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fe/주영숙·난정뜨락

단군은 1명 아닌 47명이다…처음 듣는 조선족의 역사

지식창고지기 2010. 12. 22. 20:26

단군은 1명 아닌 47명이다…처음 듣는 조선족의 역사

단군은 1명 아닌 47명이다
2010년 09월 24일 (금) 18:49:23 신시지기 ygskl@naver.com

어려서부터 귀가 따갑도록 들어온 단군에 대한 이야기는 단군은 신화라는 것이다
우리는 단군의 후손이자 반만년 역사를 지닌 한(韓)민족이다 라고 하지만, 반만년의 역사를 제대로 배운적이 있는지는 깊이 생각해볼 문제이다.

그러니 단군왕검이 한 명이 아니라 여럿이었다는 얘기를 들어본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단군신화는 고려 때 승려 일연(一然)이 쓴 `삼국유사`에서 처음 그 모습을 드러낸다.

`삼국유사`는 천제(天帝)인 환인에게는 환웅이라는 아들이 있었고,천부인 세계를 얻은 환웅은 무리 3000을 이끌고 내려와 나라를 세웠다. 그때 곰과 호랑이가 찾아와 사람이 되기를 원하자 환웅은 쑥과 마늘을 내어주며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말고 그것을 먹으면 사람이 될수 있다"고 말했다.

그 말을 지킨 곰은 웅녀가 되었고 환웅과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이 단군 왕검이다.
 

여기까지가 단군신화에서 나오는 단군왕검이 탄생기다.

단군신화에서 처럼 단군왕검 한 사람이 1500년 동안이나 나라를 다스렸을까?

생물학적으로 인간은 1500년동안 살 수 없다
이것을 이유로 일본의 학자들과 친일사학자들은 단군이 신화라고 주장을 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우리는 그것을 진실인양 배워 왔다.
 
사실은 무당 또는 제사장이라는 뜻과 정치의 복합명사인 단군이라는 명칭이 후계자에게 대물림됐으리라는 것이다. 비록 학계 공인은 받지 못했으나 `규원사화`와 `한단고기`는 `단군세기`라 이름 붙인 1500년 동안 단군 47명이 나라를 통치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음주면 단군이 나라를 세운 개천절이 다가온다.

한민족의 생일 대한민국의 생일이 온국민의 생일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주돈식 전 문화부 장관이 지은 `처음 듣는 조선족의 역사`에는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처음 듣는` 우리 역사가 담겨 있다. 고구려에 비해 백제 인구가 더 많았으며 고려 후기 `충(忠)`자 돌림 왕들은 몽골계 혼혈이었다는 것도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다.

 


 

단군이 세상에 태어나 이 땅에 '조선'을 세우기까지…
단군신화를 처음 접하는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
  • 정하섭 엮음/임춘희 그림/웅진주니어/1만원
    단군 이야기/정하섭 엮음/임춘희 그림/웅진주니어/1만원


    우리나라엔 엄연히 건국 이야기인 ‘단군신화’가 있다. 그러나 그동안 일제 식민사관의 영향으로 일부에선 단군신화를 허황된 이야기, 혹은 미신으로 치부해 왔다. 하지만 단군신화엔 우리 민족의 인간관, 자연관, 우주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단군이 어떻게 생겨났고, 어떻게 나라를 세웠으며, 건국 이념이 무엇인지를 깨닫는 것은 곧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길이다.

    ‘두껍아 두껍아 옛날 옛적에’ 시리즈 제9권으로 나온 ‘단군 이야기’는 단군신화를 처음으로 접하는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이다. 책은 단군이 탄생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 근원이 되었던 인물들을 중심으로 하나하나 보여준다.

    하늘나라의 왕이었던 환인, 인간 세상에 뜻을 두고 땅으로 내려온 환인의 아들 환웅, 그리고 곰이었으나 인고의 시간을 견디며 마침내 인간 여자가 된 웅녀, 그들이 존재를 드러내고 서로 만나고 연결되면서 마침내 단군이 탄생하고, 그가 이 땅에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우기까지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단군이 세운 조선은 ‘갓 떠오른 아침 해처럼 맑은 나라’라는 뜻이다.
    여기서 놓칠 수 없는 게 환인이 하늘에서 태백산 아래를 내려다보며 한 “과연 인간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한 땅이로구나” 하는 감탄과, 인간 세상을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환웅에게 준 거울·방울·칼 등 3가지 신령한 물건, 그리고 하늘나라에서 땅으로 내려온 3000명에 달하는 신들의 존재다.

    마침내 신 무리를 이끌고 하늘나라를 떠나 태백산 꼭대기에 도착한 환웅은 아름드리 박달나무 앞에 우뚝 선 채 “이제 이곳은 신이 다스리는 땅이다”라고 선포한다. 최초의 인간 아담과 하와는 죄를 짓고 하늘나라에서 쫓겨나 지상으로 내려왔다는 유대인 신화 ‘성서’ 창세기 편의 이야기와는 사뭇 다르다.

    땅에 내려온 환웅은 이미 이 땅에 살고 있던 사람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치고, 비를 다스리는 신 ‘우사’와 구름을 다스리는 신 ‘운사’, 그리고 바람을 다스리는 신 ‘풍백’을 시켜 돌보게 했다. 환웅은 또한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것부터 더불어 사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360가지 일을 하나하나 가르쳤다.

    내용을 압축한 그림을 따라가다 보면 글은 어떤 장식이나 현란한 수사도 없다. 마치 마주 앉아 듣는 이야기처럼 편안하게 흘러 이해하기 쉽다. 하지만 그 간결함과 차분함 속에 묵직한 저력이 느껴져 오랫동안 깊은 여운을 남긴다.

    조정진 기자 jjj@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