장재의 기본체론을 종속시킴
2)만물은 리(理)와 기(氣)가 결합된 것이다.(理氣不相離, 理氣不相雜)
-기(氣) : 만물은 다양성, 차별성을 가지고 변화
-리(理) : 만물은 불변의 모습, 원리와 동일성의 존재
3)리는 선한 것․영원한 것, 기는 선과 악이 혼재하는 세계
4)리는 기를 낳고 기는 생멸함
§심성론
1)맹자의 성선설을 정통으로 보고 정이의 성즉리의 설을 바탕으로 한 이원론적 심성론 전개
2)인간의 선한 부분을 성(사단), 인간의 악한 부분을 정(칠정)으로 봄(인간을 이분적으로 봄)
3)심통성정론과 본연․기질지성론 및 인심도심설을 통해 심성론을 전개함
①심통성정론
-심은 성과 정을 아우른다고 봄
-심에 체용론을 적용하여 성은 심의 체, 정은 심의 용으로 봄
-성을 심의 미발(마음먹기 이전 단계), 정을 심의 이발(마음먹고 행위로 옮겨간 단계)로 설명
②본연․기질지성론
-장재의천지,기질지성론과 정이의 극본궁원,기질지성론을 이어받아 본연․기질지성론 전개
-본연지성은 기질지성의 본래 상태,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이 기질의 영향을 받아 전화된 형태
③인심도심설
-인심 :욕망에 좇아 지각하는 것
-도심 :리에 뿌리를 두고 도덕원칙에 합치하도록 지각하는 것
§공부론
1)존덕성과 도문학에 기반을 둠
-존덕성 :마음에 대한 공부(정이의 경공부)
-도문학 :외부 사물에 대한 공부(정이의 치지공부)
2)지와 행의 길이 있음
지-격물치지格物致知(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 활연관통(긍극적 진리, 절대적 진리에 이름)
행-경을 통한 마음공부
3)앎 공부가 먼저이고, 서로 영향을 미친다.(지선행후)
4)지와 행은 함께 나감-지행호발병진知行互發竝進)
2. 주자학의 전개와 논쟁
§중화 논쟁
-장식과 마음의 존양공부에 대해서 토론
-중화구설 -마음먹고 행위로 옮겨갈 때 공부가 중요하다.(이발지심)
-중화신설 -마음바탕공부가 중요하다.(미발지심)
§왕패 논쟁(利와 義의 문제)
-진량과 도덕과 공리, 왕도와 패도의 문제에 대해 논쟁
-주자학자들은 행위 등을 의에 놓고 있다.(동기주의)
-의에 바탕 했을 때 도덕이고 왕도정치로 이어진다고 생각
-진량은 의와 리가 상호연관된 것으로 도움을 준다고 생각
-극단적인 의리중심, 극단적인 왕도를 비판
§아호논쟁
-아호에서 육구연과 존덕성, 도문학의 공부 문제에 대해 토론
-육구연(陸九淵, 1139~1192)은 도덕적 완성에 이르는데 있어 지를 행에다 종속시킴
(독서공부는 보다 마음공부가 우선)
-주자학에서는 지와 행은 함께 나감
§허형(許衡, 1209~1281) -원대 성리학자, 원대에 주자학은 관학으로 인정받음
제3장 양명학의 등장과 분화
1. 양명학의 성립
§양명학이 나오게 된 배경
1)사상적 배경
-주희가 죽기 직전 주희의 학문은 거짓 학문으로 몰려 금지됨
-원나라에서 과거제를 부활하면서 주자학이 관학으로 자리를 잡음(학문적으로 경색화됨)
-명대에 들어와 만물의 이치를 중시하는 리학에서 마음의 역할을 중시하는 심학으로 학문의
중심이 바뀌기 시작하였다
-진헌장과 담약수는 주자학은 마음과 이치를 둘로 나누어 이원구조로 보았지만 마음과 이치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봄(인간주체를 중시하는 사상적 기반 마련)
2)사회적 배경
-명나라가 쇠퇴하게 되는 원인은 황실과 환관, 훈척들의 토지겸병 심화로 경제적 부담을 안게된
농민들의 봉기가 확산된 데에 있었다.
-주자학이 사회적 위기를 타개하는데 무력했기 때문에 새로운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남쪽 지방의 상품경제가 발달하면서 자본주의적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함
§양명학이란?
