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 노인과 자장 거지 노인과 자장 <태백산·정암사> 세연(世緣)이 얼마 남지 않음을 안 자장울사는 강릉에 수다사를 세우고 그곳에 주석하면서 마지막으로 문수보살을 한번 더 친견하길 서원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스님은 중국 오대산 북대에서 범어게를 주던 범승을 꿈에 만났다. 『스님 이 밤에 어인 일이십..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은혜를 갚은 꿩 은혜를 갚은 꿩 <치악산·상원사> 옛날 강원도 땅에 사는 한 젊은 선비가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을 향해 길을 떠났다. 영월과 원주 사이에 드높이 솟은 험준한 치악산을 넘어야 하는 나그네의 발길은 바쁘기만 했다. 수림이 울창하고 산세가 웅장한 이 산은 대낮에도 호랑이가 나와 사람을 해치고 ..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절벽에 떨어진 호랑이 절벽에 떨어진 호랑이 <동해 호암소> 옛날 신라시대였다. 지금의 강원도 삼화사에 지혜가 출중한 주지 스님이 상좌 스님과 함께 수도하고 있었다. 어느 눈 쌓인 겨울날. 저녁 예불을 올리려고 두 스님이 법당으로 향하는데 아리따운 규수와 침모인 듯한 중년 여인이 경내로 들어서고 있었다. 아리..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오세동자의 오도 오세동자의 오도 <설악산·오세암> 『스님, 속히 고향으로 가 보세요. 어서요.』 설정 스님은 벌떡 일어났다. 캄캄한 방 안엔 향내음뿐 아무도 없었다. 스님은 그제서야 정신을 가다듬고 꿈을 꾸었음을 꾸었음을 깨달았다. 「아름다운 오색구름을 타고 와 자꾸 흔들어 깨우던 이는 관세음보살이었..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童子僧의 寄智 童子僧의 寄智 <설악산·울산바위> 산신령이 금강산을 만들고 있을 때였다. 「어떻게 하면 이 땅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을 만들까」하고 며칠간 궁리하던 신령을 묘안을 하나 얻었다. 1만2천 개의 봉우리를 각각 그 형체가 다르게 조각하면 훌륭한 모습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금강산에는 ..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왼쪽 귀가 없는 스님 왼쪽 귀가 없는 스님 <양양·낙산사> 중국 태화 연간(827∼835) 당나라 명주의 개국사 낙성법회에는 중국은 물론 신라의 고승대덕 수만 명이 참석했다. 이날 법회가 끝날 무렵 맨 말석에 앉아 있던 한 스님이 범일 스님 곁으로 다가왔다. 『대사님께선 혹시 해동에서 오시지 않으셨는지요?』 『예, ..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허공에 세운 계란 허공에 세운 계란 <금강산·장안사> 묘향산을 한달음에 내려온느 한 스님이 있었다. 의발은 남루했지만 그 위엄은 천하를 압도하는 기풍을 지녔다. 축지법을 써서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를 지나 강원도 금강산 장안사로 향하는 그 스님은 사명대사. 서산대사와 도술을 겨루기 위해 가고 있었다. 서..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까마귀와 뱀의 인과 까마귀와 뱀의 인과 <철원·석대암> 신라시대의 일이다. 강원도 철원 땅 보개산 기슭에 큰 배나무가 한 그루 있었다. 먹음직스런 배가 가지가 휘도록 열린 어느 해 여름. 까마귀 한 마리가 이 배나무에 앉아 짝을 찾는 듯 「까악 까악」 울어댔다. 배나무 아래에는 포식을 한 독사 한 마리가 매미 ..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4
도승과 말세 우물 도승과 말세 우물 <괴산·사곡리> 세조가 왕위에 오른 지 몇 해가 지난 어느 해 여름. 오랜 가뭄으로 산하대지는 타는 듯 메말랐다. 더위가 어찌나 기승을 부렸던지 한낮이면 사람은 물론 짐승들도 밖에 나오질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스님이 지금의 충청북도 사곡리 마을을 지나며 우물을 찾..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3
왕비의 기도 왕비의 기도 <영동·영국사> 홍건적의 침입으로 송도를 빼앗긴 고려 공민왕은 피난 길에 올랐다. 왕비(노국공주)는 물론 조정의 육조 대신들과 함께 남으로 내려오던 공민왕 일행이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을 지날 때였다. 「디∼잉」「디∼잉」 어디선가 아름다운 범종소리가 울려왔다. 신심돈.. 역사의 숨결/전설 야담 2010.12.03