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중국의 종교와 사상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장 중국의 종교와 사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중국의 지리 환경과 중국 문화의 특징
§지리적 배경과 기후 환경
-계절풍이 강한 영향을 받는 온난하고 습윤한 지대
-산서성에서 황하유역에 걸쳐 자리잡음
-대륙․집약형 농업
§농경이 중국의 종교 사상에 미친 영향
①자연을 보는 태도 -자연에 순응, 자연과 보완적 관계
②유기체적인 세게관 -대상 전체를 하나로 보는 사고. 가장 잘 나타나 있는 것이 한의학이다.
③종적 윤리 -고대 황하, 양자강 주변에 아주 집약적인 경작제도로부터 나타남
§중국 문화의 특징
-현세성, 실용성, 경험성, 인간사의 중시
2. 중국 봉건사회의 정치․경제구조
§경제구조
-가족(일가일호)을 단위로 자발적이며 간단한 도구에 의존하는 생산구조
-정신적 재산의 재생산(자발성,실용성, 의존성)
§봉건사회의 기본적 경제구조
-개체농업과 가내수공업의 결합
-지주경제와 소농경제의 결합(상품경제의 발전 저해)
§정치구조
-‘씨족’제를 탯줄로 출발 국가와 가족이 혼합돼 있음(家國同構, 가부장제)
-종법제를 핵심으로 한 독특한 관료제가 정치를 이끌면서 사대부라 불리는 지식인 관료집단을 낳음
-중앙집권적인 군주전제주의(진시황 이후) :사상․종교에 여러 가지 제약으로 작용함
3. 중국 문화의 변천과 시대 구분
§시대 구분
1)잉태기 -은주시대 :하늘에 대한 관념과 음양오행설들이 태동하기 시작한 시기
2)정초기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3)발전기-한당 시대 :본격적인 중국문화의 색깔을 띰(문화의 제도화,형식화,양식화), 불교사상을 융합한 시기
4)강화기 -송․명․청 시대 :동아시아의 이데올로기가 확립되어 전파된 시기(본체론 발전)
5)전환기 -근대 이후에서 현재까지
: 모택동 사상을 비롯해 현대신유가 등의 사상적 모색이 이루어진 시기
(전통적인 봉건문화의 쇠퇴기이면서 동시에 전환기)
§중국 고대 종교관념으로부터 인문정신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방송요약)
-인류의 발전 : 무리(Band) → 부족(Tribe) → 추방사회(酋邦社會, Chiefdom) → 국가(Kingdom)
-중국 최초의 나라였던 하나라는 추방사회 말기로 본다.
-은나라는 씨족 연합의 국가, 주나라는 강력한 봉건제에 기반한 전제군주주의 국가-종교관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요임금부터 하나라까지는 다신적인 모습을 보인다.
-은나라부터 일신적인 모습(帝를 믿음)을 보인다.(帝는 은부족 만의 조상신)
-주나라는 天이라는 개념을 들고 나온다.
-주나라에서는 帝는 天과 같은 것이며 은나라만 아니라 다른 부족에게도 같은 조상신이다.
-천의 개념은 덕있는 사람에게 간다고 하였는데 천명을 받은 사람이 덕을 잃어버리면 천명이 다른
사람에게 가게되고 천의 명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덕을 쌓아야 되는 문제로 발전하게되는데
이것이 인문정신으로 넘어가는 계기가 된다.
2장 중국 종교․사상의 갈래와 흐름
1. 유․불․도 삼교의 특징
§유가, 불가, 도가의 주요특징
유가사상의 특징 |
도가사상의 특징 |
불교사상의 특징 |
①인본주의(잘 나타내는 것이 仁) ②도덕지향 (소인과 군자, 옳고 그름을 구분) ③강한 사회성 (세상의 혼란을 바로잡으려 함) |
①인본주의의 부정 ②도덕지향에 대한 부정 (만물 속에 도가 있다고 봄) ③평등사상 ④개인주의와 신비주의적 경향 |
①연기(緣起)적 세계관 ②주체적 인간관 ③평등적 세계관 |
․인도고유사상에서 불교로의 변화(방송)
계급적 인간관 신 중심의 세계관 고행 중심의 수행관 내세적 해탈 |
평등한 인간관 인간중심의 세계관 중도(中道)의 수행 현세적 해탈 |
2. 중국 종교․사상의 흐름
§춘추전국시대
1)사상상의 모색이 활발했던 시기
2)제자백가가 등장하여 시대의 혼란을 종식시킬 다양한 대안을 제시
3)부국강병이라는 현실 목표에 가장 잘 맞는 법가사상을 받아들인 진나라가 통일
4)진시황은 법가 이외의 사상을 통제함으로 사상통일을 이루려 했지만 실패
․기원전 770년부터 기원전 403년 이전까지를 춘추시대라 하고 그 뒤부터 221년까지를 전국시대
§제자백가 출현의 사회적 배경
①주나라 봉건제가 가지고 있었던 모순으로 혼란이 있었다.
②생산력이 급격하게 변함(쇠를 사용, 농사에 소사용, 비료사용, 관개농업)
(신분개념으로 바뀌게 됨)
․점유개념으로부터 소유개념으로 변화는 지배층 상호간에 토지와 노동력 쟁탈 싸움을 불러왔음
§제자백가 출현의 문화적 배경
①새로운 지식인의 등장
②인재 등용
③문자의 발달(지식이 보편적으로 파급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됨)
④교통의 발달
(전쟁이 오래됨으로 교통이 발달할 수밖에 없었음. 춘추전국시대의 전쟁은 전차전이었다.)
§사마담의 <論六家要旨>
-제자백가를 처음으로 나누고 학파에 이름을 붙임. 그 가운데에서 도가를 가장 높이 평하였음
․음양가 : 凶吉을 중시하였고 하지 말라는 것이 많았음. 그러나 사계절의 순서를 정함
․유 가 : 학문은 넓지만 요점이 없으며 애씀에 비해 한 일이 적다. 하지만 예를 강조
․묵 가 : 지나치게 검소와 절약을 강조. 하지만 생산 중시와 절약 강조는 좋다.
․법 가 : 가혹할 정도로 엄격해서 온정은 없었지만 질서를 세운 일은 좋다.
․명 가 : 명칭에 얽매여 진실을 잃었다. 하지만 명실(형식과 내용) 관계를 바로 잡음
․도덕가 : 자연에 대한 적응을 강조. 다른 사상의 장점을 받아들여 풍속과 일 처리에 알맞음.
요점이 간단하고 시행하기 쉬워서 힘을 덜 들여도 공이 많다.
․유흠은 여섯 개 학파에다 종횡가, 잡가, 농가, 소설가 네 개를 더 붙여서 십가로 분류함
§『한서』「예문지」에 기록된 <9가자류>
-반고가 유흠의 십가에 기반하여 나눔
학파 |
유래 |
대표적 사상가 |
학파 |
유래 |
대표적 사상가 |
유 가 도 가 음양가 법 가 명 가 |
교육관직 문서관리직 천문관직 법리관직 의례관직 |
공자, 맹자, 순자 노자, 장자, 양주 추연 상앙, 한비자 공손룡, 종석 |
묵 가 종횡가 잡 가 농 가 |
사당관리직 외교관직 국정자문직 농업관리직 |
묵자 소진, 창의 『여씨춘추』 허행 |
§한․당 시대
1)한나라 초기 법가의 전제정치에 대한 반발로 ‘황로사상’이 나타남
2)유교의 독존시대를 맞이함
3)오경을 중심으로 한 학문풍토는 경학논쟁을 일으킴(이 과정에서 훈고학이 나옴)
4)한말에 불교가 받아들여져 남북조시대를 거치면서 토착화 함
5)도교와 불교의 융성은 한말 유행한 전염병과 전쟁과 관련이 깊다.
6)불교 토착화 초기 의탁불교가 나타나고, 도가사상을 중심으로 비슷한 개념을 가져다가 불교용어와 짝을 맞추어 정해진 틀 속에서 이해하려는 격의불교가 나타남
7)수당시기에는 경전과 경전을 비교 분석하는 교상판석의 부파불교시대로 진입
8)다양한 종파들이 발전
9)선종-남종을 일으킨 혜능에 의해 발전, 개별주체의 자각적 깨달음 강조, 중국 불교의 핵심
§송․명․청 시대
1)송 -유불도 삼교 교섭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그 결과 성리학이 나옴
2)성리학의 성립 -외적으로 사회경제적 상황과 관련, 내적으로 불교와 도교의 영향
3)성리학은 원나라로부터 관학의 지위를 얻음
4)명 -유학이 독점적인 관학의 위치를 장악
5)리학에서 심학으로 전환이 이루어짐
6)왕수인의 양명학 -인간 주체에 대한 강조를 기반, 서민문화에 상응하는 사상으로 발전
7)명말 청초에는 양명학의 폐단을 비판하면서 현실문제에 관심을 갖는 학문경향이 등장
-황종희:경세사상, 고염무: 고증학, 왕부지:기철학
§근대 이후 현대까지
1)양무파와 변법파 등장 대립
2)5․4 운동을 통해 사회진화론의 수용을 거쳐 사회주의를 받아들임
3)중국이 어디로 갈 것인가라는 화두를 놓고 논쟁
-과학과 인생과 논전, 동서 문화 논쟁, 중국 사회사 논전, 문화열 논쟁, 현대신유가사상
제2부 태동기 : 제자백가의 융성
제1장 유가사상의 원류, 공자
1. 공자와 <논어>
§공자의 생애
․공자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
․공자는 상식 속에서 진리를 찾으려함.(인문정신의 대표)
§논어
․논어는 공자의 말씀을 의논하여 편찬하였다는 뜻
․논어가 지금의 모습으로 다듬어진 것은 한나라 때
․20편으로 되어 있으며, 제목은 시작되는 말을 사용하였다.
2. '인(仁)'시상
§공자의 중심사상-인
․仁은 어질다는 뜻보다 사람답다는 말로 푸는 것이 좋음-공자의 핵심사상
․仁 : 人 + 二 -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 인간이 이루어야 할 가장 완전한 덕목
. 사람다움을 구체적으로 실천해나가는 것이 충과 서이다.
-충은 자신에 대한 흔들림없는 성실성, 서는 남의 입장을 헤아리는 자세
3. 교육사상
․공자는 민간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학교를 세우고 평등교육과 보통교육을 실현하였음.
.공자가 가르치려고 했던 사람은 군자이다.(군자위에 <인한사람>을 두었다.)
-군자란 ‘덕을 지닌 사람’, ‘훌륭한 인격을 갖춘 사람’이라는 의미
․위기지학 -자기를 수련하는 것, 자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부
․인격 수련을 위해서 시와 음악 공부도 강조
․교육방법은 선생의 몸가짐이나 말하는 것 모두 모범이 되는 시범식 교육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공부’와 ‘실천하는 공부’가 먼저이고 지식을 늘리는 것은 그 다음 문제
․공자가 바라는 바람직한 인간관계(文行忠信)
-안으로는 자기의 양심에 부끄럽지 않고 밖으로는 다른 사람에게 미더운 것
․인간 완성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을 구현하는 성인의 경지였다.
4. 덕치와 예치
․주나라 초기에 주공이 이룩한 통치제도를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봄
-혈연집단의 가족윤리를 사회의 통치원리와 결합시킨 것(유가 정치사상의 중요한 특징)
․덕치-군주는 군주다운 덕성을 지녀야 하며 그를 바탕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
-덕치의 출발은 군주의 도덕적 자각에서 시작됨(修己治人)
․예치 -덕치를 구체화시켜 보여주기 위한 것
․정명사상 :각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도덕적으로 최선을 다하는 정치
․공자 정치사상의 핵심은 통치자나 관리들의 인격에 달려 있다.