-왕수인(王守仁, 1472~7528)의 호인 양명을 따서 붙인 이름(양명학의 선구자는 육구연)
-心卽理는 양명학의 가장 중요한 명제로서 내 마음이 곧 이치라는 뜻
-)양지양능이란 ‘맹자’에 나오는 말로서 배우지 않아도 알고 연습해보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천부적인 능력을
가리킴
(양능 :학습하지 않아도 할 줄 아는 것, 양지 :마음의 본체, 배우지 않아도 알고 있는 것)
-만물일체론, 지행합일을 주장(앎이란 실천의 시작이며 실천이란 앎의 완성)
-치양지론
:치양지란 마음과 이치가 하나로 합일된 경지로 인간 자신이 타고난 도덕적 자각을 완성한 상태
-사상마련 : 체인(體認)의 과정은 구체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2. 양명학의 분화
§오카다 다케히코의 주장
구분 |
현성파(좌파, 태주학파) |
귀적파(우파) |
수중파(정통파) |
대표학자 |
왕간, 왕기, 이탁오 |
섭표, 나홍선 |
추수익, 구양덕 |
학설근거 |
왕수인 만년의 치양지설에 근거 |
왕수인 중년의 주정설(主靜說)에 근거 |
현성파와 귀적파의 입장을 지양 |
중요주장 |
양지는 언제나 이루어져 있다.(當下卽現成)
|
양지를 빈 듯하면서 고요한 본체와 외물과 만나 드러나는 작용으로 나눈다 |
현성파의 자유방임과 귀적파의 정(靜)에 치우치는 경향을 모두 부정한다. |
수양방법 |
마음을 솔직히 드러내는 것을 중시(욕망을 긍정하는 쪽으로 나아감) |
귀적(歸寂)을 본체로 삼아 그 작용을 달성
|
치양지는 격물이 중요. 따라서 주희의 궁리와 독서가 필요. 성의(誠意) 공부 강조 |
결과 |
돈오(頓悟)적 입장. 공부 경시. 전통적 인륜, 도덕을 무시 |
양명학의 역동성을 상실. 주자학에 가까워짐 |
주자학에 가까워짐 |
§양명학의 분화는 양명의 말에 대한 왕기와 전덕홍의 이해가 달랐던 것에서 시작됨.
-왕기 -四無說 :내 본모습이 각각의 현실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가 중요하다.(본모습 중시)
-전덕홍 -四有說: 마음을 어떻게 깨달아 갈 것인가(공부의 과정)가 중요하다.(공부 중시)
§황종희(黃宗羲, 1601~1695) -7개 학파로 나눔
§왕간은 양명학을 아주 간단하면서도 쉽게 이야기했기 때문에 농부, 나무꾼들도 함께 했다.
-하는 일이 달라도 같은 길을 간다는 이업동도의 동지의식이 나타남.
-회남격물설 :양명의 마음 중시에서 몸을 중시하는 쪽으로 나아감(개인생명중시)
-일상생활 속에 진리가 있으며 사람이 다 진리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
-실천을 중시함(명철보신론)
-물질적 생활의 중요성 강조
-명철보신론 :남의 몸도 내 몸처럼 아낌으로 덕을 지닌 사람들만이 가득한 대동사회 건설 추구
-왕간의 사상을 하심은이 이음(취화당을 세움, 공동체적 인간-가족을 주목함, 여민동욕)
-하심은의 사상을 이지(李贄, 1527~1602)가 이음(동심설 :동심은 마음의 근본, 삼교일치론 주장)
제4장 명말청초 사상의 등장
1. 경세사상
§명나라의 사회경제적 변화
1)초기 리와 갑이 세금을 공동으로 책임지는 이갑제를 실시
2)명 중기 이후 농업생산물 증가로 인한 상공업, 화폐의 발달로 지주들이 나타나고 농민이 토지를
잃게 되어 이갑제가 붕괴됨
§학문의 변화
1)지식인들은 사회경제적 변화를 보며 반성하여 새로운 학문이 나타나게 됨
2)지식인들의 반성을 통해 정치결사 모임인 동림당이 만들어짐
§동림당
1)양명좌파의 인욕 긍정에 반대, 주자학과 양명학을 조화시키거나 양명우파에 가까움, 환관들의 세
력에 대항, 도덕주의적 경세론 제기(복사가 동림당의 흐름을 계승)
2)대표적 인물 :황종희
§황종희(黃宗羲/1610~1695, 호 李洲)
1)저서 :명대 사상을 정리한 <명유학안>, 유교도덕주의 입장에서 새로운 제도개혁론을 제기한
<명이대방록>(하은주 삼대를 이상으로 삼음)
2)양명우파적인 흐름을 이어받음
3)인간의 중심인 마음을 기로 규정함
4)마음을 구체적으로 사회에 펼치는 방법이 경세사상(<명이대방록>에 잘 나타남)
5)황종희의 기준은 백성으로 임금․신하는 세상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유교의 왕권신수설 부정
-토지는 백성의 소유여야 한다고 주장(정전제 부활주장)
-학교에 교육기능과 비판기능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
