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 로마가 있는 이탈리아와 일리리아, 갈리아, 에스파니아, 북아프리카를 서(西)로마로, 트라키아와 마케도니아, 그리고 이집트를 포함한 오리엔트 지역을 동(東)로마로 나누어 각각의 정제(正帝, 아우구스투스)가 다스리게 하고, 동서 로마는 다시 한 사람씩의 부제(副帝, 카이사르)가 다스리는 독립 영역을 가짐으로써 네 사람의 황제와 네 개의 제국이 분립된 것이다.
그것은 로마가 겪고 있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회심의 조치였다. 일단 제국의 국경은 너무나 길고 사방에서 몰려드는 적은 너무도 많았으므로, 한 사람의 황제가 중앙에서 동시에 대응하기는 무리라고 여겨져 네 사람의 황제가 각기 맡은 쪽에서 효과적으로 방어하도록 했다. 또한 본래는 중앙에서 파견된 ‘점령군’이었던 로마 군단이 세월이 지나며 파견된 지역에 뿌리를 내려 토착화되고, 머나먼 중앙과의 연결고리가 희미해졌으므로 더 이상 로마에 앉아서 여러 변방을 효과적으로 통치할 수 없는 점도 고려되었다. 5현제 시대까지 팽창과 집중화를 계속했던 로마는 이제 분산과 분열의 흐름을 타고 있었던 것이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사분치제(四分治制)는 나름대로 효력을 발휘하여, 갈리아와 이집트의 대반란이 평정되고 페르시아에게도 승리하여 아르메니아를 되찾았다. 그러나 이 사분치제는 한 가지 뚜렷한 모순을 안고 있었다. 네 사람의 황제들 사이에 다툼이 일어난다면? 어느 한 황제가 다른 황제의 지배영역을 탐낸다면?
콘스탄티누스는 사분치제의 한 축을 맡고 있던 콘스탄티우스 부제(서로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리고 바로 사분치제의 모순을 어떻게든 막아보려는 조치의 일환으로, 서로마의 정제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보내져 사실상의 인질이 된다. 젊은 콘스탄티누스는 이 개혁적인 황제를 따르며 많은 것을 배웠는데, 다만 그가 로마의 전통을 되살리고자 추진했던 기독교 박해만은 공감하지 못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 헬레나에게서 받은 영향도 있었고(아들이 황제가 된 후, 그녀는 예루살렘으로 순례 여행을 가서 이른바 ‘예수가 못박혔던 진짜 십자가’를 발견한다), 당시는 이미 제국의 하층민뿐 아니라 귀족, 학자, 군인 등이 속속 기독교로 개종하고 있던 상황에서 이미 힘을 잃은 옛 종교에 매달리는 일은 현명치 못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타고난 승리자’
젊은 콘스탄티누스는 ‘인품, 외모, 체력, 키’ 모든 면에서 남들을 압도했다고 한다. 그를 최고의 영웅으로 묘사한 유세비우스의 말인 만큼 덜어서 들어야 할지 모르지만, 이미 청년기에 그의 명성은 로마에 자자했던 것 같다. 특히 훤칠하게 큰 키가 인상적이었다는데, 누구도 그를 감히 ‘패배자’로 낮춰볼 여지가 없었을 것 같다. 그리고 실제로 그는 전 생애에 걸쳐 승리자로 살았다.
이 ‘타고난 승리자’로서의 운명이 태동되던 때는 305년이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자신이 이룩한 사분치제가 권력투쟁으로 엉망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 옥좌를 내놓고 물러난 것이다. 그러자 그가 동로마 정제로 추대한 막시미아누스도 할 수 없이 물러났으며, 두 부제, 콘스탄티우스와 갈레리우스가 정제로 올라섰다. 그런데 이 때 갈레리우스의 니코메디아 궁전에 머물고 있던 콘스탄티누스는 음모에 휘말릴까 두려워 야반도주하여 불로뉴에 있던 아버지에게 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