․유가는 사람에 의한 통치를 강조함
5. 고대문화의 집대성
․공자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고전(육경)에 대한 정리
․공자는 고전을 연구하고 손질하면서 상고주의를 지향
․옛 고전을 해설하는 ‘술이부작’의 정신으로 일관함
․‘온고이지신’의 전통을 확립
․문화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을 띰
제2장 유가사상의 전개-맹자와 순자
1. 맹자의 사상
§성선설
․군자삼락(君子三樂) -맹자가 말한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으로 양심, 가족, 교육의 즐거움
1)맹자가 임금들을 설득하려고 한 내용은 성선설에 바탕을 둔 왕도정치였다.
2)맹자의 중심사상 -성선설(性善說)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
․맹자가 성선설에서 말하는 본성은 도덕성을 말하는 것으로 인의예지
-선의 기준을 인간 내면의 주관적 측면에 두고 있음
-맹자는 인의예지 같은 도덕심은 배우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것이라고 봄
3)맹자의 사단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사단의 다른 표현은 양지양능-양명학의 중요한 개념)
-요즘 표현으로 바꿔 보면 동정심, 정의감, 남에 대한 배려, 사실과 거짓을 가리는 판단력
-사단은 인간에게 들어 있는 선천적인 요소로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 있는 근거
4)맹자의 공부론(도덕적 인간의 완성을 위한 수양방법)
①구방심(求放心) -흐트러진 마음을 되찾는다.
②대체소체(大體小體) -小體는 사람의 이목구비와 감각기관, 大體는 마음. 마음을 잃어버리면
사람은 하나의 기계가 될 수 있다. 마음을 되찾는다는 것
③과욕(寡欲) -욕심을 줄임
④양호연지기(養浩然之氣) -호연지기를 기름. 도덕적으로 올바른 실천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
(기 개념을 도덕적인 개념으로 확장시켰다는 데 의미가 있음)
⑤존야기(存夜氣) -밤의 기운을 보존하라. 밤에 자기 본심으로 돌아간다고 봄
․맹자의 공부론 핵심 -마음의 각성, 반성을 통한 깨어있는 주체성 확립
§왕도정치
1)전국시대의 혼란을 끝낼 수 있는 방법으로 왕도정치를 제시
2)왕도정치의 시행은 도덕의 근원인 하늘의 뜻을 실현하는 일인 동시에 인간의 착한 본성을 실현
하는 일(천명정치사상-덕 있는 사람만이 하늘로부터 천명을 받아 임금이 될 수 있다.)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이론을 우주자연의 본성과 연관지었다.
-마음을 다하면 본성을 알게되고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안다.
(인간의 선한 본성은 하늘의 원리와 연관됨)
3)왕도정치의 현실적 전개는 민본정치에 기반을 두고 있다.
4)민본정치의 구체적인 방법 -여민동락
․천인합일(天人合一) -자연과 인간은 같은 원리로 존재한다는 맹자의 사상
2. 순자의 사상
§성악설
․청출어람(靑出於藍) -학습과 교육의 효과를 말한 순자의 「권학편」의 구절
1)순자는 맹자보다 한 시대 뒤의 사람으로 전국시대 후기의 사람이다.
2)<순자> -논문식, 소박하고 꾸밈이 없고 서술이 체계적이며 논증이 비교적 세밀함
3)성악설(性惡說) -순자사상의 핵심, 사람의 기질은 악으로 흘러가기 쉽다
-선의 기준을 객관적인 사회상황에서 찾음(선 -사회가 잘 다스려진 상태)
-당시 상황처럼 혼란이 극에 달한 이유는 이로움을 좋아하는 인간의 본성 때문이라고 봄
-인간의 자연적이고 생리적인 욕구에 주목함(본능적인 욕구를 본성이라고 봄)
-순자는 도덕성은 타고난 그대로가 아니라 배워서 알 수 있는 것이라고 봄
-타고난 욕망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데 그것이 교육이다.
-교육을 통해서 도덕을 알게되고 후천적 노력에 의해서 선하게 바뀌어 감
4)인간의 마음 작용(마음이 바깥 사물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순서)
①성(性)-삶의 자연스런 본질
②정(情)-내 밖의 사물들과 만나서 생기는 감정
③려(慮)-이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④위(僞)-자신이 옳다고 판단한 선택을 의지적으로 실천해 가는 단계
5)화성기위를 주장 -선한 행위란 의지적 실천을 통해 본성을 변화시켜 나오는 것이라는 뜻
(순자의 이러한 관점은 인간은 사회적 존재라는 기본적인 전제와 연관성이 깊다.)
6)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의 차이
-맹자의 견해 :선악의 기준을 인간의 내면에 둔 주관적인 것
:군자의 도덕성에 대한 자각을 통해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함
-순자의 견해 :사회상황에서 유추한 객관적인 것
:본성을 거스르는 의지적인 노력을 통해 혼란을 바로잡으려고 함
(의지적인 노력을 제도화하려고 한 것이 禮)
§천론
1)순자 이전의 사상가들은 모든 생각의 근원을 하늘에서 찾았으나 순자는 자연현상과 인간의 행
위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생각함(인간의 지위와 실천을 극대화시킨 인문정신의 완성)
-천인지분(天人之分) :자연의 존재 양상과 인간의 존재 양상은 다르다는 순자의 사상
2)천행유상설(天行有常) :자연의 운행은 독립적인 규칙성이 있음
-천행유상의 예 :기우제를 지낸다고 비가 오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규칙에 의해 비가 온다는 것
3)능참(能參) -사람은 하늘․땅과 대등하게 만물의 변화에 참여하는 존재라는 개념
4)순자의 사상은 운명론에 대한 부정이었으며 인문정신의 극치로 유물론적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예론
1)질서 잡힌 사회를 위해 인간의 의지적인 행위를 제도화하도록 주장한 것
2)인간이 선해질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
3)욕망이 무한한 인간이 유한한 재물을 놓고 다투지 않도록 통제하는 수단으로서 禮를 제시
4)예는 인간의 본질이 아니라 질서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행위의 규범(사회가 변하면 예도 변해야 함)
5)후왕사상 -기존의 예의 제도가 맞지 않을 때 그것을 바굴 수 있는 사람은 타고난 악한 본성을 극복한 후대의 임금이라고 본 사상
6)순자의 생각은 한비자, 이사와 같은 법가사상가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법가사상과 다른 점 :순자는 예의 제도가 바뀔 수 있다고 생각, 법가에서는 불변의 법을 생각
§맹자와 순자는 세계를 보는 관점, 자연을 보는 관점, 인간을 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공부해야하고 인격을 길러야 하는지 또 사회정치문제에서 나타나는 사회정치적인 관점도 다르다.
§순자는 위(僞-거짓 위)를 중요시함.
-사람이 애써 노력하는 것(인위적인 노력 즉 계획적이고 목적을 가진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순자는 스승의 가르침과 예법의 학습이 인간의 인격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봄. 어떤 법도를 제대로
배우는 것을 매우 중시함.
제3장 도가사상의 전개, 노자와 장자
1. 노자의 사상
․노자(老子) : 초나라 고현 여향 곡인리 사람으로 성은 李, 이름은 耳, 자는 伯陽
§‘도’란 무엇인가?
1)모든 존재의 근원, 우주를 창조하는 동력, 자연계의 운동법칙, 인류행위의 준칙 등으로 이해됨
2)우리의 감각기관을 통한 인식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무(無)’라고 함
-무는 유에서 나오고 유는 무에서 나온다.(송대 성리학자는 무를 없음으로 생각하여 비판함)
3)하나(一)라고 부르기도 함
4)천지가 발생하기 이전에 존재한 혼돈체(박, 현. 황홀등)
5)만물을 형성할 수 있는 잠재태이며 가능태
6)고정적이고 불변적인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운동함(되돌아감이라 생각함))
7)본질적으로 무의지와 무목적성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함
-道法自然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
-無爲而無不爲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
§도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론
1)언어와 감각의 오류와 한계를 자각하고, 그것을 탈피하기 위하여 특유의 부정과 역설의 논리를 전개함
2)도를 말할 수 있으면 항상된 도가 아니다.(道可道, 非常道)
-노자는 모든 만물은 변한다는 변화의 철학
(창조론․종말론과 관련된 종교적 사유는 찾아볼 수 없다.)
-언어의 부정으로 이어짐(언어는 어떤 존재에 대해서 모든 것을 말할 수 없다)
§무위자연
1)무위 -자연에 따르는 행위
-자연의 활동은 무목적적이면서도 합목적적인 것
-무위이무불위는 기본적으로 대자연의 조화를 설명하는 말
-무위란 결국 아무것도 하지 않는 불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유위 :인간의 목적의식
-천지자연의 이법(理法)에 따라 행위한다는 것이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수수방관만 하는 것은 아님
-도법자연사상 : 사람은 땅의 법칙을 본받고, 땅은 하늘의 이치를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스러움
2)무위자연사상(노자사상의 핵심)
①상대주의적 세계관이 그 바탕을 이룬다.
②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치 판단․심미 판단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것임을 지적
-미와 추, 옳고 그름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③진리다원론, 문화다원론적인 사유
-너와 나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 차이를 차별로 만들지 말아라.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상식은 성립되지 않는다.
§상대주의적 세계관
1)기성의 가치체계와 세속적인 권위에 대한 비판이자 도전
2)노자는 상대주의적 세계관을 빌려 일반인들이 절대적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것과 권위를 부정
§노자의 처세술
-어떤 일에 공을 이루었으면 은퇴하라(은퇴의 철학)
:생명이 위태롭거나 공이 물거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화광동진(和光同塵) -지혜로움을 드러내지 말고 세속과 함께 어우러져 살라.
2. 장자의 사상
․장자(莊子) : 이름은 주(周)이고 양나라 혜왕, 제나라 선왕과 동시대의 인물
․<장자>
-글이 대부분 우언으로 이루어져 있다.(노신은 문학과 철학이 어우러진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
§장자(莊子) 철학의 특징
-느림의 철학을 말하고 있는 소요정신과 만물은 평등하다는 만물제동(萬物齊同)
§소요정신
*<장자> 가운데 소요유와 제물론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장자는 쓸모없음(無用)의 쓸모있음(有用)을 말하고 있음(편협한 자신의 주관의식을 버려야 한다.)
-현실 속에서 살면서 자유의 공간을 찾고자 하는 것
-북쪽 바다에 사는 곤이라는 물고기가 변하여 커다란 붕이되어 남쪽 바다로 날아가는 우화
-인위적 세계를 벗어나 자유롭게 비상하는 자유로움과 해방감
(북쪽바다-인위적 삶의 세계, 남쪽바다-이상향, 붕새의 비상은 소요정신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
-정신의 자유와 해방을 유(遊)로 상징화함
-세속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움을 추구하고 나아가 도와 합일을 추구하는 것
-세속에 살면서 세속에 지배당하지 않고 자신의 자유를 추구하는 것(세속의 밖)
-세속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것을 가리켜 소요유라는 말로 표현함
-외물에 얽매이지 않는 ‘마음의 재계(심재心齋)와 앉아서 잊어버림(좌망坐忘)은 소요정신의 바탕
-소요정신의 필요조건은 아무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무대’이다.
-소요적인 삶은 천지자연의 도와 일치하는 삶, 필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삶
-풀어헤침의 사상이며 잊어버림을 강조하는 사상
§만물제동
1)<제물론> 편에서는 귀천, 시비, 피차의 구별이 없다는 만물제동이라는 절대평등론이 나옴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과 무차별 평등
:존재하는 사물은 존재 사유가 다 있다.
