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fe/사오정국어

고대소설 -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지식창고지기 2009. 7. 31. 10:37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 송사로 읽는 옛이야기-장화홍련전 / <장화홍련전> 본문 읽어보기 /

 

미상

평안도 철산 지방에 배무룡이란 좌수가 있었다. 그는 슬하에 자녀가 없다가 부인이 늦게서야 딸 형제를 낳았다. 장화와 홍련 자매는 자랄수록 재모가 뛰어나고 효행이 특출했다. 그러나 부인인 장씨는 병을 얻어 일찍 죽게 된다.
배좌수는 부득이 허씨를 후실로 맞는다. 허씨는 추할 뿐 아니라 심성이 사나웠다. 허씨는 자기의 소생이 생긴 뒤 전실의 딸들을 학대하기 시작하였다. 장화가 정혼을 함에 혼수를 많이 준비하라는 좌수의 말에 재물이 축날 것이 아까워 장화를 죽이기로 흉계를 꾸민다. 허씨는 큰 쥐를 잡아죽여 껍질을 벗긴 후 장화의 이불에 넣어, 장화가 부정을 저질러 낙태했다고 속여 아들 장쇠로 하여금 연못 속에 빠뜨려 죽인다. 그 순간 범이 나타나 장쇠의 두 귀와 한 팔과 한 다리를 잘라가 장쇠는 병신이 된다. 이에 계모 허씨는 홍련까지 학대하고 죽으려고 한다. 홍련은 꿈에 장화가 나타 현몽하여 억울하게 죽었음을 알려 그 사실을 알았다. 견디다 못한 홍련도 장화가 죽은 못을 찾아가 물에 뛰어들어 죽는다.
그로부터 그 못에서는 주야로 곡성이 들렸으며, 원사한 두 자매가 원정을 호소하려고 부사에게 가면 부사는 놀라서 죽었다. 이런 변고로 그곳에 부사로 오려는 사람이 없었는데, 마침 정동우란 사람이 자원하여 부사로 부임하였다. 도임 초야에 장화와 홍련의 원귀가 나타나 원사하게 된 사유를 소상하게 아뢰었다. 부사는 계모 허씨를 철저히 문초하여 죄상을 밝힌 다음 처형하였다. 그리고 못에 가서 자매의 시신을 건져 안장하고 비를 세워 혼령을 위로하였다. 이후 부사는 승직하였다.
한편 배좌수는 다시 부인을 맞아 죽은 두 딸의 현신인 쌍둥이를 낳았다. 자매는 자라서 평양의 거부 이연호의 아들 쌍둥이 윤필, 윤석과 결혼하여 부귀영화를 누리며 행복하게 살았다.

●<장화홍련전> 내용 정리
* 작자 : 미상
* 연대 : 조선시대
* 갈래 : 계모형(繼母型) 가정소설
* 제재 : 평북 철산(鐵山) 지방에 전해 오던 설화를 소재
* 주제 :
가정 불화로 인한 한(恨)풀이와  인과응보

 

● <장화홍련전>의 근원설화
1. 계모설화  - 콩쥐팥쥐
 1) 배좌수의 처 장씨가 두 딸을 낳고 갑자기 세상을 떠남.
 2) 못생긴 허씨가 후처로 들어와 아들 셋을 낳는다.
 3) 배좌수가 두 딸을 끔직히 사랑하자 허씨는 딸을 모해(謀害)함.
 4) 껍질을 벗긴 쥐를 잠든 딸의 이불 속에 밀어 넣고는 딸이 부정을 저질렀으니 가문을 위해 없애 버려야 한다고 배좌수를 설득한 허씨는 아들을 시켜 장화를 죽임. 홍련도 못에 빠져 자결함.

2. 신원(伸寃) 설화 - 아랑의 설화
 
5) 장화 홍련의 혼백이 밤마다 나타나 철산 부사가 죽음
 6) 정동우가 철산 부사를 자원하여 원귀의 이야기를 듣고 사건을 해결함.
    (장화가 낳았다는 핏덩이를 가져오게 하여 배를 가르게 하는 판결)

3. 환생(還生) 설화
 7) 환생을 통해 낙원으로 회귀하는 장화 홍련
 8) 배좌수의 제3처 윤씨의 쌍둥이로 태어나 성장, 결혼, 행복하게 삶

 

● 등장인물의 성격
  대부분의 고전 소설에 등장하는 계모는 남성적 취향에 따라 각색된 미인형이다. 그런데 이 작품의 계모 허씨는 못생기고 추한 몰골의 여인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것은 외부의
신체적 특징을 통해 그 천성이 흉악함을 미리 제시하려는 작가적 의도였을 것이다. 이에 반하여 장화, 홍련은 허씨의 극악무도한 행동에 대하여 불만이나 반감을 갖지 않았다. 허씨에게는 착한 면이 전혀 없고, 장화, 홍련에게는 나쁜 면이 전혀 없다.

  한편 배 좌수는 허씨와 재혼한 뒤에도 전 부인의 덕을 말하고 전실 자식인 장화, 홍련에 대한 애틋한 정을 표면화함으로써 허씨의 시기심을 자극하여 갈등 요인을 제공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허씨가 장화를 죽이기 위해 흉계를 꾸몄을 때, 양반의 체통만을 중시하고 사건의 진상 파악에는 소홀하여 장화를 죽게 하였다. 허씨의 적극적이고 악독한 행위에 비해 배 좌수는 너무나 소극적이고 무능하게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