6)학문적으로 경학을 중심에 두고 사학을 그 보조수단으로 삼음
7)경세치용론이 군주제 폐지를 주장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의 주장 속에는 계몽주의적 사고가 담겨있음
2. 기철학
§명대 사상의 흐름
-리학에서 심학으로, 심학에서 기학으로 바뀜
-기를 중시하는 것은 구체성, 현실성을 중시하는 것
-주자학과 양명학이 외세의 침입이라는 시대적 문제에 대응하지 못하고 학문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데 대한 반성으로 제기됨
§왕부지(王夫之/1619‐1692, 호 船山)
-기론(氣論)를 바탕으로 실재론 입장의 사상을 전개
-형이상학을 부정, 현실 위에서 사물을 보고 현실 속에서 바꿔가야 한다고 주장
-기(器)라는 개념을 통해 사물의 구체성을 확보하고, 현실의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까지 끌고 나오려고 함
(器는 구체성과 추상성을 함께 아우르는 개념, 氣는 器의 생성원리)
: 이 생각을 잘 나타낸 사람이 장횡거(張橫渠/1020‐1077, 호 載)
-리의 독자성을 인정하지않고 기에 종속시키는 기일원론을 펼침
-저서 :장재의 <정몽>을 해석한 <장자정몽주>
-기로써 만물을 해석해서 구체적인 현실을 설명하려는 속에 중국민족주의가 담겨 있음 (유물론적사유)
§안원
1)왕부지의 흐름을 이음
2)민족주의적 정신이 보이지 않음
3)주자학의 권위주의적인 면과 공리공담의 문제점을 지적
§ 대진(戴震/1723‐1777)
1)왕부지의 생각을 구체적인 변화의 모습으로 끌고 감(기철학의 완성)
2)성리학과 대립하는 입장에 섬(저서 :<맹자자의 소증>)
3)주자학적인 리를 부정하고 오직 기만을 본질적인 것으로 봄
4)기가 드러난 결과인 욕, 정, 지에 대한 긍정
-기질지성만 강조, 기철학을 유물론적 철학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 제공
5)낮은 자리에 있는 자, 천한 자 등을 업신여기고 벌을 준 것이 성리학이었으며, 주희가 주장한
리로 많은 사람이 죽을 수밖에 없었다고 주자학을 비판(기성질서에 대한 도전)
6)기를 통해 인간의 욕구를 긍정하는 사상을 끌어냄(실체적, 객관적)
7)자연적, 감성적, 근대적인 인간의 모습으로 인간을 이해
3. 고증학
§고증학(考證學)
1)일종의 문헌학. 실증주의적 입장에서 문헌 고증을 통해 고전을 정리하고 해명하려는 노력
-유학의 흐름 : 한대 훈고학 → 당대 사장학 → 송명대 성리학 → 청대 고증학
2)한대 훈고학과도 비슷(청나라의 한학이라고도 부름)
3)도덕주의적으로 해석하려는 성리학자들을 비판(경전은 학문적 연구의 대상)
4)경학과 사학이 같이 어우러진 모습을 보임
5)고전 속에 후세에 만들어진 글들을 찾아내는 작업을 함
-긍정적 측면 :학문적인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해줌, 자유로운 비판 전개, 학술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됨
-부정적 측면 :사상적 빈곤, 학문의 사회적 역할 상실(학문을 위한 학문)
§고증학이 나오게 된 배경
1)청나라의 정치적 상황
-‘문자의 옥’ 등 한족 지식인들의 학술활동에 대한 사상통제로 고전에 몰두할 수밖에 없었다.
2)청나라의 대규모 편찬사업
3)명말 이래 자유로운 분위기의 확산-경전해석의 자유로운 해석 분위기가 나옴
§고염무(顧炎武/1613~1682, 호 享林)
1)실사구시의 학문을 제창
-유학자들이 리기․심성과 같은 공리공담에 빠져 경전에 담긴 치국평천하의 도에 소홀하다고 비판
2)<일지록>
-경학에 중심을 두면서도 지리․역사․풍속․제도 등에 이르는 광범위한 고증과 비판을 담음
3)주자학을 배제하고 경학과 사학을 바탕으로 한 경세론에 뜻을 둠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시황릉(秦始皇陵) (0) | 2010.08.03 |
---|---|
중국의 정원(中國庭園) (0) | 2010.08.03 |
마르크스주의의 전파와 모택동 사상의 발전 (0) | 2010.08.03 |
중국 종교와 사상의 현단계 (0) | 2010.08.03 |
유․불․도 삼교의 대립과 융합 (0) | 201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