:도의 입장에서 만물을 보면(以道觀之) 귀천의 구분이 없음
2)만물이 도를 근원으로 한다는 점과 도를 깨달은 자가 사심 없이 만물을 평등하게 포용한다는 두가지 의미.
3)‘제(齊)’는 만물의 개체성과 특수성을 그대로 다 인정하면서 큰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
4)삼라만상이 다투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인뢰, 지뢰, 천뢰의 음악이 각기 개성을 마음껏
발휘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음악적 상태로 비유함(천뢰가 곧 제물)
5)호랑나비의 꿈을 통해 장자는 모든 존재는 변화로서 존재하며 존재란 상대적인 것이라는 ‘물화(物化)’의 관념 을 제시: 끊임없는 사물의 변화-물아일체가 가능(물아-고정된 관념이나 틀을 버리라는 뜻)
6)‘물화’는 기준을 없애는 것, 모든 것이 다 다르게 존재하는 것
-다 다르게 존재하므로 다 살려내야 한다는 것이 장자의 생각이며 ‘천뢰’가 곧 ‘물화’이다.
7)만물제동의 절대평등한 세계
-피차, 생사, 화복, 성패 등은 사물의 실상이 아니기 때문에 질적인 차별이 없으며 모두 평등
-시비와 차별이 있게 되는 까닭은 한 부분(物)에 집착하기 때문
-배경에는 ‘道無所不在(도는 없는 곳이 없다)’라는 도의 편재설이 깔려 있다.
-종법제도와 차별적 인간관을 전제하는 유가에 대한 비판의 성격을 가짐
(사상해방, 개성해방, 억압반대)
§노장사상
1)변화를 강조 -위정자의 입장에서 보면 위험한 사고
2)무신론 강조 -종교적인 입장에서 볼 때도 위험한 사고
3)부정의 정신과 논리, 변화를 강조하는 사유체계는 창의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함
제4장 묵가와 법가의 사상
묵가의 사상
․묵자(墨子) : 성은 묵(墨), 이름은 적(翟), 『묵자』는 과학사 연구에서도 주목받는 책
․묵적지수(墨翟之守) : 묵자가 성을 완벽하게 방어했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성어(전쟁반대정신)
§묵자와 묵자집단(집단의 두두머리-거자)
1)기술 내지는 효용을 중시함(하급무사 집단,기술자 집단)
2)피지배집단을 적극 옹호함(공자이후 가장 큰 세력집단을 이룸)
3)일상생활에 유용한 것에 대해서만 가치를 인정하였고 전쟁무기의 경우도 방어용만을 개발
4)집단을 이루며 살았다.(강력한 결속, 군대식의 조직과 엄격한 규율, 검소하고 절제된 생활)
§겸애와 교리
1)집단행동과 엄격한 규율을 가능하게 했던 사상
-겸애가 이루어지면 교리는 저절로 따라온다고 보았기 때문에 핵심 주장은 겸애였다.
2)겸애
①정치적 평등에 대한 요구
②극한 상황 아래 동고동락하던 하급 무사들의 체험으로부터 나온 관념(공동체정신)
③자기 자신을 위하듯 친구와 타인을 위하는 것
④세상 모든 혼란의 원인이 별애에 있다고 봄
⑤인간의 이성적 판단에 근거를 둔 공리주의적 입장
⑥겸애의 기준으로 三表라는 세 가지를 제시함
-옛 성왕들이 했던 일, 백성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일, 백성들에게 이익이 되는 일
-경험적이고 현실적인 일들을 가리킴
3)교리 - 경제적 평등에 대한 요구
4)휴인자리(虧仁自利)
-휴인 :남을 덜어낸다, 자리 :자기에게 이득이 된다.
-남을 손해보이면서 자기 이득을 챙기는 것(겸애교리의 다른 표현임을 알 수 있다.)
§묵자 사상의 이론 구조
① 전쟁반대론(非功) :휴인자리에 가장 가까움
② 절장(節葬) 절용(節用) :장례를 간소하게 지내고 물건을 아껴 써야 한다.
③ 비명(非命) 비악(非樂) :운명론을 비판하고 음악을 비판하는 글
④ 비유(非儒) :유가사상 비판하는 글
․제자백가의 주요사상 - 인간내부의 조화, 질서, 인간사이의 관계를 해결하려는 종내 경쟁에 치중
․묵자의 사상 - 인류와 자연이라는 종간(種間) 경쟁에 치중(겸애, 교리, 상동론)
§묵자 사상의 이론화와 조직론
① 천지(天地), 명귀(明鬼)
-하늘의 뜻은 박애, 이것을 어기면 하늘에서 제재하고 귀신들이 우리의 행동을 감시한다는 이론
-맹자의 인간의 천성은 착하다는 이론과 하늘의 원리와 같다는 이론과 같다고 볼 수 있다.
② 상동(尙同)
-군주가 겸애의 덕을 편다는 것을 전제로 함
-‘윗사람을 따른다’ 혹은 ‘같은 것을 따른다’라는 뜻(겸애교리로 상하일체가 이루어지는 사회)
-가장 현명한 사람을 따르면 혼란이 없다는 것을 말함
법가와 명가의 사상
§법가와 관련된 고사
․수주대토(守株待兎) : 우연히 한 번 일어난 일을 진리로 아는 어리석은 사람 이야기
(새로운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을 비판하는 사자성어)
․사목입신(徙木立信) : 백성들의 신뢰를 얻기 위한 상앙의 꾀
§법가사상의 연원
1)법가는 제자백가 가운데 가장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이론을 냈던 학파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정당성 보다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사상으로 볼 수 있다.
2)법가가 내세운 법은 군주를 중심으로 한 전체주의나 권위주의를 구현하는 수단의 의미를 가짐
3)법가 사상의 선구자는 관중, 최초로 성문법을 공표한 자상 -실제 정치를 통해 모범을 보였던 사람
4)법가 사상을 이론적으로 발전시킨 사람들
①신도 -‘세’를 강조, 권세 또는 세력을 의미
②신불해 -‘술’을 강조, 정치적 책략을 의미
③상앙 -‘법’을 강조, 법치주의를 의미(연대책임제․신상필벌을 통해 법치주의를 완성하려고 함)
§한비자의 사상
한비자는 형명법술의 학문 좋아함
1)한비자의 철학 요약(세 가지 중심 이론)
① 인간은 이기적이기 때문에 국가는 강력한 통제와 조종을 통하여 부강을 이룰 수 있음
② 군주는 법과 세와 술로 민중과 백관을 통솔하며, 그 제재방식은 왕의 권세와 법의 강제에 의함.
<법가 통치 기술의 세 요소>
㉠ 세(勢) : 위세, 세력, 사회적 권위가 부여된 지위에서 나오는 힘
㉡ 법(法) : 객관적으로 표현된 행동 계획, 지침, 규칙
㉢ 술(術) : 관리의 임용과 제어 등에 군주의 초법적 통치 기술
*법은 명확할수록 좋고, 술은 숨겨질수록 좋다(술은 임금의 마음 속에 있는 것)
③ 옛 성인을 기준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현실의 효용성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법가 사상의 이론적 연장>
㉠ 상고주의 비판
㉡ 통치를 위한 사상 통일
㉢ 귀족 신분의 상대적 비특권화
2)법가의 부정적 측면
-중앙집권적 전제군주국가가 합법적으로 독재를 행사할 수 있는 근거 제공
3)법가의 긍정적 측면
①능률적 사고 추구(효율적인 관리제도 확립하는 이론이 됨)
②2000여 년 동안 중국 전제군주제를 이끌어 온 배경이 됨
③현실적 인간관과 진보적 역사관 갖춘 사상체계
§명가(논리학파)
․명가의 대표적 인물 : 해시, 공손룡, 동석
․명가의 명제
-백마비마(白馬非馬) : 흰 말은 말이 아니다.(흰 말은 말 중의 일부일 뿐이라는 뜻)
-비시부동(飛矢不動) : 나는 화살은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무한계의 점과 관련된 말)
-대일소일(大一小一) : 무한대와 무한소에 대한 예시의 명제
제3부 발전기 : 유․불․도 삼교의 대립과 융합
제1장 한대 경학사상의 전개
1. 유가의 독존과 금고문논쟁
․진시황(秦始皇,BC 259‐210) : 중국 최초의 중앙집권적 통일제국인 진(秦)나라를 건설한 전제 군주
§진시황의 통일정책
1)정치적 : 강력한 중앙 집권제, 군현제(36군 72현)
2)경제적 : 도량형 제도와 화폐통일
3)사상적 : 분서갱유, 협서율(농사․점복․약학․의학 등 실용성이 강한 책은 읽을 수 있도록 함)
․한나라 초기에는 무위의 도가사상을 장려하면서 사상해방을 내걸었다.
-황로사상이라고 하는 도가사상이 유행함
§유가의 독존
1)동중서(董仲舒, BC 179~104) : 유학 독존의 통치이념을 확립
2)오경박사제도 실시(유학 우대제도)한대:군현제, 오경박사제도, 참위설
3)유교가 비이성적으로 강화됨(공자가 신격화가 됨)
-경서(성인의 말씀), 위서(경서를 보완하는 책, 예언서)
§금고문논쟁
1)협서율이 폐지되면서 당시 학자들이 암송하고 있던 경전 내용을 정리하여 복원함(금문경전)
2)숨겨둔 경전이 발견됨(고문경전)
3)유학의 정통을 차지하려는 정치적 논쟁의 차원이었다.
4)통치권력과 관련하여 통치권을 강화하거나 견제할 목적으로 논쟁은 석거각 회의를 시작으로 4차례 진행됨
-정치적으로 해석이 가능한 『춘추』가 논의 대상
5)1차 논쟁 :금문과 고문의 논쟁
6)2차 논쟁 :광무제가 경전에서 통치이념을 끌어내기 위해서 논쟁이 붙게 됨
7)3차 논쟁 :논쟁에서 나온 결론을 모은 책이 <백호통>이다.(봉건사회의 성립기반을 지탱해주는
통치원리가 주 내용을 이룸, 음양오행을 논리적으로 설명)
8)4차 논쟁 :호족집단․환관집단에 지식인이 대항하는 논쟁
§훈고학 : 훈은 읽는 법을 뜻하고 고는 글자의 의미를 뜻함
§금고문논쟁의 의의
1)경서가 정리가 됨
2)고문경학이 등장함으로 예언설로 얼룩져 있던 금문경학의 많은 문제점을 바로잡음
3)유교가 관학, 통치이념으로 자리잡는 과정 속에서 일어남
4)다른 학문에 영향을 줌. 복고적인 역사관(고문경학)와 진취적인 역사관(금문경학)을 보여줌
5)문자관련 책들이 나오게 되는 모티브가 됨
2. 천인관계 논쟁
§천인관계 논쟁
-금고문논쟁과 맞물려 나옴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논쟁
-중국 철학을 관통하는 중요 주제
§천인관계 논쟁의 중요 쟁점
1)상관설(제학파) : 자연과 인간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
①맹자 -천인상관설, 천명정치사상
②동중서 -천인상감설(군권신수설과 재이설을 바탕으로 함), 음양오행설, 목적론적 세계관
-자연계의 운행과 인체의 운행도 연관지어 설명(춘추번로)
-목적론적 세계관
-동중서의 철학 1)왕권강화 2)왕권견제 3)전통의학에 영향을 줌(황제내경)
2)무관설(노학파) : 자연과 인간은 전혀 관련이 없다.
①순자, 노자, 장자
②왕충(王充 27~97) -고문학파에 속한 인물, 기계론적 세계관
-<논형> 통해 동중서의 사상에 정면으로 반대
제2장 위진 현학사상과 도교
1. 위진현학사상의 탄생
§현학의 등장
-한 왕조가 해체되면서 한대를 지배했던 경학이 약해지고 대신 노장이 주류로 부상하는 시대적 분위기 반영
-명사(위진시대의 출현한 특수한 인물)는청담을 해야한다(
명사는일정한 내용(삼현학),일정한 방식(완곡히 풍자하여 말하는 방식),잊정한 자태(고라니의꼬리털로 만든 털이 개를 쥐는 아름다움을 돋보이려는 자태)가 있다
§현학의 주요 경전 - 노자, 장자, 주역이며 이를 삼현이라 함
-삼현학 :사상자체가 심오한 사상을 담론으로 하고 있다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죽림칠현 - 완적, 혜강, 산도, 상수, 유영, 왕융, 완함
§위진현학의 주된 관심
-도가적인 우주 자연과 유가적인 사회 명교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
2. 왕필과 하안
1)<노자>, <장사>, <주역>의 삼현을 내용으로 삼고 청담과 논변을 형식으로 하여 이름을 날림
2)위진시대 현학의 대표적 인물
3)무를 근본으로 하고 유를 말단으로 하는 우주본체론을 주장
-무를 만물의 존재 근거로 간주하기 때문에 '귀무파'라고도 함
-노자의 우주생성론을 우주본체론의 차원으로 발전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無가 사물의 본체이고 有는 無의 구체적 표현 즉 천지만물은 無를 근본으로 한다고 주장
§왕필(王弼, 226~249) : 위나라 시대의 뛰어난 현학이론가
1)<노자 주> : <노자> 주석서 가운데 가장 뛰어난 주석으로 알려져 있다.
2)'유'와 '무'의 기초 위에서 본말과 체용을 논함
-체는 본체․실체로 근본적이고 내재적, 용은 체의 외재적 표현과 현상
-무는 사물의 본체이고, 유는 무의 구체적 표현
3)만물은 모두 무로 되돌아가며 무에서 통일된다.
4)언어와 뜻에 대한 견해
-言不盡意 :언어로 뜻을 다 표현할 수 없다.
5)인식론은 ‘언부진의’적 사유와 ‘득의망상’의 학설에 집중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상과 언어는 인식의 도구일 뿐 인식의 목적이 아니라고 생각함
3. 완적과 혜강
․현학 청담의 학풍은 완적과 혜강 시대에 전성기를 맞음
§완적(阮籍, 210~263) - 노자와 장자를 좋아했고 유가의 예교(禮敎)를 비판
- 유교의 예법과 명교를 극단적으로 비판
§혜강(223~262) - 노자와 장자를 노장이라고 최초로 병칭함
- “나는 언제나 湯, 武를 비방하고 주공과 공자를 가벼이 여기네…노자, 장자가 나의 스승일세”
-성무애락론 :소리는 애락과 관계가 없다(음악은 희로애락의 정을 가지고 있지 않음)
*완적과 혜강의 사상은 왕필의 사상과 곽상의 사상을 연결해 주는 고리로 작용
§위진시대 노장학의 발전 단계
첫번째 : 무를 사물의 근간으로 여긴 왕필의 노자학
두번째 : 위나라 말의 혜강과 완적의 노장학
세번째 : 서진시기 곽상의 장자학
§격의불교(格意佛敎) - 불교를 노장식으로 이해하고 해석(위진현학의 영향)
4. 곽상
1)역대의 <장자>에 대한 주석서 가운데 가장 이름 높은 <장자주>의 저자
2)왕필의 귀무론과는 상반된 해석을 함(有無 가운데 有를 중시함)
3)만물이 누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저절로 독자적으로 발생 변화하는 현상을 곽상은 독화(獨化)라고 함
-자생독화설
-조물주의 존재 부정
4)무는 유를 생기게 할 수 없다고 함
- ������무������란 사물의 생성에 근거가 되는 다른 사물은 ������필요없다������라는 의미의 무이다.
5)무대사상 : 한사물의 존재는 다른 사물의 존재에 의탁하지 않는다.
6)만물은 자기본성(성명), 본분에 의해 결정되며, 소요란 그 본분에 만족하는 것
-완적이나 혜강이 말한 소요는 속세에서 멀리 벗어나 마음이 사물 밖에서 노니는 정신적인 자유
7)인과 관계를 철저히 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에 한계가 있다
§도연명
-유가적인 삶이면서 도가적 삶을 살다 감
제3장 도교의 발생과 전개
1. 도교의 정의와 특징
§도교라는 말은 본래 도. 즉 진리에 관하 가르침이라는 뜻의 보통명사이다.
§도교라는 용어가 보이는 최초의 책은 『묵자』이다.
§도교는 5세기 무렵 남북조시대에 종교의 틀을 갖춤
§도교의 특징
1)고대 민간신앙을 기반으로 한 신선설
2)무속적인 신앙
3)불교의 체제와 조직
4)현세의 이익을 추구
*다양한 요소들이 개입한 문화적 복합체
§노자의 도와 덕을 근본신앙으로 하며, 노자를 태상노군이라하여 받든다.
§양생수련법(=도술)
-단전법, 토납법, 방중술, 연단술 등
2. 도교의 성립과 전개
§최초로 도가의 문을 두드린 방술사는 하상공인(하상공)
§도교의 원류 - 후한 말에 장각이 지도한 태평도와 장릉이 만든 오두미도라는 두 종교 교단으로 봄
§태평도 -『태평경』(최초의 도교경전)을 신봉, 노자를 최고의 신으로 높임
§오두미도(五斗米道) - 장도를 찾는 사람들은 모두 다섯 두의 쌀을 헌납하여 오두미도라 함
1)<노자상이주>, 장릉이 지음, 노자를 교주로 여겨 태상노군이라 칭함
2)황건적의 난을 일으킴
§위백양과 갈홍 - 신선술의 이론과 방법을 제공하고 종교로서 도교의 기초를 세움
1)위백양 -<주역참동계>를 제공하여 음양론을 도입
2)갈홍 - 『포박자』를 통해서 내단과 외단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
§남북조시대 북위의 구겸지에 의해 제도화하여 국가종교가 됨
-당왕실은 노자를 자신들의 조상으로 삼음
§송대에는 유가와 도교가 상호 흡수되고 융합하는 추세를 나타냄
§송대 이후 도교는 유․불․도 삼교의 합일을 특징으로 함
3. 도교경전과 후대에 끼친 영향
§도교의 경전
1)태평경 -최초 경전
2)포박자 -경전 목록의 성격을 띤 최초의 책
3)도장 -도교의 모든 경이라는 뜻으로 불교의 대장경에 상응함
4)일반 서민에게 영향을 끼친 도교 경전 -<태상감응편>, <음즐문>, <공과격>
§도교가 후대에 끼친 영향
1)유가적 입장에서 볼 때 이단에 속함
-개인적인 사유를 가지고 있고, 비합리적(신선술, 신화), 혹세무민(무속과 연관됨)
2)도교 - 중국 역사에서 기존의 체제를 부정하는 사상으로 표출되기도 하였음
3)백성에게 자신의 한과 억울함을 풀어주는 심리적 기제로 작용
4)강한 응집력을 보여 기존 체제를 부정하는 사상으로 표출되기도 함(황건적의 난)
5)동아시아 문화의 핵심을 이룸
제4장 인도불교의 전래와 수용
1. 인도불교의 발생
․석가모니는 석가 족의 성자, 붓다(Buddha)는 깨달은 자라는 뜻
§불교가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
1)긴 역사를 가지고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기 때문
2)자신의 내면을 깊이 성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자각적 정신주의 때문
3)인도의 전통사상을 배경으로 성립했기 때문(윤회설, 업설)
§불교의 비현실적 태도
-자각적 정신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각적 정신주의는 일상적 경험과 반비례하기 때문에 불교는
세상을 대하는 태도가 비현실적이지만 궁극적 목표는 현실의 포용이다.
§무아설
-자아는 자각적 정신체험의 주체이지만 동시에 사물과 자아 사이에 벽을 만들어 자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불변적 주체로서의 자아를 극복하는 것은 불교의 큰 가르침이다.
§불교의 부정논법
-세상 만물은 고정된 의미를 갖고 있지 않으며 자아 또한 불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정논법을 주로 쓴다.
§윤회설과 업설 -인도 전통사상과 연계되어 있다.
1)윤회설 -우주 전체에서 생명을 보고자 하는 것
-고통 속에 살고 있지만 해탈이 가능하다고 주장(전통 인도사상과 다른 점)
2)업설 -전 행위가 그 다음 행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先業善果, 인과응보)
-숙명론이 아니라 우리의 자유의지와 노력이 헛되지 않음을 보증하는 이론(자신이 책임짐)
§부파불교
실천적 수행보다는 이론에 치중하는 불교로 출가자위주의 불교가 되었음을 말한다.
1)석가의 가르침을 경, 율로 문자화(법등명 :법을 등불로 삼아라)
2)체계적으로 이론화한 논서들을 정비
3)출가수행주의, 철학으로서 불교발전(전문 사제의 길로 가야 해탈을 이룬다고 생각)
4)대승불교가 일어나면서 소승불교라고 비판을 받음
-출가수행주의에 의하면 일반인은 해탈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대승불교
1)석가의 삶으로 돌아가자
2)재가신자 입장 대변(스스로 해탈의 주체인 보살이 될 수 있다는 자각적 실천운동)
3)불 중심의 불교운동
4)중관학파(반야공)와 유가학파(유식공)가 대표)
2. 중국의 불교수용
․인도 불교의 중국 수용은 인도문명과 중국문명의 연속적 상호작용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봐야함(두 문명의 융화 형태)
§언어와 사고의 차이
구분 |
인도문명 |
중국문명 |
언어 |
굴절어 |
비굴절어 |
복음절 |
단음절 | |
표음문자 |
표의문자 | |
체계적 문법 |
체계적 문법 없음 | |
사고 |
우주론적, 추상적 |
경험적, 역사적 |
극단적, 복잡 |
구체적, 간결 | |
치밀한 논리 |
비유적 | |
특징 |
정신주의 |
현세적 |
⑴초기 수용 단계
- 한대 유학의 취약성이노출된 후 자리잡기 시작(중국의 불교수용은 한대 유학과의 노변증법적 종합이기 때문이다.
- 후한 초기 불교의 전파와 한의 멸망부터 위진 시대까지(의탁불교시대, 격의불교시대)
- 위진 시대는 현학의 시대로 도가사상이 불교를 받아들이는 매개 사상이 됨
(도가사상으로 불교사상을 받아들임-불교의 공은 도가의 무와 같다고 생각)
- 의탁불교(依託佛敎) : 토착용어와 개념의 단편적 차용
- 격의불교(格義佛敎)
: 체계적인 불경 번역 이론 마련
: 차용한 개념들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불교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고 함(개념 짝짓기, 단순대비)
⑵토착화 단계
- 한족과 이방민족이 남북으로 권역을 나누어 공존하던 남북조시대
- 남중국 불교 :귀족불교, 학문불교, 도교교단이 발달된 상황에서 불교가 어울려 나타남
(혜원,지둔)
- 북중국 불교 :불도징이 개척,국가불교, 폐불행위, 선관위주의 실천적이고 정신적인 문제를 추구
6세기 폐불사건은 중국불교의 독자성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도안, 구마라습)
제5장 수당시대의 이론불교
1. 중국 불교의 자주적 모색
§중국화 과정에서의 폐불 이유
1)중화적 세계관
2)천명사상과 전통적 국가관
3)효 윤리에 어긋나는 출가의식
4)육체가 소멸해도 정신이 윤회한다는 영육의 분리론에 대한 반발
§수․당 불교의 탄생 배경
1)정치적 혼란으로 인한 백성들의 불안
2)북조의 무제의 불교 탄압은 중국 불교를 심오하게 만들고 제 종파를 발생케 했다.
-석가의 가르침이 계통을 따라 자신에까지 이어졌다는 관념을 ‘사자상승’이라고 함
3)불경을 통일적으로 해석하려고 함(이론의 문제)
-여러 경전의 차이를 인식하고 전체를 하나의 틀로 통합하려는 ‘교상판석’을 시도함
4)중국 역사 속에서 불교를 실현하려고 함(실천의 문제)
§불교 종파
1)교학적 차원 :천태종, 화엄종
2)실천적 차원 :정토종, 선종
3)인도의 학파가 중국에 이전된 것 :삼론종, 법상종
2. 천태종
§지의(538~597) : 천태종 조사
-<법화경>을 석가의 최종적 가르침으로 보고 중국의 역사적 조건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함
-고고한 마음에도 숙명처럼 깃들어 있는 악의 실태를 솔직하게 고발하는 바로 그 지점에 진리를
구현해 가는 결단의 중요성이 있음을 강조
-열반학파를 수용하여 남중국 불교의 맥을 이음
§오시팔교 -천태의 교판
-<법화경>에 단계적인 깨달음의 이치가 들어있다는 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천태종의 진리관
-중관학파의 공관(세계를 ‘공’으로 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삼제(空, 假, 中)를 ‘지관’으로 통일함
§천태종의 세계관
-선악의 요소가 모든 세계에 공존하고 있다는 ‘선악상즉론’
§천태종의 인간관
-천국과 지옥에 이르는 각 계가 단계적으로 중첩되어 있다는 십계호구설(十界互具設)
3. 화엄종
§화엄종의 형성 -지론학파를 수용하고 남북의 불교를 종합
-두순에 의해 성립되고, 지엄이 이론적 기초를 다지고, 법장이 완성
§화엄의 세계관 -‘중중무진’의 ‘본래적 일승교’를 바탕으로 사법계설을 주장
-화엄은 사람이 개입되지 않고 사물이나 사건이 다른 사물이나 사건과 직접 원만하 게 상호 작용하는 ������사사무애(事事無碍)������의 세계
§화엄종의 시각 -인과원만(因果圓滿) : 원인과 결과를 서로 역전시켜 봄
§화엄종이 천태종보다 더 널리 퍼진 이유
-유학적 성선설을 정통으로 삼으려는 중국의 전통적 사유에 더 근접했기 때문
제6장 수당시대의 실천불교
1. 정토종
§정토사상
-진리를 찾으려는 마음인 보리심과 아미타불을 부르면서 항상 부처를 생각하는 칭명염불과 신심이야말로 해탈을 얻는 참된 길이라는 것
-교학적 치장을 걷어내고 일반인 입장에서 부처와 쉽게 만날 수 있게 하는 실천적인 면이 강함.
-자각적 깨우침을 중시하는 불교의 본질과 모순을 이룸
§삼신관
-부처의 몸이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것
1)법신불(비로자나불) -진리 그 자체의 본래적 모습
2)응신불(석가불) -법신불이 특정한 역사에 응해서 나타난 모습
3)보신불(아미타불) -보살 수행의 결과로 부처가 되어서도 영원히 타인을 구제하는 신
§정토종의 주불
-무량수불(無量壽佛 아미타불) : 영원한 생명을 갖는 부처
1)보신의 의미(보살 수행을 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2)영원한 생명을 가진 부처(인간계와 관계를 가짐)
3)구제력에 대한 신앙의 문제(보살의 타인 구제를 부처의 타인 구제로 승화)
§정토종의 해탈론
-보살의 타인 구제→아미타불의 타인 구제→아미타불의 타인 구제에 대한 믿음
1)보살의 꿈과 실천
2)부처의 보편적 자비와 구제
3)범부의 신앙으로 이행되는 구제
§정토종이 독자성을 유지 못한 이유
-정토종의 가르침이 이와 비슷한 경향을 가진 선종에 융화되어 갔기 때문
2. 선종
1)특정한 경전에 의존하지 않고 자각적 체험의 중요성 강조
2)인도의 정신주의와 중국의 현세주의가 만나서 내린 최종의 결론
3)달마대사(達磨大師) : 중국 선종의 시조
4)혜능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달함 -법보단경(法寶壇經) :혜능의 생각을 기록한 것
§선종의 특징
1)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 문자나 경론에 의지하지 아니 함
2)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 : 스스로 자기 본성을 봄으로써 해탈을 이룸
3)스승과 제자가 직접적 만남을 통해 이심전심의 방법으로 부처의 마음을 이어가는 사자상승의 전
통을 중요시함(응집력의 바탕이기도 했지만 폐쇄적인 종파의식이 강화되어 퇴조의 원인이 됨)
§선종의 형성 배경
1)인도 불교의 전통으로 좌선이 공통적 지반을 형성
2)천태의 지관사상
3)화엄사상과 정토사상(범부의 구제 가능성)이 선을 형성하는데 더 기여함
§선종이 형성되는 사회․정치적 배경은 회창의 페불사건
당대 회창의 폐불사건때 영향을 받지 않은 이유
1)경전이 불탄 교종에 비해 마음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2)산간의 산 지역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3)승려 백장이 청규를 만들어 자립적 운영방식으로 승단을 운영했기 때문에
§인도불교는 선종에 이르러 긴 중국화의 과정을 마무리짓고 중국불교의 완결된 모습을 갖추었다.
제4부 절정기 : 성리학의 성립과 굴절
제1장 북송시대 주자학의 태동
1.북송중기의 유학부흥운동
§유학 부흥운동의 방면
-유학의 전통의 반성과 불교․도교에 대한 비판
§유학 부흥을 위한 유학 전통에 대한 비판
1)문학방면
①고문운동(당나라 한유에의해 전개된 것을 북송학자들이 이어 받으며 구양수에 이르러 절정)
②문장에 유가의 도를 담아야 한다고 주장
③고문운동가들의 문장관은 주돈이의 ‘문이재도’라는 말 속에 잘 나타남
2)사학방면
①역사가의 역할은 역사적 사건에 대해 시비를 평가하는 기능이라고 주장
②<사기>의 기전체 서술을 반대하고 <춘추>의 편년체 서술을 높임
3)경학방면
①경의(경전 전체의 뜻)와 성인의 생각을 헤아려야 한다며 해석의 폭을 넓혀감
②경전 주석의 틀을 벗어나 유학의 도를 깨닫는 것을 중요시함
③경전 암송이나 시부 짓는 일을 비판하고 경의의 천명을 과거의 내용으로 삼음
§도통론
1)유학 부흥운동의 초점은 경전의 뜻과 성인의 도를 드러내고 밝히는 것
2)성인의 도와 그 계통을 문제삼는 도통론이 제기됨
3)도통론은 정통론과 이단론으로 연결됨
*불교나 도교에 대해서는 도통론의 입장에서서 반이단 투쟁을 전개한다.
§주자학의 등장 배경
1)적극적 문치시행, 중앙집권 강화, 과거제 도입
2)전국적 유생층의 형성(유학부활운동의 물적 토대)
3)도교와 불교 배척
§주자학의 성격
-성리학을 겉은 유학 속은 불교라는 뜻으로 외유내불(外儒內佛), 양유음불(陽儒陰佛)이라 함.
2. 북송 시대 주자학의 선구자
§북송오자(北宋五子)/주자학의 선구자
1)주돈이(周敦頤, 호 濂溪, 1017~1072)
2)소옹(邵雍, 호 康節, 1011~1077)
3)장재(張載, 호 橫渠, 1020~1078) - 기철학의 대가
4)정호(程顥, 호 明道, 1032~1085) - 정이와 형제로 두 사람을 이정이라고 부르기도 함
5)정이(程頤, 호 伊川, 1033~1107) - 주자학을 정이와 주돈이를 합쳐 정주학이라고도 함
§주돈이
1)북송 성리학의 선구자(맹자 이후 끊어진 도를 이은 인물로 추앙을 받음)
2)주돈이의 태극도설
-무극과 태극으로부터 음양,오행을 거쳐 만물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림으로 그리고 해설
(우주발생론이다. 태극도설의 사상은 주역 계사전에 있는 사상이 바탕에 깔려 있음)
-도가의 영향으로 태극 앞에 무를 설정하고 태극도에서 무극을 그려 넣음
(주희는 태극이 무극이고 무극이 태극이라고 설명하면서 태극에다가 형이상학적 성격을 부여함)
3)통서
-성(誠)의 철학
-<역전>, <중용>, <맹자>를 서로 소통시킴(경전끼리는 서로 통한다고 생각)
-<중용>의 ‘誠者天之道也 誠之者人之道也’에서 성의 철학을 끄집어 냄 :하늘과 사람을 연결시킴
(정성스러운 것은 하늘의 도요 그것을 본받는 것은 사람의 도다)
-천일합일론적 사고(도덕이 우주만물로 확대됨)
-천일합일론적 경지로 가기 위한 방법으로 무욕과 주정, 명통공부(明通公溥)의 마음가짐을 주장
§장재
1)저서 <서명>에서 物我同胞 物我一體(만인은 모두 나의 동포요, 만물은 모두 나의 짝)를 주장
2)안심입명의 세계관(살아서는 성심으로 일할 것이요 죽어서는 편안히 쉬리라)
3)<주역>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일원론의 사상체계를 완성함
-우주란 太虛之氣로부터 발현되는 생명과 움직임으로 가득 차 있으며 사물은 기의 움직임에 따라
만물이 타나났다 사라지는 것에 불과하다는 동적 세계관을 제기
4)천지지성, 기질지성론, 심통성정론(기를 태허지기와 객형지기로 나눔)
§정이
1)리본체론을 주장
① ‘一陰一陽之謂道’ : 한 번 음이 되고 한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고 이른다(주역, 계사전)
② ‘所以一陰一陽者道也’ :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게 하는 것이 도이다.(정이)
③理를 무형의 형이상자인 道라고 보았고, 氣는 유형의 형이하자인 음양이라고 봄
④리를 태허지리와 분수지리로 나눔
-태허지리 :만물의 이치의 근원이 되는 본질적인 리
-분수지리 :개별 사물의 본질을 구성하는 리
2)심성론
-천명지성과 기질지성으로 나눔
-性卽理 :선한 인간의 본성은 태극지리처럼 모든 인간의 본질을 이루고 있다는 것(맹자의 성선)
3)공부론
-경공부(마음에 대한 공부)와 치지공부(사물에 대한 공부)
-무형의 리를 인식하는 것이 格物이며 이를 통해 ‘앎을 이루는 공부(致知)’가 달성된다고 말함
-先知後行論을 제기함
4)인식론
-무형의 궁극적인 리에 대한 앎은 德性之知 -구체적인 사물을 이루는 유형의 기에 대한 앎은 見聞之知
제2장 주자학의 성립과 전개
1. 주자학의 성립
§주자학자들
-중화사상주의적 생각을 가짐 -왕도정치의 입장을 가짐
§주희(朱熹, 1130~1200)
-북송 성리학의 집대성자(북송 성리학자들의 성리설을 정리하고 해석함-『근사록』)
-사서집주 : 사서에 대한 주석을 모으고 자신의 사상을 바탕으로 해석한 책(주자학의 저술중 핵심적 저술)
-저서 : 하남정씨유서, 하남정씨외서 - 이정 형제의 어록
이락연원록 - 이정에서 자기에게로 이르기까지의 학문 연원
태극도설해, 통서해, 정몽해, 서명해 - 주돈이와 장재의 사상을 자기 사상체계로 해석
사서집주, 사서혹문 - 사서에대한 북송성리학자들의 주석을 모아 자신의 완성된 사상체계로 해석
시집전, 서집전, 주역본의 - 유교경전에대한 것
자치통감강목 - 역사 방면
역학계몽, 주자가례등
*사서(四書) : 논어, 맹자, 대학, 중용
3)주희의 <偶性> :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味覺池塘春草夢, 階前梧葉已秋聲
§성리학설(주자학의 내용) -천인합일(天人合一) : 배움을 통하여 사람이 하늘과 하나가 됨
-천 : 리기론(理氣論) -인 : 심성론(心性論) -합일 : 공부론(工夫論)
§리기론(리일원론의 성격을 띰)
1)정이의 리본체론과 계승한 것으로 장재의 기본체론을 종속시킴
2)만물은 리(理)와 기(氣)가 결합된 것이다.(理氣不相離, 理氣不相雜)
-기(氣) : 만물은 다양성, 차별성을 가지고 변화
-리(理) : 만물은 불변의 모습, 원리와 동일성의 존재
3)리는 선한 것․영원한 것, 기는 선과 악이 혼재하는 세계
4)리는 기를 낳고 기는 생멸함
§심성론
1)맹자의 성선설을 정통으로 보고 정이의 성즉리의 설을 바탕으로 한 이원론적 심성론 전개
2)인간의 선한 부분을 성(사단), 인간의 악한 부분을 정(칠정)으로 봄(인간을 이분적으로 봄)
3)심통성정론과 본연․기질지성론 및 인심도심설을 통해 심성론을 전개함
①심통성정론
-심은 성과 정을 아우른다고 봄
-심에 체용론을 적용하여 성은 심의 체, 정은 심의 용으로 봄
-성을 심의 미발(마음먹기 이전 단계), 정을 심의 이발(마음먹고 행위로 옮겨간 단계)로 설명
②본연․기질지성론
-장재의천지,기질지성론과 정이의 극본궁원,기질지성론을 이어받아 본연․기질지성론 전개
-본연지성은 기질지성의 본래 상태,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이 기질의 영향을 받아 전화된 형태
③인심도심설
-인심 :욕망에 좇아 지각하는 것
-도심 :리에 뿌리를 두고 도덕원칙에 합치하도록 지각하는 것
§공부론
1)존덕성과 도문학에 기반을 둠
-존덕성 :마음에 대한 공부(정이의 경공부)
-도문학 :외부 사물에 대한 공부(정이의 치지공부)
2)지와 행의 길이 있음
지-격물치지格物致知(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 활연관통(긍극적 진리, 절대적 진리에 이름)
행-경을 통한 마음공부
3)앎 공부가 먼저이고, 서로 영향을 미친다.(지선행후)
4)지와 행은 함께 나감-지행호발병진知行互發竝進)
2. 주자학의 전개와 논쟁
§중화 논쟁
-장식과 마음의 존양공부에 대해서 토론
-중화구설 -마음먹고 행위로 옮겨갈 때 공부가 중요하다.(이발지심)
-중화신설 -마음바탕공부가 중요하다.(미발지심)
§왕패 논쟁(利와 義의 문제)
-진량과 도덕과 공리, 왕도와 패도의 문제에 대해 논쟁
-주자학자들은 행위 등을 의에 놓고 있다.(동기주의)
-의에 바탕 했을 때 도덕이고 왕도정치로 이어진다고 생각
-진량은 의와 리가 상호연관된 것으로 도움을 준다고 생각
-극단적인 의리중심, 극단적인 왕도를 비판
§아호논쟁
-아호에서 육구연과 존덕성, 도문학의 공부 문제에 대해 토론
-육구연(陸九淵, 1139~1192)은 도덕적 완성에 이르는데 있어 지를 행에다 종속시킴
(독서공부는 보다 마음공부가 우선)
-주자학에서는 지와 행은 함께 나감
§허형(許衡, 1209~1281) -원대 성리학자, 원대에 주자학은 관학으로 인정받음
제3장 양명학의 등장과 분화
1. 양명학의 성립
§양명학이 나오게 된 배경
1)사상적 배경
-주희가 죽기 직전 주희의 학문은 거짓 학문으로 몰려 금지됨
-원나라에서 과거제를 부활하면서 주자학이 관학으로 자리를 잡음(학문적으로 경색화됨)
-명대에 들어와 만물의 이치를 중시하는 리학에서 마음의 역할을 중시하는 심학으로 학문의
중심이 바뀌기 시작하였다
-진헌장과 담약수는 주자학은 마음과 이치를 둘로 나누어 이원구조로 보았지만 마음과 이치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봄(인간주체를 중시하는 사상적 기반 마련)
2)사회적 배경
-명나라가 쇠퇴하게 되는 원인은 황실과 환관, 훈척들의 토지겸병 심화로 경제적 부담을 안게된
농민들의 봉기가 확산된 데에 있었다.
-주자학이 사회적 위기를 타개하는데 무력했기 때문에 새로운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남쪽 지방의 상품경제가 발달하면서 자본주의적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함
§양명학이란?
-왕수인(王守仁, 1472~7528)의 호인 양명을 따서 붙인 이름(양명학의 선구자는 육구연)
-心卽理는 양명학의 가장 중요한 명제로서 내 마음이 곧 이치라는 뜻
-)양지양능이란 ‘맹자’에 나오는 말로서 배우지 않아도 알고 연습해보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천부적인 능력을
가리킴
(양능 :학습하지 않아도 할 줄 아는 것, 양지 :마음의 본체, 배우지 않아도 알고 있는 것)
-만물일체론, 지행합일을 주장(앎이란 실천의 시작이며 실천이란 앎의 완성)
-치양지론
:치양지란 마음과 이치가 하나로 합일된 경지로 인간 자신이 타고난 도덕적 자각을 완성한 상태
-사상마련 : 체인(體認)의 과정은 구체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2. 양명학의 분화
§오카다 다케히코의 주장
구분 |
현성파(좌파, 태주학파) |
귀적파(우파) |
수중파(정통파) |
대표학자 |
왕간, 왕기, 이탁오 |
섭표, 나홍선 |
추수익, 구양덕 |
학설근거 |
왕수인 만년의 치양지설에 근거 |
왕수인 중년의 주정설(主靜說)에 근거 |
현성파와 귀적파의 입장을 지양 |
중요주장 |
양지는 언제나 이루어져 있다.(當下卽現成) |
양지를 빈 듯하면서 고요한 본체와 외물과 만나 드러나는 작용으로 나눈다 |
현성파의 자유방임과 귀적파의 정(靜)에 치우치는 경향을 모두 부정한다. |
수양방법 |
마음을 솔직히 드러내는 것을 중시(욕망을 긍정하는 쪽으로 나아감) |
귀적(歸寂)을 본체로 삼아 그 작용을 달성 |
치양지는 격물이 중요. 따라서 주희의 궁리와 독서가 필요. 성의(誠意) 공부 강조 |
결과 |
돈오(頓悟)적 입장. 공부 경시. 전통적 인륜, 도덕을 무시 |
양명학의 역동성을 상실. 주자학에 가까워짐 |
주자학에 가까워짐 |
§양명학의 분화는 양명의 말에 대한 왕기와 전덕홍의 이해가 달랐던 것에서 시작됨.
-왕기 -四無說 :내 본모습이 각각의 현실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가 중요하다.(본모습 중시)
-전덕홍 -四有說: 마음을 어떻게 깨달아 갈 것인가(공부의 과정)가 중요하다.(공부 중시)
§황종희(黃宗羲, 1601~1695) -7개 학파로 나눔
§왕간은 양명학을 아주 간단하면서도 쉽게 이야기했기 때문에 농부, 나무꾼들도 함께 했다.
-하는 일이 달라도 같은 길을 간다는 이업동도의 동지의식이 나타남.
-회남격물설 :양명의 마음 중시에서 몸을 중시하는 쪽으로 나아감(개인생명중시)
-일상생활 속에 진리가 있으며 사람이 다 진리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
-실천을 중시함(명철보신론)
-물질적 생활의 중요성 강조
-명철보신론 :남의 몸도 내 몸처럼 아낌으로 덕을 지닌 사람들만이 가득한 대동사회 건설 추구
-왕간의 사상을 하심은이 이음(취화당을 세움, 공동체적 인간-가족을 주목함, 여민동욕)
-하심은의 사상을 이지(李贄, 1527~1602)가 이음(동심설 :동심은 마음의 근본, 삼교일치론 주장)
제4장 명말청초 사상의 등장
1. 경세사상
§명나라의 사회경제적 변화
1)초기 리와 갑이 세금을 공동으로 책임지는 이갑제를 실시
2)명 중기 이후 농업생산물 증가로 인한 상공업, 화폐의 발달로 지주들이 나타나고 농민이 토지를
잃게 되어 이갑제가 붕괴됨
§학문의 변화
1)지식인들은 사회경제적 변화를 보며 반성하여 새로운 학문이 나타나게 됨
2)지식인들의 반성을 통해 정치결사 모임인 동림당이 만들어짐
§동림당
1)양명좌파의 인욕 긍정에 반대, 주자학과 양명학을 조화시키거나 양명우파에 가까움, 환관들의 세
력에 대항, 도덕주의적 경세론 제기(복사가 동림당의 흐름을 계승)
2)대표적 인물 :황종희
§황종희(黃宗羲/1610~1695, 호 李洲)
1)저서 :명대 사상을 정리한 <명유학안>, 유교도덕주의 입장에서 새로운 제도개혁론을 제기한
<명이대방록>(하은주 삼대를 이상으로 삼음)
2)양명우파적인 흐름을 이어받음
3)인간의 중심인 마음을 기로 규정함
4)마음을 구체적으로 사회에 펼치는 방법이 경세사상(<명이대방록>에 잘 나타남)
5)황종희의 기준은 백성으로 임금․신하는 세상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유교의 왕권신수설 부정
-토지는 백성의 소유여야 한다고 주장(정전제 부활주장)
-학교에 교육기능과 비판기능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
6)학문적으로 경학을 중심에 두고 사학을 그 보조수단으로 삼음
7)경세치용론이 군주제 폐지를 주장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의 주장 속에는 계몽주의적 사고가 담겨있음
2. 기철학
§명대 사상의 흐름
-리학에서 심학으로, 심학에서 기학으로 바뀜
-기를 중시하는 것은 구체성, 현실성을 중시하는 것
-주자학과 양명학이 외세의 침입이라는 시대적 문제에 대응하지 못하고 학문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데 대한 반성으로 제기됨
§왕부지(王夫之/1619‐1692, 호 船山)
-기론(氣論)를 바탕으로 실재론 입장의 사상을 전개
-형이상학을 부정, 현실 위에서 사물을 보고 현실 속에서 바꿔가야 한다고 주장
-기(器)라는 개념을 통해 사물의 구체성을 확보하고, 현실의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까지 끌고 나오려고 함
(器는 구체성과 추상성을 함께 아우르는 개념, 氣는 器의 생성원리)
: 이 생각을 잘 나타낸 사람이 장횡거(張橫渠/1020‐1077, 호 載)
-리의 독자성을 인정하지않고 기에 종속시키는 기일원론을 펼침
-저서 :장재의 <정몽>을 해석한 <장자정몽주>
-기로써 만물을 해석해서 구체적인 현실을 설명하려는 속에 중국민족주의가 담겨 있음 (유물론적사유)
§안원
1)왕부지의 흐름을 이음
2)민족주의적 정신이 보이지 않음
3)주자학의 권위주의적인 면과 공리공담의 문제점을 지적
§ 대진(戴震/1723‐1777)
1)왕부지의 생각을 구체적인 변화의 모습으로 끌고 감(기철학의 완성)
2)성리학과 대립하는 입장에 섬(저서 :<맹자자의 소증>)
3)주자학적인 리를 부정하고 오직 기만을 본질적인 것으로 봄
4)기가 드러난 결과인 욕, 정, 지에 대한 긍정
-기질지성만 강조, 기철학을 유물론적 철학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 제공
5)낮은 자리에 있는 자, 천한 자 등을 업신여기고 벌을 준 것이 성리학이었으며, 주희가 주장한
리로 많은 사람이 죽을 수밖에 없었다고 주자학을 비판(기성질서에 대한 도전)
6)기를 통해 인간의 욕구를 긍정하는 사상을 끌어냄(실체적, 객관적)
7)자연적, 감성적, 근대적인 인간의 모습으로 인간을 이해
3. 고증학
§고증학(考證學)
1)일종의 문헌학. 실증주의적 입장에서 문헌 고증을 통해 고전을 정리하고 해명하려는 노력
-유학의 흐름 : 한대 훈고학 → 당대 사장학 → 송명대 성리학 → 청대 고증학
2)한대 훈고학과도 비슷(청나라의 한학이라고도 부름)
3)도덕주의적으로 해석하려는 성리학자들을 비판(경전은 학문적 연구의 대상)
4)경학과 사학이 같이 어우러진 모습을 보임
5)고전 속에 후세에 만들어진 글들을 찾아내는 작업을 함
-긍정적 측면 :학문적인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해줌, 자유로운 비판 전개, 학술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됨
-부정적 측면 :사상적 빈곤, 학문의 사회적 역할 상실(학문을 위한 학문)
§고증학이 나오게 된 배경
1)청나라의 정치적 상황
-‘문자의 옥’ 등 한족 지식인들의 학술활동에 대한 사상통제로 고전에 몰두할 수밖에 없었다.
2)청나라의 대규모 편찬사업
3)명말 이래 자유로운 분위기의 확산-경전해석의 자유로운 해석 분위기가 나옴
§고염무(顧炎武/1613~1682, 호 享林)
1)실사구시의 학문을 제창
-유학자들이 리기․심성과 같은 공리공담에 빠져 경전에 담긴 치국평천하의 도에 소홀하다고 비판
2)<일지록>
-경학에 중심을 두면서도 지리․역사․풍속․제도 등에 이르는 광범위한 고증과 비판을 담음
3)주자학을 배제하고 경학과 사학을 바탕으로 한 경세론에 뜻을 둠
제5부 새로운 모색기 : 동서 문명의 충돌과 융합
제1장 서양문명의 충격과 대응
1. 중국 근대의 개막
§아편전쟁(1840~1842)
-중국 근대사의 개막이자, 수천 년 간 이어온 중국적 세계의 붕괴를 가져옴.
§태평천국의 난(1851~1864)
-청조 타도 운동. 반봉건, 반제국주의적 민족 운동. 역사상 최대의 농민 운동
-풍운의 이상주의자 : 홍수진 홍인간
-시련과 모색, 중국 근대의 특성
1)통치집단 안에서도 봉건적인 통치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더이상 지배권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깨달음이 일어남
2)서양의 방법을 빌려 개혁을 실행하여 봉건정권의 강화와 봉건통치를 유지․보호해야 한다고 주장
-태평천국운동은 양무운동을 일으킨 내적인 계기가 됨
3)양무운동의 취약성은 청일전쟁의 패배로 이어지고 변법유신운동이 일어남
4)중국 근대의 특성
-서구 제국주의 세력의 폭력적 침탈에 의해 전개된 제3세계로서의 근대로 향하는 길
-근대 문명의 형성과정은 서구 문명의 수용과정
2. 청나라 말기 사상계의 동향
1)사상가들의 특징 -시대의 과제에 응답하는 사상을 제안
2)사상계 -주자학(봉건적 질서), 고증학(정치적 무관심), 공양학(봉건적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함),
태평천국운동을 비롯한 민중운동(담당 주체가 피지배계급, 제국주의적 침략에 저항)
§중국 근대화의 전개
1)구조면 -봉건적 자연경제의 해체
2)지배문화면 -봉건적 군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신분질서 체계의 해체
3)사상사면 -유가통치이념의 해체, 주자학적 관념체계의 해체
3. 양무파의 중체서용론
§장지동(張之洞/1837~1909)
1)“구학을 체로 삼고 신학을 용으로 삼는다.” (舊學爲體, 新學爲用)
-아편전쟁시기 임칙서가 주장한 것과 일맥상통함
-중요한 점 :서양과 중국을 연결함, 연결함에 있어 체용이라는 전통적인 범주를 사용
2)“중학은 내면적 공부이고 서학은 외면적 공부이다. 중학은 몸과 마음을 닦는 것이고, 서학은 세상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권학편>
①서양 학문의 필요성 인정을 인정
②중학의 서학에 대한 우위성 유지(논리면에서 절충주의)
③중학은 심신 수련만 하는 것, 서학은 세상일을 처리하는 기술적인 것으로 국한시킴
(내용면에서 봉건윤리의 옹호)
§중체서용론
-성리학의 체용론을 취함
-체용범주의 특징
①체와 용은 분리될 수 없다.
②체가 우선성을 갖고 있다.
-중국은 그대로 있고 서양의 과학 기술만 들여오면 중국의 지배체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함
4. 변법파의 동도서기론
§변법파
-민권, 의회, 입헌군주제와 같은 핵심적인 원리까지도 도입하자는 주장을 함
-변법파 이론가 -강유위, 담사동, 양계초, 엄복
§주희의 도기 범주
-첫째, 도와 기의 통일성
-둘째, 도체기용(道體氣用) :도가 우선성을 가짐(왕부지는 기에 우선성을 주장)
§담사동(譚嗣同/1865~1898) -동도서기론 주장
§담사동의 도기론
-‘중국의 윤리질서를 도’로, ‘서구문명의 과학기술을 기’로 연결 -왕부지 도기론의 근대적 수용
-도기론의 핵심 - “기가 본체이고 도가 응용이다(器體道用)”
-기체도용설의 논리구조
①도와 기는 통일돼 있다.(기체도용의 대전제)
②기가 우선성을 갖는다.(기체도용의 대전제)
③기는 변화한다.(기체도용의 소전제)
④따라서 도는 변화한다.(기체도용의 결론)
-변법사상을 구성하는 세 가지 축
-오늘날의 법, 옛날의 법, 서양의 법(여기서 법의 의미는 문물제도)
-현실적 대안은 서법에서 옴(서양 문화의 전폭적 수용)
-담사동의 봉건윤리 비판 - “윤리의 그물을 찢어 버려라!(衝決網羅)”
§담사동을 비롯한 변법파의 개혁운동 실패 이유
-사상적, 실천적 한계가 드러남 -황제의 권력에 의지함
-당시 변화의 실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부족
:서양의 의회제도만 받아들이면 모든 문제는 해결된다는 의식
서양제국주의에 대해 고민한 흔적이 없다.
-대중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않음, 역사에 대한 통찰 결여
제2장 서양사상의 창조적 수용
1. 5․4신문화운동의 구호, 과학과 민주
§신청년(新靑年, 1915년 창간)
-구도덕과 구문화를 비판하고 신사상, 신도덕과 신문화를 제창한 계몽지
-신청년을 통해 사상 해방운동의 계몽이 일어났으며 겉으로 표출된 것이 5․4운동
1§5․4운동
-백화문을 제창하고, 봉건도덕을 반대(도덕혁명)
-민족문화에 대한 반성과 비판
-과학주의에 대한 추구
§진독수(陳獨秀/1879~1942)
-신문화운동의 대표자, <신청년>의 창간인
-‘과학과 인권은 함께 중시하여야 한다’고 주장(5․4시기의 구호인 ‘과학’‘민주’를 잘 요약한 말)
§5․4시기의 민주
-덕선생(德先生, Democracy) -서양 근대의 민주 공화정, 천부인권론을 뜻함
§5․4시기의 과학
-새선생(賽先生, Science)
-과학적 사고방식, 사회고학과 자연과학의 지식을 뜻함
-과학이론에서 다윈의 진화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물리학의 방사성학설 등을 중요시함
§5․4시기의 신사조의 특징
-타도!공가점(打倒孔家店) :반봉건적 구호(공자를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비판)
*공자비판의 의미 :공자를 직접 비판, 정치 비판과 개성해방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가 대안으로 부각
-진독수와 이대소에 의해 도입, 중국 근대화의 노선으로 제시됨, 이를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짐
§1919년 이후 일어난 논쟁
-‘문제와 주의 논쟁’, ‘사회주의 논쟁’, ‘무정부주의 논쟁’, ‘과학과 인생관 논쟁’, ‘동서문화논쟁’
2. 5․4운동기 전후의 서양사상수용과정
§서양 사상의 이해 과정
①중국이 낙후된 근본 원인이 문화에 있다고 봄
②문화가 발달하지 못한 원인을 과학과 민주의 결핍으로 봄
③허무주의, 과학주의 사조가 유포됨
§대표적 서양사상
-허무주의 -니체의 사상, 무정부주의, 전통과 권위에 대한 부정
-과학주의 -호적 :‘대담하게 회의하고 세심하게 증거를 구하라 ’, 당연한 것에 대한 비판과 회의,
전통에 대한 비판과 부정
-진화론 -우상과 미신을 파괴하기 위해 사용
§진화론의 전파 과정
① 무술변법 시기 – 엄복
-‘생존경쟁’, ‘자연도태’, ‘적자생존’의 관점을 이용 ‘자강’이론을 만들었다.
-서양의 진화론과 다른 점
:사회진화론으로 확대 해석 수용(스펜서와 헉슬리의 견해는 열등민족도태의 제국주의적 이론)
② 신해혁명 시기 – 손문
-민주혁명의 역사적 필연성을 논증(사회의 진화단계 :홍황시대→신권시대→군권시대→민권시대)
③ 5.4운동 시기 – 진독수, 이대조 등(낡은 더덕과 문학을 반대 새로운 도덕과 문학을 제창)
§칸트와 헤겔의 사상 수용
1)칸트의 사상
-사회적으로 민주와 자유를 쟁취하기 위한 사상적 무기 제공
2)헤겔의 사상
-사회적으로 마르크스주의의 핵심논리인 유물변증법에 대한 이해를 위해 소개됨
§서양사상 수용의 적극적 영향
-봉건사상에 반대하고 과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를 얻음
§서양사상 수용의 부정적 영향
-서양 문명에 대한 무비판적 숭배, 절대적 이론으로 받아들여 비판이 없었음
3. 동서문화논쟁의 전개와 사상특징
§논쟁의 발단
-양계초는 <구유심영록>이란 글에서 서구 유럽의 전쟁에 의한 멸망, 서구 유럽의 문화적 성과들의
파탄에 대해 쓰면서 과학과 민주가 전쟁의 도구이며, 과학은 파산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함
§동방문화서화파의 주장(양계초-장지동의 ‘중체서용’의 관점과 비슷)
① 서구의 과학 민주문화 파산
② 중국 농업경제의 우월성
③ 유학 중심의 동방문화의 가능성
§전반서화파의 주장(진독수, 이대조, 구추백 -사회주의 주장)
① 소농경제로의 회귀 불가
② 서양문화의 전면부정 불가
③ 미래 세계문화 추구
§동서문화논쟁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
1)동방문화본위파 -양수명 <동서문화와 그 철학>
①문화에 있어 민족성이 가장 중요하다.
②동서문화의 차이는 양적․시간상․공간상․질적․정신상․문화노선․민족적인 차이
③중서지쟁은 고금지쟁과 다름
④현대화가 서양화는 아니다.(현대신유가들의 이론에 있어 논리적인 출발점)
④인류문화를 중국(욕망조화형)․서양(욕망추구형)․인도(욕망억제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
2)전반서화파-호적(총체적 서구화 주장)
①동서문화의 차이는 발전속도․시간상․양적 차이
②중서지쟁은 고금지쟁과 같다.
③현대화는 서양화이다.(잘못된 관점 :문화의 시대성에만 주목함으로 중국문화의 전통 무시)
4. 과학과 인생관 논전
§배경
1)신문화운동기의 전통 파괴에 대한 반동
2)서양 사상의 급격한 수용(서양 사상의 인본주의와 과학주의)
§인생관파
1)장군매, 양계초
2)정신문명과 동양문명을 강조
§과학파
1)정문강, 호적, 오치휘, 왕성공
2)물질문명과 서양문명을 강조
§논전의 결과
1)마르크스주의가 청년대중 사이에 널리 유포되고, 과학이 역사유물주의의 다른 이름이 됨
2)우익진영의 사상이 두 개의 노선, 두 개의 진영으로 나뉨
①과학적․실증적인 입장은 철저재건론
②도덕주의적․형이상학적 입장은 현대신유학
제3장 마르크스주의의 전파와 모택동 사상의 발전
§마르크스주의와 모택동 사상 발전 단계
①제 1단계/1918년~1927년 : 마르크스주의 수입기, 이대조․진독수
②제 2단계/1927년~1949년 : 모택동 사상의 성숙기, 구추백․모택동․유소기
③제 3단계/1949년~1976년 : 모택동 사상의 절대적 지배기
④제 4단계/1976년~현재 : 새로운 모색기
1. 마르크스주의의 수입
-러시아혁명은 5․4운동시기의 진보적 지식인들을 자극
-이대조는 <신청년>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보급
-마르크스 원전이 아닌 일본 학자의 해설서를 통해 받아들임
-마르크스 이론 중 유물사관, 계급투쟁설을 집중적으로 받아들임
§이대조
-과학과 민주를 사회주의적으로 재해석함
:민주는 서민의 민주, 노동자의 민주
과학은 유물사관
-호적과 함께 ‘문제와 주의 논전’을 일으킴
-실제 행동의 지침으로 삼은 것은 유물사관, 계급투쟁설
§유물사관이 진화론보다 설득력이 있었던 점
-경제적 토대, 상부구조, 이데올로기 등에 대해 이성적 설득력을 지님
-중국 전통의 유토피아사상들이 계급투쟁설을 받아들이는 토양이 됨
§초기 중국 마르크스주의의 특징
-인민주의(Narodnickism) : 자본주의를 거치지 않고 농촌, 농민을 기반으로 사회주의 건설
-도덕주의(相互扶助論) : ‘서로 돕기’를 통해 계급투쟁설의 단점 보완
2. 모택동 사상의 성숙
§구추백(瞿秋白/1899~1935)
-1단계와 2단계를 매개하는 인물
-변증유물론을 우주관과 방법론으로 삼아 역사․인생․사회․혁명을 해석
-민중의 무장폭동을 주장(이론적 인식에 의한 결론이었다.)
§변증유물론이 요청된 배경
1)다른 유파들과의 논쟁을 통해 자신들의 이론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
2)공산당 내부에서도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여러 갈래가 있어 과학적 해석이 필요했음
§모택동(毛澤東/1893~1976)
-유물변증법을 중국의 현실문제에 적용
<중국 사회 각 계급의 분석> <호남 농민운동 고찰보고> <작은 불씨가 요원의 불길이 되어>
<중국에서 붉은 정권의 수립은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가> <정강산의 전투>
-실제적 경험을 중시하며 군사투쟁의 성격도 띠게 됨
-전통적 개념의 실사구시를 마르크스주의를 이해하는 개념으로 재해석
:실사구시(實事求是)
:실사(實事)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다.
:시(是)는 객관사물 내부의 관계로서 바로 법칙성이며, 구(求)는 우리들의 연구이다.
-혁명전쟁과 군사투쟁의 경험과 이론을 사상의 높이까지 끌어올려 <실천론>, <모순론>을 발표
5)실천론
①심리와 논리의 상호통일
②실천을 진리의 표준으로 삼는 ‘변증법적 유물론의 인식론’을 제기
-인식론에서 강조한 것은 직접경험과 지행합일
③인간이 다른 사물과 구분되는 類的 본성은 ‘자각적 능동성’과 ‘이론과 실천의 결합’
-‘자각적 능동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실사구시’를 강조(자각적 능동성과 경험이성의 결합)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중국 혁명의 실제상황이 결합한 산물이자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④실천론을 경험론적 유물론이라고 한다.
6)모순론
①교조주의를 반대하는 이론
②모순의 보편성과 특수성, 주요 모순과 주요모순의 동일성과 투쟁성 등의 이론을 제시
③변증법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을 하나로 환원시킨 점
3. 모택동 사상의 절대적 지배
1)건국이후 단기간에 사회주의적 개조를 완성한다는 방향으로 생각을 바꿈
2)생산력이 걸음마단계에 불과함에도 생산력이 고도로 발달한 단계에 대해 적용되는 마르크스주의
적 사회체제를 중국 사회에 적용하는 무리한 생각
3)정치분야만을 선구적으로 변화시키려함(생산관계만을 변화시키려함)
-문화대혁명이 발생하게 됨
§문화혁명기의 모택동 사상
-계급투쟁 강조, 주관 능동성의 강조, 도덕지상주의
-극단적인 주관주의로 흘러 실사구시의 사상 원칙에서 벗어남
4. 새로운 모색과 혼돈
1)1980년대 중반 중국의 지식인들은 ‘인도주의’를 중국적 마르크스주의의 특징으로 채택
2)이것은 유물사관을 기초로 한 마르크스주의의 토대를 흔드는 새로운 모색과 혼돈의 시작이다.
제4장 중국 종교와 사상의 현단계
1. 새로운 시작-인간을 위하여
-중국공산당의 경제발전의 기본 전략
모택동 사망→개혁․개방→사회주의 상품경제→사회주의 시장경제
-개방구를 통해 서구에서 유입되는 사상은 대부분 비이성주의와 인도주의 사조였다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유행은 마르크스주의를 ‘인간을 중심으로 하며’, ‘인간이 마르크스주의의
출발점이자 귀결점’이라고 강조, 문화대혁명과 중국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반성을 불러일으킴
-서구사상의 유입은 천안문사태의 사상적 배경이 됨
:니체, 쇼펜하우어, 사르트르 등의 비이성주의적 인본주의 등
-비이성주의는 ‘문화열’과 연관되어 계속적으로 탐구됨
2. 문화열 논쟁의 제기
§‘문화’ 의미의 변화
-문화에는 근대화를 이루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5.4 신‘문화’운동 → ‘문화’대혁명 → 사회주의 신‘문화’ → 문화열(文化熱)
§문화열 -중국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진단과 전망을 둘러싼 논쟁 즉 정체성에 대한 논쟁
①개혁개방 이후의 현 단계를 성찰하고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②서구 자본주의문화와 중국 사회주의 문화가 충돌한 것이 그 배경이다.
③문화연구 토론의 붐을 뜻한다.
§문화열 발생의 원인
-등소평 집권 이후의 개혁․개방과 4개 현대화의 국정 요구
-근대 이래 서구 문명과의 충돌과 대응의 역사에 대한 반성
-모택동 사상 일변도에서 벗어난 다양한 학술 발전 자체의 요구
§철저재건론(徹底再建論) -자본주의화를 주장
-중국의 쇠퇴원인은 봉건제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서구화해야 한다는 ‘전반서화론’에 뿌리를 둔 입장
-과학자인 김관도, 해석학자인 감양이 대표적 논자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이론을 배경으로 함
-사이버네틱스, 시스템이론, 정보이론, 돌변이론, 무산구조론, 협동학
-전면에 드러난 사건은 하상(河觴 : 황하의 죽음)에 대한 논쟁에서부터이다.
-초안정구조를 갖고 변화를 거부하는 중국문명을 서구문명으로 대체하여 철저히 재건하자고 주장
-천안문 사태(1989년 6월 4일)로 발전됨
-중국공산당에 의해 부르주아 자유화의 주범으로 비판받음
§비판계승론
-모택동사상의 영향 아래 있는 주류 학자들이 대부분 이 입장을 취함
-장대년, 임계유 등이 모택동의 <신민주주의론>에 근거를 두고 전통사상을 잘 따져보아 알맹이와 찌꺼기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받아들이자고 주장
-철저재건론을 맹목적 서구추종이라고 비판하고 유학부흥론은 퇴영적이라고 비판
-사회주의와 민족문제를 조화하며 시장경제를 발전시키려는 고민의 산물이다.
§유학부흥론(儒學復興論)
-전통유학의 부흥만이 서구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
-5․4 시기의 ‘동방문화본위파’와 그 이후의 ‘현대신유가’로부터 기원함
-대표적 논자는 화교학자인 두유명, 성중영, 유술선, 김요기 등
-유학부흥론의 후원세력은 현대신유가와 유교자본주의
-유학, 특히 성리학을 중국의 정통 사상으로 보고 중국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강조
-중국이 자본주의로 나갈 수 없다는 막스 베버의 논증을 그의 논리로 반대함
-유교자본주의론자들은 유교문화(가족주의․성실성․근면성)가 자본주의를 불러올 수 있다고 주장
3. 현대신유가
§현대신유가의 사상특징
-유학 도통론(道統論)의 중시(1단계는 선진 유학, 2단계는 송명대 성리학, 3단계는 현대신유학)
-송명 성리학의 중시
- 서구 관념론의 흡수 융합
- 과학주의 반대
-강한 도덕주의 경향(도덕형이상학의 재구성으로 표현됨)
§현대신유가
-양수명, 웅십력, 풍우란, 모종삼, 장군매, 하린, 전목, 방동미, 당군의, 서복관 등
§웅십력(熊十力/1884~1968) -1세대
-불교의 유식학에서 방법론을 배우고, 유학의 양명학에서 중국문화의 근본정신을 찾음
-‘본체와 현상은 본래 하나(體容不二)’라는 관점
-우주와 인간의 본질은 과학적으로 도달할 수 없고 직관에 의해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
-서구문화에 대한 강한 저항적 태도를 바탕으로 유학을 통해 현대적 도덕형이상학을 구축하고자 함
§풍우란(馮友蘭/1895~1990) -2세대
-주자학의 관점과 개념을 서양의 신실재론의 입장에서 응용하여 자신의 사상체계를 구성(신리학)
-전통사상의 논리화를 지속적으로 추구
-추상계승법이라는 철학 유산 계승방법론을 제시하여 사상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킴
-저서 -<중국철학사>, <정원육서>, <중국철학사 신편>
§모종삼(牟宗三/1909~1995)
-유학의 핵심인 도덕과 심성에 대한 이론들을 도덕형이상학의 체계로 현대화시켜 서구사상의 핵심인 과학과
민주를 내포하고자 함 -유가적 체계로써 서구 현대철학의 정신을 포함하려 함
-과학과 민주를 전통 유학의 도덕과 연결시켜 도덕적 이상주의라는 이론으로 정리함
-도덕이상주의를 도덕형이상학이라고 함
'Blog·Cafe > My Love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종교와 사상 (0) | 2010.03.19 |
---|---|
중국인들은 어떤 종교를 믿을까? (0) | 2010.03.19 |
중국의 종교와 사상 요점2(도표) (0) | 2010.03.19 |
"中 경제, 기적 아닌 슈퍼 거품" <CSM紙> (0) | 2010.03.19 |
상하이엑스포 한국관 `달라진 국격` 과시 (0) | 201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